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식품동향] 중국, 0kcal 대체당 시대 본격화

지연 컨설팅(智妍咨询)이 발표한 <2020-2026 중국 설탕 산업 발전 현황 조사 및 발전 전략 컨설팅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까지 중국 설탕 수입량은 339만 톤으로 전년 대비 21.07%가 증가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점점 더 많은 중국 소비자들이 설탕 섭취는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0칼로리 대체당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일당천하(壹糖天下)의 창시자 류펑(刘丰)의 인터뷰에 따르면 0칼로리 대체당의 판매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일당천하의 0칼로리 대체당 판매량은 이미 작년 전체 판매량을 초과했다. 설탕 업계의 대부분 브랜드는 0칼로리 대체당 신제품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5월 초 징동(京东) 소비 및 산업발전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Z세대 소비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는 음료를 선택할 때 41%가 무당 음료, 38%가 저당 음료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Z세대의 금년도 저당류 제품 구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배 이상으로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저당 소비 트렌드는 설탕에 대한 연구 및 생산 변혁을 촉진하면서 저당, 0칼로리 대체당 제품은 시장의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초에는 0칼로리 대체당은 제로 콜라, 스파클링 음료 등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으나 최근들어 0칼로리 대체당은 외식업계에도 보편화되어 대다수의 밀크티, 카페에서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일례로 헤이티(喜茶), 나이쉐더차(奈雪的茶), 러러차(乐乐茶), 후상아이(沪上阿姨) 등 브랜드에서는 주문 시 1위안을 더하면 기존 설탕을 0칼로리 대체당으로 바꿀 수 있다. 밀크티는 고열량 음료에 속해 한 컵만 마셔도 하루 설탕 권장 섭취량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 과학원 빅데이터발굴 및 지식관리 실험실에서 발표한 <2021 건강중국·중국 무당 음료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대체당 제품 중에서도 에리스리톨은 천연 감미료이면서도 0칼로리 제품으로 최근 몇 년째 중국 대체당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중국 설탕 시장 조사연구보고서>에 의하면 에리스리톨의 생산량은 연평균 29.9%의 성장률을 보이며 생산 증가율이 가장 높은 감미료가 됐다. 에리스리톨의 2015년 생산량은 1만 8천만 톤에 불과했으나, 2019년에는 5만 1천 톤까지 증가했다.

 

 

에리스리톨은 중국 소매점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0칼로리 대체당으로 천연 감미료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건강하고 가공기술이 발달했으며 소비자 인지도도 높다. 게다가 맛은 기존 설탕과 비슷하면서 다른 감미료와 배합할 경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체당 시장 규모가 더욱 커짐에 따라 에리스리톨 이외에 대체당의 유형 및 생산제조 기술도 끊임없이 발전하고 개선되고 있다. 대체당 제품은 기존의 스테비아, 엘-아라비노오스, 모그로사이드 외에 시럽, 사탕, 슈가파우더, 홍탕 등 어러가지 유형이 개발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 11월 5~9일 개최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가 11월 5일 화려한 막을 올린다. 진주시는 ‘2025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가 ‘농업과 함께하는, 힐링나들이’라는 슬로건으로 오는 11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간 진주종합경기장 일원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국내외 16개국, 261개사, 519개 부스 규모로 열리며, 7개의 대형 테마관과 야외 행사장에서 지역 우수 농특산품 및 농가공품 등을 선보이고 농업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며, 다양한 먹거리로 풍성하고 알차게 개최된다. ◆ 7개 테마별 전시관과 야외행사장 구성 올해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는 ▲종자생명관 ▲홍보관 ▲녹색식품관(2개 관) ▲농기자재관 ▲농업체험관(2개 관)으로 구성된 7개의 테마별 전시관과 야외행사장을 마련해 풍성한 볼거리와 참여하는 행사로 재미를 더한다. 유관기관의 홍보 및 전시공간인 ‘홍보관’에는 경상남도와 사)대한민국GAP연합회, 경상국립대, 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진주박물관, 국제교류도시, 국립산림과학원, 진주농업관 부스로 이뤄져 있다. ‘녹색식품관’ 두 개관은 총 130개 부스로 구성되며 진주시와 경상남도, 경남벤처농업협회, 남해안남중권 및 타도 소속 시군의 우수 농식품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하동야생차문화센터, 대한민국 차 문화 중심지로 떠오르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가 올해 전년 대비 120%의 수익 증가를 달성하며, 하동 차 산업과 지역관광의 핵심 거점으로 급부상했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는 우리나라 차의 본고장 하동의 전통과 현대 차(茶) 문화를 아우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박물관·체험관·판매장·치유관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판매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쌍계사 템플스테이, 태교여행, 켄싱턴리조트 협업 등을 통해 대상자별 특화된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여 방문객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율을 끌어올렸다. 가장 인기를 끈 프로그램은 ‘티소믈리에’ 체험 프로그램으로, 하동군 티마스터와 함께 하동암차·잭살차·말차 등 다양한 차를 직접 시음하며 차의 향과 맛을 비교해 보는 교육형 체험이다. 참가자들은 하동차의 품질과 제조 방식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들으며 색다른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녹차 족욕 체험은 하동차를 활용하여 족욕을 즐기는 힐링 프로그램으로, 피로회복 효과가 뛰어나 관광객들의 호응이 높았다. 이외에도 차와 명상, 다례인성체험, 삼색 다식 만들기, 찻잎 염색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연중 운영되며 가족 단위 관광객과 외국인 방문객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티카페하동은 최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