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OOD 비지니스] 사회와 환경을 생각하는 日 식품기업의 ESG 활동

더 이상 기업이 이윤만을 추구해서는 경쟁력을 갖추기 힘든 시대다.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일정 부분 책임을 다해야 기업 이미지 제고를 통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업활동을 줄여서 ESG라 부른다.

 

ESG란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로 기업 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해야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철학이다. aT 도쿄지사에 따르면 일본 식품외식기업 ESG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형유통매장 이온의 폐기식품 감소 노력

일본의 대형유통매장인 이온(AEON)은 2019년 11월부터 육류 포장에 진공스킨포장을 도입했다. 진공스킨 포장으로 소 고기를 포장할 경우 기존 포장에 비해 소비기한을 10일 정도 연장시킬 수 있어 식품 로스의 비율을 4.3%에서 1.9%로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폐기 비용이 줄어들뿐 아니라 판매를 위한 불필요한 가격인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장의 변경은 CO2 배출 감소에도 기여한다. 소고기의 경우, 폐기를 1kg 줄이면 CO2 배출량을 60kg까지 줄일 수 있다. 이온은 2020년 7월, 포장자재 제공업체인 미국의 다우 사와 탄소프로젝트 협정을 체결했는데 식품 로스 감소를 통한 CO2의 배출삭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컵누들의 지구 보호 활동

컵라면으로 유명한 닛신식품홀딩스는 올해 런던 FTSE Russell사가 선정하는 ESG 투자지표인 「FTSE4Good Index Series」, 「FTSE Blossom Japan Index」 구성종목으로 첫 선정 됐다. ‘EARTH FOOD CHALLENGE 2030’ 활동이나 ‘컵누들 (Cup Noodle) DO IT NOW’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EARTH FOOD CHALLENGE 2030’는 지구 자원을 둘러싼 환경보호 및 자원의 유효 활용에 도전하는 ‘자원활용에 대한 도전(EARTH MATERIAL CHALLENGE)’과 닛신식품그룹 사업 활동 전반에서 CO2 배출량 삭감에 도전하는 ‘기후변화 문제에 도전(GREEN FOOD CHALLENGE)’이라는 두 개의 기둥으 로 이루어져 있다.

 

 

‘EARTH MATERIAL CHALLENGE’에서는 ‘지구에 친화적인 조달’, ‘지구 자원의 절약’, ‘쓰레기 없는 지구’를, ‘GREEN FOOD CHALLENGE’에서는 ‘그린전력으로 만들기’, ‘그린재료로 만들기’, ‘녹색포장으로 도달’ 3개를 활동 테마로 삼고 있다.

 

 

‘컵누들(Cup Noodle) DO IT NOW’는 ‘지구와 인간의 미래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지금 하자’는 취지의 프로젝트이다. 이를 위해 닛신은 컵누들 제품 포장의 뚜껑방지 스티커(컵라면 뚜껑 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커)를 폐지하여 연간 33톤 의 플라스틱 원료를 절감하였다.

 

 

이외에도 RSPO(지속가능한 팜유 생산을 위한 원탁회의) 인증 팜유를 사용하고 바이오매스 ECO 컵 사용으로 플라스틱 사용량과 CO2 배출량을 절감하 는 데 기여하고 있다.

 

아동빈곤 해소를 위한 로손의 노력

일본의 편의점 브랜드 로손(LAWSON)은 ‘식품로스 감소와 아동빈곤 등의 사회적 과제 해결에 기여’라는 SDGs(지속가능개발목표)를 위해 식품 기부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동안 유통기한이 남아있으나, 매장 납품기한이 지나 물류센터에서 폐기해야 했던 상품들을 도움이 필요한 가정에 기부하는 사업이다.

 

 

대상 제품은 주로 유통기한이 긴 과자, 라면, 통조림, 조미료 등이다. 로손은 이밖에도 지역학교와 연계한 상품개발이나 천연재료로 만든 봉투 등의 다양한 활동을 담은 SDGs 핸드북을 발표하여 자사의 다양한 ESG 경영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흑염소 보양 3종' 메뉴개발 과정 주목
이제 개고기 대신 '염소고기'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흑염소 보양 3종' 메뉴개발 과정 주목
이제 개고기 대신 '염소고기'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전수창업] 일본 현지 ‘장어덮밥’(히츠마부시)전문점 기술 전수
일본 나고야 현지 ‘장어덮밥’(히츠마부시)전문점의 기술을 전수받을 수 있는 교육과정이 오는 6월 26일(목), 전문식당 조리비책 교육시설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에서 진행된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장어’요리. 최근 줄서는 맛집 등 유명 방송프로그램에 일본식 장어덮밥 전문점이 소개되면서 고급 스테미너 음식인 ‘히츠마부시’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나고야 3대 명물인 장어타래 레시피 전 과정 공개 서울과 부산 유명 장어덮밥전문점 노하우 전수 “굽기가 첫 번째 관건이다. 또 깊은 풍미와 맛을 결정짓는 장어타래를 입혀내 윤기와 색감이 어우러져야 진정한 히츠마부시가 탄생한다. 쫄깃한 첫입에 이어지는 부드러운 식감을 극대화하는 조리 방법을 전수, 최고에 가까운 장어구이의 맛을 이끌어 낸다.” 이번 ‘장어타래·나고야식 장어덮밥 상품화 기술전수’ 과정은 일선 요리학원에서 만날 수 없는 현장기술 전수 프로그램으로 김종우 원장이 핵심 노하우를 직접 전수, 시연한다. ‘김종우 원장’은 10년간 일본 동경에서 거주하며 한국과 일본의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도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일본의 히츠마부시 유명 맛집을 다녀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