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식관광협회, 중국 화안그룹과 한중 문화교류 확대 및 상호투자에 대한 협력관계 협의

한·중 음식문화교류 및 이해증진 통한 공동협력사업 추진 및 개발

 

(사)한국음식관광협회(회장 강민수, 전 한식재단 이사장)는 9월 7일(금) 중국 연태 화안호텔에서 화안그룹(회장 이국안)과 양국의 음식문화 교류촉진과 공동추진사업 등에 따른 투자 및 교류확대를 통한 동반성장과 우호증진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을 위한 사전협의를 진행했다. 

이번 사전협의에서 양기관은 앞으로 △글로벌 음식문화축제 공동개최 △한·중 기업에 대한 투자확대 △양국 교육사업의 활성화 방안 모색 △상호 방문 교류 정례화를 통한 우의 증진 △기타 경제동향, 정보교환 등 양 기관 상호발전을 위한 업무 등에 대해 협약을 추진하기로 했다. 

화안그룹 이국안 회장은 “화안그룹은 중국을 대표하는 투자기업으로 민간분야에서 한·중관계의 기업활성화에 상호 공동노력을 위해 최선을 다하자”고 말했다. 

이원준(더불어민주당 중기권익보호 사무국장) 사무총장은 “세계적인 그룹인 화안그룹과 상호교류를 통하여 한·중간의 문화교류의 확대를 점진적으로 넓혀나가며 음식문화분야를 넘어서 공동협력을 통해 양국의 우수한 기업에 대한 투자확대와 시장개척에 화안그룹이 앞장서 달라”고 요청했다. 

화안그룹은 중국 산동성 연태를 기반으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투자그룹으로 호텔, 리조트, 중공업, 전자, 산업단지, 은행, 화학, 건설, 조선 등 32개 계열사를 가진 거대그룹으로 대우해양조선, LG전자, 현대중공업, 삼성전자, 애플, 히타치 등 글로벌 기업이 화안정보산업단지에 진출해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외식오늘] 맛·전통 잡은 세종맛집으로!
‘세종 뿌리깊은가게’는 세종시의 역사와 매력이 담긴 곳이다.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켜온 음식점, 상점, 그리고 장인의 솜씨가 빛나는 작은 공방들이 그 대상이다. 매년 엄선된 가게가 이 타이틀을 얻는다. 선정 과정에서는 가게의 역사와 고유한 가치를 꼼꼼히 살피고 있다. 선정된 가게들은 다양한 혜택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세종의 골목 구석구석에 숨어있던 보석 같은 가게들 중 세종의 맛을 담은 세종 뿌리깊은가게를 소개한다. 45년간 조치원 전통 치킨 파닭의 명맥을 이어온 ‘신흥파닭’ 1978년 조치원 신흥리에서 창업했다. 이곳은 염지 하지않은 생닭을 활용해 육질이 부드럽고 치킨 위에 생파를 올리는 이 지역의 전통적인 조리법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2015년에는 상호명을 기존 신흥닭집에서 신흥파닭으로 변경하고 사업장을 신축·이전했다. 방문 고객이 홀이 없어 파닭을 길거리나 차 안에서 먹는 것을 보고 신축·이전하며 고객들이 편안하게 파닭을 즐길 수 있도록 깨끗한 홀을 마련했다. 조리 공간은 도로 쪽으로 개방해 조리 모습을 고객들이 지켜볼 수 있게 했다. 이는 맛은 물론 청결에 대한 손님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45년의 역사 동안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외식오늘] 맛·전통 잡은 세종맛집으로!
‘세종 뿌리깊은가게’는 세종시의 역사와 매력이 담긴 곳이다.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켜온 음식점, 상점, 그리고 장인의 솜씨가 빛나는 작은 공방들이 그 대상이다. 매년 엄선된 가게가 이 타이틀을 얻는다. 선정 과정에서는 가게의 역사와 고유한 가치를 꼼꼼히 살피고 있다. 선정된 가게들은 다양한 혜택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세종의 골목 구석구석에 숨어있던 보석 같은 가게들 중 세종의 맛을 담은 세종 뿌리깊은가게를 소개한다. 45년간 조치원 전통 치킨 파닭의 명맥을 이어온 ‘신흥파닭’ 1978년 조치원 신흥리에서 창업했다. 이곳은 염지 하지않은 생닭을 활용해 육질이 부드럽고 치킨 위에 생파를 올리는 이 지역의 전통적인 조리법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2015년에는 상호명을 기존 신흥닭집에서 신흥파닭으로 변경하고 사업장을 신축·이전했다. 방문 고객이 홀이 없어 파닭을 길거리나 차 안에서 먹는 것을 보고 신축·이전하며 고객들이 편안하게 파닭을 즐길 수 있도록 깨끗한 홀을 마련했다. 조리 공간은 도로 쪽으로 개방해 조리 모습을 고객들이 지켜볼 수 있게 했다. 이는 맛은 물론 청결에 대한 손님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45년의 역사 동안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