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리필 분식 뷔페 프랜차이즈 '두끼', 베트남 진출!

베트남 1호점 그랜드 오픈 화제

대만, 싱가폴, 태국 등 해외에서 거듭 성공적으로 매장을 오픈하고 있는 두끼 떡볶이가 지난 11월17일 베트남에 1호점을 오픈했다.

 

위치는 호치민 內 TAN BINH District 롯데마트점, 입점지 특성상 현지인을 주 고객으로 잡은 셈이다.

 

두끼는 다년간 외식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파트너와 베트남 Master Franchise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 2017년부터 약 1년간 현지 시장을 분석해왔다.

 

이미 국내의 다수 브랜드가 베트남에 진출했지만 크게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브랜드가 없다는 점에 집중한 두끼는 단순히 국내와 동일한 컨셉 유지보다는 현지의 수요를 분석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시장조사를 해왔다. 그 결과 한국적인 맛과 브랜드 자체의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현지인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메뉴를 추가하여 현지에 브랜드를 런칭했다.

 

또한 139,000VND(한화 약 6,700원)라는 저렴한 가격에 떡볶이를 포함한 다양한 한국의 음식을 접할 수 있어 현지에서의 반응이 뜨겁다.

 

두끼 관계자는 “연내 베트남 2호점 오픈이 계획되어 있고 내년초 베트남 3호점까지 오픈이 확정된 상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국가에 입점해 두끼 떡볶이를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끼는 국내 170여 개, 해외 16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내년에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오픈을 앞두고 있어 세계화를 도모하고 있다. 두끼 국내외 창업 문의 및 매장 안내는 공식 홈페이지와 대표 전화로 가능하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식품오늘] 뚜레쥬르·전국 105개 빵집서 가루쌀 빵 20% 전격 할인!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10월 24일부터 약 5주간 전국 유명 지역 베이커리 105개소, 뚜레쥬르와 함께 가루쌀로 만든 ‘가루쌀 빵’을 할인 판매하는 ‘가루쌀 빵 할인행사’를 진행한다. 가루쌀은 쌀 품종이지만 전분 구조는 밀과 유사한 새로운 식품 원료이며, 농식품부는 가루쌀 산업 육성을 통해 수입 밀 대체를 추진 중에 있다. 이번 행사는 소비자들이 가루쌀로 만든 식빵, 카스테라, 브라우니, 케이크 등 다양한 종류의 빵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높이기 위해 마련했고, 할인율은 20%이다. 이번 할인 대상에는 가루쌀 제과·제빵 신메뉴 개발 품평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차지한 제품도 포함된다. 특히, 주목할만한 메뉴로는 진한 초콜릿이 들어간 큐브식빵으로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이 일품인 ‘쟝블랑제리’의 ‘초코큐브’와 할미입맛을 저격하는 ‘그라츠과자점’의 ‘100% 가루쌀 단호박 카스테라’, 달콤한 고구마가 듬뿍 들어간 ‘그린하우스’의 ‘자색 고구마 그라탕’ 등이다. 김경은 농식품부 전략작물육성팀장은 “지역 곳곳의 베이커리에서 가루쌀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어, 앞으로 우리 주변에서 가루쌀 제품을 한층 더 쉽게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전남도,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서 중국 산둥요리 맛보세요
전라남도는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에 중국 산둥성 대표단이 참가해 24일부터 중국 8대 요리 중 하나인 산둥요리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6일까지 3일간 산둥 6미 전병을 비롯해 무와 두부로 만드는 완자, 삼치 물만두 등 10여 개의 산둥성 각 지역의 특색요리를 맛볼 수 있다. 전남도는 이번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에 아시아 우호 교류지역의 음식문화 대표단을 초청해 다채로운 미식 교류 행사를 진행 중이다. 앞서 일본 고치현, 우즈베키스탄이 각기 특색있는 메뉴를 선보여 관람객의 큰 호응을 받았다. 일본 고치현 대표단은 전통주 도사 사케, 고치현 대표 단짠맛 스낵 ‘밀레 비스켓’, 고구마 과자 ‘이모겐삐’를 선보였다. 우즈베키스탄 대표단은 볶음밥 ‘오쉬’, 케밥, 논(빵)을 준비해 관람객이 평소에 쉽게 접하지 못하는 이색 음식 체험을 제공했다. 이번 초청은 일본 고치현, 우즈베키스탄, 중국 산둥성 등 아시아 우호교류지역과의 음식문화 교류를 강화하며, 글로벌 식문화의 다양성과 상생 모델을 만드는 계기가 됐다. 신현곤 전남도 국제협력관은 “이번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는 단순한 문화행사를 넘어 전남도와 해외 우호 교류지역 간 오랜 우정을 재확인하고 예술과 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