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 Biz] 2022년 중국의 식품포장 트렌드

제품의 포장이 소비자들의 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성 있는 디자인이 제품의 차별화를 이끄는 중요한 경쟁력이 됐다. 중국의 대표 식음료 포럼인 FBIF(Food and Beverage Innovation Forum)와 중국 유명 디자인 회사 YANG DESIGN이 협업하여 발표한 ‘2022년 중국 식품 포장 트렌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에서는 레트로, 숫자, 페미닌 스타일 등의 식품 포장이 유행할 것으로 보인다.

 

레트로

 

 

몇 년 전 한국에서 레트로 감성 붐이 일었던 것처럼 최근 중국에서도 복고풍 스타일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의 유제품 기업 중 하나인 씬씨왕루예(新希望乳业)의 ‘진를시엔나이푸(今日鲜奶铺)’는 붉은색과 푸른색의 색감을 사용하여 중국 특유의 레트로 스타일을 구현해 내었다. 또한 제품의 포장에는 실제 8,90년 대 사람들이 우유를 사고팔았던 장면을 그려 넣어 레트로 감성의 요소를 더했다.

 

 

중국 식품 회사 루구어스핀(如果食品)은 자사의 과일 음료인 루구어인랴오(如果饮料)에 낮은 채도의 색감들과 사자성어와 같은 요소들을 첨가해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다. 이와 같이 최근 중국에서 흥행하는 레트로 스타일의 제품들은 주로 붉은색과 푸른색과 같은 특정 색상과 문화 요소가 다분한 그림들을 활용하여 궈차오(国潮, 애국주의) 열풍의 영향을 받은 Z세대를 성공적이게 공략하고 있다.

 

숫자

 

 

최근 중국에서는 아무런 문구 없이 그저 숫자만 적혀있는 제품들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간결한 디자인으로 단시간 내 소비자들의 눈을 사로잡을 수 있고 상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숫자 디자인은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이 되고 있다.

 

 

중국의 요구르트 회사 카스(卡士)의 007 요구르트는 제품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0 첨가물’을 나타내는 0과 ‘7종 유산균’을 나타내는 7을 새겨 넣음으로써 제품의 강점을 부각시켰다. 또한 중국의 인기 음료 브랜드 헤이티(喜茶)도 시중에 출시한 과일 음료에 50이라는 숫자를 크게 적어 넣어 ‘50% 과즙 함유’라는 건강한 장점을 어필하였다. 이는 이러한 숫자 디자인이 저염과 저당의 건강 열풍이 부는 중국 요식업계에서 관련 제품이 갖고 있는 차별화된 장점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페미닌

중국 리서치 전문기관인 CBNData에 따르면 중국의 20세와 60세 사이의 여성 소비자의 수는 약 5.3억 명이며 2021년 여성 소비시장의 규모는 약 10조 위안(한화 약 1,885조 500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여성 소비자가 새로운 주요 소비계층으로 부흥하고 관련 시장의 잠재력이 커지며 여성을 겨냥한 제품들이 우후죽순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 여성 소비자들의 최근 관심 키워드는 다이어트, 이너뷰티 그리고 건강한 정신인데 이러한 여성 소비자들의 선호 요인들은 제품의 포장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의 차 브랜드 쟈오낭차위(胶囊茶语)의 차이홍쟈오낭차(彩虹胶囊茶)는 ‘마실 수 있는 스킨케어’라는 이너뷰티의 콘셉트로 7종의 차를 각각 7개의 무지개색으로 포장하여 여성 소비자들을 공략하였다. 건강함을 연상시키는 가볍고 산뜻한 색채와 여성의 심미적 시각을 자극하는 정교한 디자인은 중국의 여성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포장 트렌드라고 볼 수 있다.

 

향후 중국에서 포장 디자인은 시장에서 차별화를 이룰 수 있고 더 많은 소비자들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식품 수출 시 관련 트렌드들을 참고하여 포장 또는 마케팅을 실행한다면 중국 국내에서 환영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kati 농식품수출정보


푸드&라이프

더보기
[마케팅전략] ‘소비자 경험 설계’에 집중하는 할리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할리스가 MD 및 메뉴에 이어 매장까지 할리베어 IP를 적용하며 소비자의 다채로운 매장 경험 제공을 위해 힘쓰고 있다. 할리스는 지난 9월 브랜드 마스코트 ‘할리베어’를 공개하고 본격적인 캐릭터 마케팅에 나섰다. 할리베어를 활용해 메뉴, MD 등을 선보인데 이어 매장 인테리어로도 확대하며, 브랜드에 대한 친근감을 선사하고 특별한 매장 경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매장의 입지와 지역 특성을 반영해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한 할리베어 포토존은 매장을 찾는 고객들에게 인증샷 포인트이자 색다른 즐거움이 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달 31일 할리스의 대표 매장 중 하나인 합정역점을 활기와 즐거움이 공존하는 ‘도시형 감성 공간’으로 리뉴얼 오픈했다. 합정역 7번 출구 바로 앞에 위치한 할리스 합정역점 할리베어가 매장에 방문하는 고객들에게 반갑게 인사하는 조형물을 설치해 시선을 끈다. 3층 규모의 넓고 쾌적한 공간으로, 1인 고객부터 소규모 모임까지 가능한 다양한 좌석까지 갖춰 많은 고객들의 발길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오픈한 ‘부산명지강변DT점’에는 넓은 주차 공간과 DT(드라이브스루) 매장이라는 특성을 살려 DT존에 앉아있는 할리베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중랑구, 청년과 함께하는 사회적경제 창업 아카데미 운영
중랑구는 지역 청년들이 창업에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경제 청년 창업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이번 아카데미는 중랑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주관하며 아이디어 발표(피칭), 고객 검증, 시제품 제작 등 실전 중심의 체험형 창업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신청 대상은 창업교육 이수자 또는 창업을 희망하는 중랑구 생활권 청년 10팀(명)이며, 교육은 중랑청년청에서 11월 14일부터 12월 12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3시부터 3시간 동안 총 5회 진행된다. 교육 과정은 ▲OT 및 지역문제 탐색 ▲고객 검증 ▲프로토타입 제작 ▲실행 및 피드백 ▲결과 공유 등으로 구성되며, 참여 청년들은 고객 인터뷰, MVP(최소기능제품) 제작, 모의 피칭 등 실전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사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게 된다. 실전 역량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교육을 통해 발굴된 아이디어와 학습 성과는 향후 중랑구 청년 창업 사례로 소개될 예정이며, 지역 내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 확산과 청년 간 교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여 신청은 11월 10일까지 온라인 접수로 진행되며, 중랑구청 및 중랑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누리집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