[푸드&라이프]식물성 식품의 진격은 현재진행형

“이제 더 이상 비건이 주류로 자리 잡았다고 말하지 말라. 비건을 넘어 ‘식물 기반’ 식품이 일상화되었다. 맛이나 비주얼을 유지하면서도 지구와 우리 모두에게 유익한 방법을 찾은 것이다.”

 

미국의 레스토랑 컨설팅 전문 ‘앤드루 프리먼&컴퍼니’가 올해의 푸드 트렌드 첫 번째 키워드로 꼽은 내용이다.

 

세계 다이닝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하는 기관 10곳 이상이 주요하게 다룰 정도로 식물 기반 식품은 올해 다이닝 신의 핫 이슈로 떠올랐다.

 

 

이 이슈는 최근 사회 곳곳에 깊숙이 자리 잡은 ‘지속 가능성’이라는 가치를 필두로 기온 상승, 수질 오염, 동물 복지 등 동물성 식품으로 인해 초래되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건강’, ‘웰니스’ 등 인간의 삶에 중요한 여러 키워드와 맞물려 있다.

 

미국 레스토랑 컨설팅 회사 바움앤화이트맨은 “우유, 버터, 치즈, 달걀 등이 식물성으로 대체됨으로써 모든 식품 포장에 ‘글루텐, 락토스, GMO, 항생제, 설탕, 콜레스테롤, 소금, 지방으로부터 자유롭다’는 라벨이 붙을 날이 머지않았다’고 전망했다.

이뿐만 아니라 지난해의 주요 토픽으로 꼽혔던 ‘비건’을 부담스러워하는 일반 소비자도 식물 기반 식품은 부담 없이 받아들이는 편.

 

글로벌 식음료 시장 조사 기업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는 “지난 5년간 식음료 시장에서 식물성 제품은 연평균 68%의 성장률을 보였다”면서 “육류나 대체품을 구입할 때 소비자는 ‘비건(VEGAN)’ 혹은 ‘베지테리언(VEGETARIAN)’ 제품보다 ‘식물 기반(PLANT-BASED)’ 제품을 더 선호한다”고 밝혔다. 또한 닐슨의 2019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미국인의 6 %만이 채식을 하지만, 40 %는 식물성 식품을 더 많이 섭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시중에서 만나볼 수 있는 식물 기반 식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식물성 우유인 ‘대체유’다.

이미 두유에서 벗어나 아몬드, 코코넛, 귀리, 쌀 등 곡물 혹은 과일로 만든 대체유의 유형은 다채롭다. 최근에는 영국의 홀푸드 매장에서 완두콩 우유도 출시됐다.

 

짜낼 수 있는 식물은 모조리 찾아내 대체유로 만드는 양상이다.

미국의 농업협동조합은행 코뱅크(COBANK)는 미국의 식물성 단백질 음료 매출이 5년 새 61% 늘어난 데 이어, 2022년까지 15-2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연스럽게 우유 소비량은 점점 줄어든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그 변화가 극명하다. 닐슨에 따르면, 2018년에서 2019년 사이에 귀리 우유 판매는 무려 636% 증가했는데, 일반 우유 판매는 같은 기간 2.4% 감소했다. 이에 따라 보든데어리, 딘푸드 등 미국의 최대 우유 브랜드들이 지난해와 올해 초 잇따라 파산 신청을 했다.

이뿐 아니라 다양한 식물성 재료를 활용해 만든 유제품들이 최근 1년 사이 글로벌 시장에서 속속 쏟아지고 있다. 미국의 씨앗 가공품 제조업체 ‘88에이커스(88ACRES)’는 수박씨와 호박씨로 만든 버터를 출시했다.

 

일반 버터보다 담백하면서도 고소한 풍미는 그대로 살아 있다는 평. 또한 아이슬란딕 요구르트 브랜드 시기스(SIGGI'S)는 마카다미아로 만든 요구르트를 새롭게 선보였다.

미국 아이스크림 브랜드 반리우웬은 홈메이드 오트 밀크, 유기농 코코넛 크림, 생코코넛 오일 등을 기반으로 만든 식물성 아이스크림을 리테일을 위한 신제품으로 올해 출시할 예정이다.

 

인공 달걀을 우리 식탁에서 만나볼 수 있는 날도 머지않았다. 닭이 낳지 않은 달걀, ‘저스트 에그’를 개발한 미국의 푸드 테크 기업 ‘저스트(JUST)’는 성장세를 거듭해 매출액이 지난해 4백 억원이 훌쩍 넘었다. 인공 달걀의 주재료는 다름 아닌 녹두. 녹두를 끓이면 몽글몽글해지면서 식감과 맛이 달걀과 유사해지는 점을 활용했다.

 

 

이 달걀은 미국과 캐나다를 넘어 지난해 초 중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시장에 진출했으며, 국내에는 달걀 전문 기업인 ‘가농바이오’와 협업해 올 상반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조시 테트릭 저스트 대표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지금보다 많은 식물성 단백질을 충분히 찾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물성 원료를 대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아직 연구되지 않은 식물의 숫자는 39만1천 가지에 달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다이닝 신에서는 식물성 고기 패티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시장은 햄버거를 앞세운 패스트푸드 업계. 버거킹은 지난해 4월 소고기 패티 대신 식물성 고기로 만든 ‘임파서블 와퍼’를 미국에서 출시했다.

 

콩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고기 형태를 만들어내는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인 임파서블 푸드와 손을 잡은 것. 영양 면에서 일반 고기 패티와 동일한 단백질을 함유했으며, 지방은 15%, 콜레스테롤은 90% 적다. 버거킹은 유럽 시장에도 식물성 패티 버거인 ‘레블 와퍼’를 지난해 11월 선보였다.

 

이 밖에 미국의 패밀리 레스토랑 체인 데니스(DENNY’S)는 지난해 10월부터 비욘드미트의 고기 없는 버거를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던킨 도너츠는 미국 내 9천여 매장에서 식물성 소시지 샌드위치를 판매하고 있다.

 

일반 고기의 맛을 포기할 수 없는 이들을 위해 육류와 식물 성분을 혼합한 패티를 넣은 버거도 잇따라 선보인다. 미국 외식문화협회 제임스 비어드 파운데이션은 ‘블렌디드 버거 프로젝트’를 통해 일반 소고기에 버섯을 25% 함유한 버거를 선보였다.

 

또한 애플게이트(APPLEGATE) 등 미국 주요 육류 가공 업체들은 밀, 버섯, 보리 효모 등 식물성 성분을 25-30% 첨가한 버거 패티를 출시했다. 일반 소고기 버거에 비해 낮은 지방과 콜레스테롤, 경쟁력 있는 가격 등을 앞세워 홍보하고 있다.

 

국내 상황은 어떨까? 국내 식음 업체들도 식물 기반 식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수요도 높은 편. 특히 식물성 우유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업인 유로모니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19년 우유 대체제 시장 중 두유를 제외한 코코넛 우유, 아몬드 우유와 같은 식물성 우유 시장이 지난 3년간 판매액 기준 4배 이상 성장했다.

 

식물성 고기 시장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동원F&B가 미국의 대체육 브랜드 ‘비욘드미트’를 수입해 지난 2월부터 비욘드 버거를 독점 판매하며 스타트를 끊었으며, 롯데푸드는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신제품 ‘엔네이처 제로미트’의 판매를 지난 4월 시작했다.

밀 단백질을 기반으로 닭고기의 풍미를 살린 제로미트 너겟과 커틀릿 형태의 제로미트 까스 등 2종이다.

 

푸드 테크 스타트업인 지구인컴퍼니도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식물성 고기 ‘언리미트’를 지난 10월 론칭했다.식물 기반 식재료를 주로 활용하는 한식을 토대로 식품을 개발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기대도 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지난 12월 보고서를 통해 “녹두 가루, 도토리 가루 등 한식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가루들로 외국인의 입맛에 맞는 요리를 개발한다면 해외 시장 진출 시도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바앤다이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barndining


푸드&라이프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오는7월 1일~2일,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고양MICE새일센터 ‘2025 여성창업자 사업화지원금 경진대회’ 참가자 모집
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 고양MICE새일센터가 여성창업자의 우수한 시제품을 발굴하고,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시키기 위한 ‘2025 여성창업자 사업화지원금 경진대회’ 참가자를 7월 14일까지 모집한다. 이번 경진대회는 예비 여성창업자와 초기 창업 여성을 대상으로, 크라우드펀딩에 적합한 시제품을 발굴하고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초기 자금 확보와 시장 검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진대회 신청은 7월 14일 오후 1시까지 가능하며, 1차 서류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7월 25일 현장 심사를 거쳐 최종 대상자를 선발할 예정이다. 참가를 희망하는 여성창업자는 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 누리집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후 전자우편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1차 서류 심사를 통과한 5명의 참가자에게는 크라우드펀딩 개설을 위한 기초 컨설팅이 제공된다. 현장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된 2명에게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에 프로젝트를 개설할 수 있도록 1:1 전문가 멘토링이 지원된다. 또한 시제품을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상세 페이지 제작, 초기 홍보에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비용 등 100만 원 상당의 지원금을 제공한다. 한편, 이번 대회에는 선배 창업자인 ‘여리여리’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오는7월 1일~2일,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