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플렉시테리언이 주도할 2020년 미국 채식 트렌드

세계적으로 채식 문화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제는 채식주의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도 동물복지, 건강 등을 이유로 채식 식품을 찾는다.

 

 

특히 미국은 2019년 콜로라도와 하와이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35% 이상의 비만율을 기록하자 고기를 대체하는 식품 개발에 큰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2020년에는 채식 치킨, 귀리 유제품, 채식 달걀 등의 시장이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채식식품(Plant-Based Foods) 시장 규모 및 동향

갤럽(Gallop)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 인구의 5%는 채식주의자로 나타났다. 젊은 층, 여성, 유색인종에서 높은 채식 선호도를 보였다.

 

연령별 채식주의자의 비율은 55세 이상 노년층에서 2%로 낮은 데 반해 18세에서 34세 연령층은 8%, 35세에서 54세 연령층은 7%로 젊은 층에서 채식이 더 받아들여지고 있다. 성별로는 여성 6%, 남성 4%가 채식주의자며, 백인의 3%, 유색인종의 9%가 채식주의자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채식주의자의 비율은 많이 증가하고 있지 않았으나 친채식주의자로 불리는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의 수가 크게 늘었다. 플렉시테리언은 주로 채식을 하지만 가끔 고기나 생선을 섭취하는 이들을 말한다.

 

 

조사기관인 OnePoll과 So Delicious Dairy Free가 미국인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응답자의 31%는 자신을 플렉시테리언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59%는 일주일에 1회 이상 채식 식품을 섭취하고 있으며, 52%는 채식 식품을 더 많이 섭취하고자 노력 중이라 밝혔다.

 

45억 달러 이르는 미국 채식식품 시장

미국 채식식품협회(Plant Based Foods Association)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채식 식품 시장 규모는 45억 달러(약 5조 2천억)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채식 식품이 식품시장 성장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

 

 

채식 우유와 채식 육류의 채식 식품 시장점유율은 각각 42%, 18%였다. 채식 우유 시장 규모는 19억 달러로 전년보다 6% 증가, 채식 육류 시장 규모는 8억 달러로 10% 향상됐다.

 

가장 큰 성장을 보이는 부문은 소스류로 전년대비 52% 성장했으며, 크리머 40%, 요거트 39%, 계란류가 38%로 높은 성장을 보였다.

 

2020년 미국 채식 트렌드 전망

2019년이 채식 버거의 해였다면 2020년은 채식 치킨의 해가 될 전망이다.

 

 

패스트푸드 체인인 KFC, A&W는 채식 치킨을 판매하고 있다. 작년 여름 KFC에서 선보인 '비욘드 프라이드치킨'(Beyond Fried Chicken)은 대체 고기를 제조하는 비욘드미트와 협업을 통해 완성했다.

 

 

미국 식품시장에서 귀리 우유, 귀리 요거트 등 귀리 유제품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스타벅스(Starbucks)는 2019년 3월부터 뉴욕, 시애틀, 샌프란시스코 등에 소재한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에 귀리 우유를 도입했고, 올해부터 약 1,300개 매장에서 귀리 우유를 제공할 계획이다. 패스트푸드 체인인 타코벨(Taco Bell)은 유럽지역에서 귀리로 만든 대체육 제품을 개발해 판매하기도 했다.

 

또한, 녹두를 주요 원료로 한 ‘JUST Egg’, 콩이 주원료인 ‘Follow Your Heart’ 등 채식 달걀도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JUST Egg’를 만든 저스트사는 작년 한국 시장 진출을 선언하기도 했다.

 

 

캐나다의 유명 패스트푸드 체인인 Tim Hortons는 JUST Egg를 재료로 만든 아침 식사용 샌드위치를 판매 중이며, 미국 내에도 채식 달걀을 이용한 메뉴를 곧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콩과 첨단 과학이 결합한 채식 제품 개발이 한창이다. 누에콩(Fava Bean)으로 만든 채식 햄버거, 완두콩으로 만든 요거트, 녹두로 만든 달걀, 병아리콩으로 만든 스낵, 렌틸콩으로 만든 면류 등이 있다.

 

향후 미 식품 문화 주도할 채식 운동

시장조사기관인 Dynata에 의하면 2020년 미국인의 56%는 육류 소비를 줄이겠다는 새해 계획을 세웠다. 채식 식품 소비는 일반 대중 사이에서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미 환경단체들과 시민 연합은 일주일에 하루 육류 소비를 하지 않는 운동 'Meatless Mondays'를 지원하고 있고, 2019년 3월 뉴욕시는 지역의 모든 공립학교에 이 운동을 도입해 학생들이 대체육에 어릴 때부터 노출될 수 있도록 했다.

 

 

미국 주요 식품 기업인 General Mills는 2020년 1월 중순에 채식 참치와 피시 버거 생산 스타트업인 Good Catch에 3,200만 달러 투자를 발표했다. 이 투자를 통해 Good Catch는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으로 시장을 확장하고 봄에는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전주의 맛과 색 담은 ‘전주 비빔빙수’ 출시
전국 랜드마크 호텔로 자리잡은 라한호텔이 전통과 미식의 도시인 전주의 매력을 살린 프리미엄 이색 디저트 ‘전주 비빔빙수’를 선보였다. 지역 대표 음식이자 다양한 재료가 조화를 이루는 비빔밥을 재해석해 자체 개발한 여름 한정 메뉴다. ‘전주 비빔빙수’는 놋그릇에 수박, 망고, 키위 등 신선한 과일을 아낌없이 올린 과일빙수를 고급 한정식 한 상 차림처럼 즐길 수 있다. 곱게 간 우유얼음과 팥, 딸기시럽, 복숭아 찹쌀떡 등 갖가지 토핑이 반찬처럼 담겨 있어 원하는 대로 얹어 비벼 먹는 재미를 선사한다. 여기에 노란 빛깔의 호박식혜도 곁들여져 시원하고 달콤한 여름 별미를 완성할 수 있다. 가격은 2인 기준 2만9000원이다. 벌써부터 고객들 반응이 뜨겁다. ‘전주 비빔빙수’는 알록달록한 색감과 고급스러운 담음새로 인증샷 남기기에 좋을 뿐 아니라 취향에 따라 토핑을 조합할 수 있어 연일 재료가 조기 소진될 정도로 출시와 동시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전주 비빔빙수’는 9월 30일까지 라한호텔 전주 내 카페&라운지 ‘하녹당’에서 만날 수 있다. 한편 라한호텔은 핸디캡 트윈 객실 1박과 ‘전주 비빔빙수’가 구성된 ‘여름한정 핸디캡룸 패키지’ 상품을 특가로 선보인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