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 식물성 고기, 코로나19로 타격 입은 美 육류시장 파고 들어

올해 미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확산되며 타격을 입은 사업이 바로 대형 육가공 공장들이었다. 타이슨 푸즈 등 육가공 업체 직원들 사이에서 확진자가 속출하며 잇따라 문을 닫는 사태가 벌어졌다.

 

 

육고기 수급에 차질을 빚는 틈을 타 식물기반 대체육에 대한 수요가 크게 올라갔다. 대체육 생산 기업 비욘드미트, 임파서블푸즈는 생산설비 확장에 나섰고, 육가공 기업들도 새롭게 대체육 라인 추가에 나섰다.

 

코로나19가 식물성 대체육 시장 성장 가속화

육가공 공장의 폐쇄로 육류 생산량 감소와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들은 식물기반 대체육을 찾아 나섰다. 식물기반 대체육 매출은 육류 부족 현상이 심각했던 3월 전년대비 231% 성장을 보였으며, 이후로도 꾸준히 3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했다.

 

 

무엇보다 코로나19로 인해 육고기 섭취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자체에 변화가 생겼다. 정육공장에서 양돈농가의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자 출하 시기를 놓친 돼지들을 살처분하며 공장식 축산 시스템에 대한 혐오감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커졌다.

 

육류에 대한 선호도는 낮아진 반면, 식물 기반 대체육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는 올라갔다. 국제식품정보협의회(International Food Information Council)의 설문에 따르면 41%의 소자들이 새로운 식품을 시도하기 위해 식물성 대체육을 먹기로 결정했다고 답했다.

 

45%의 소비자는 영양성분표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식물성 대체육이 간 쇠고기보다 건강하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또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식물성 식품을 먹으면 더 건강하다고 느낀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욘드미트와 임파서블푸즈는 늘어난 수요 충족을 위해 생산설비를 확장했으며 플랜터블푸즈(Plantible Foods), 리벨리어스푸즈(Rebellyous Foods)등 식물 기반 단백질에 초점을 맞춘 신생기업들도 수백만 달러의 투자를 받으며 성장 중이다.

 

플랜터블푸즈는 물가에서 자라는 개구리밥(Lemna)으로 단백질을 생산한다. 개구리밥은 단백질 함량이 45% 이상이며 섬유질, 비타민 등 미량영양소가 풍부히 들어있다. 주요 알레르기 항원도 없어 섭취가 더욱 편하다. 개구리밥은 번식과 성장이 빨라 미래 식량으로 꼽히는 식물이기도 하다.

 

육류 가공기업도 식물 기반 대체육 시장 합류

육류 산업에 대한 윤리 및 환경 문제가 대두되며 위기를 느낀 육류 가공기업들도 식물 기반 대체육 시장에 뛰어들었다. 타이슨푸즈(TysonFoods), 스미스필드(Smithfield), 호멜(Hormel), 카길(Cargill) 등 육류 가공기업이 식물성 대체육을 생산하고 있다.

 

 

타이슨푸즈는 지난해 6월 대체육 브랜드 ‘Raised & Rooted’를 공개하며 발 빠르게 시장 변화를 준비해왔다. 2040년까지 전통적인 육류 소비가 33% 감소할 전망이 나오자 새로운 사업 발굴에 나선 것이다. 콩 단백질과 식물 성분을 혼합해 만든 너겟, 베이컨 등 상품을 판매한다.

 

 

스미스필드 작년 9월 대체육 브랜드 퓨어 팜랜드(Pure Farmland)를 통해 콩으로 만든 식물성 패티, 미트볼 등 상품을 공개하고 전국 식료품에서 판매에 들어갔다. 스미스필드 측은 “식물성 고기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증가하는데 관련 산업에 투자하지 않는 건 어리석은 일”이라 밝히며 앞으로 육류 시장에 큰 변화가 올 것을 암시한 바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대체육 기업 임파서블푸즈의 팻 브라운(Pat Brown) 최고 경영자는 식물성 대체육이 15년 뒤면 동뭉성 제품을 완전히 대체할 것이라 전망하는 등 대체육 시장의 성장의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GS25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 도시락 출시 일주일 만에 15만 개 판매 돌파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지난 13일 선보인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 도시락이 출시 일주일 만에 판매량 15만 개를 돌파했다.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은 2016년 출시돼 큰 인기를 끌었던 ‘명불허전 치킨도시락’을 업그레이드한 제품으로 ‘돌아온 혜자 시리즈’의 네 번째 라인업이다. 최근 런치플레이션 심화로 점심값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GS25는 과거 단종된 인기 도시락을 재출시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검증된 맛과 추억의 메뉴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물가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은 치킨 스테이크, 츠쿠네, 토네이도 소시지, 고추장 제육 등 육류 위주의 메인 반찬으로 알찬 구성이 특징이다. 여기에 꿀마늘닭강정, 꼬마매콤돈까스, 어묵볶음, 볶음김치 등의 다양한 밑반찬까지 더해 풍성한 정찬형 도시락으로 가성비를 높였다. 가격은 5800원이다. 한편, GS25는 올해 4월부터 단종된 혜자 도시락을 재해석해 선보이는 ‘돌아온 혜자 시리즈’를 운영하며 △혜자로운 돌아온 등심돈까스(4월) △혜자롭게 돌아온 완전크닭(6월) △혜자로운 돌아온 바싹불고기(7월)를 출시했다. 제일 먼저 출시한 ‘혜자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서울 전통시장에서 미쉐린 셰프와 함께하는 외국인 대상 쿠킹 클래스 열려
서울시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시장의 매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로컬 미식 쿠킹 클래스 프로그램을 9월 중 총 2회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9월 15일과 9월 20일에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총 3시간 동안 진행된다. 이번 쿠킹 클래스는 전통시장에서 직접 식재료를 구매한 뒤, 스타 셰프와 함께 요리를 만드는 체험형 콘텐츠로 마련됐다. 단순한 요리 수업을 넘어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재래시장 문화를 이해하고, 현지 음식 재료를 활용한 한식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체험을 이끌 박주은 셰프와 황진선 셰프는 각각 미쉐린 가이드와 미쉐린 빕 구르망에 선정된 경력을 보유한 스타 셰프들이며, ‘서울미식100선’에도 3년 연속 선정된 레스토랑의 오너 셰프들이다. 특히 황진선 셰프는 인기 요리 예능 프로그램인 ‘흑백요리사’에 백 요리사로 출연한 이력도 있어, 외국인 참가자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각 클래스는 서로 다른 전통시장(경동시장‧망원시장)에서 진행되며, 회차별로 참여하는 셰프가 달라 매번 색다른 미식 경험이 가능하다. 체험은 한 회당 외국인 8~10명 내외의 소규모로 운영된다. 9월 15일에는 박주은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지금 일본은] 일본 최초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 화제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재팬이 8월 14일(목) 일본 최초의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를 도쿄 하라주쿠 오모테산도에 오픈했다고 밝혔다. 트렌드의 발신지 하라주쿠 중심에 해리포터의 새로운 거점 탄생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는 총면적 약 900㎡ 규모의 2층 매장으로, 한정 상품과 마법 세계의 매력이 담긴 다양한 아이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쇼핑 도중에 즐길 수 있는 ‘버터맥주 바’와 작품 속을 연상시키는 포토 스폿도 마련돼 있다. 하라주쿠를 찾는 누구나 부담 없이 방문해 ‘해리포터’ 세계관을 체험하며 작품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금지된 숲’ 테마, 올빼미와 히포그리프 ‘벅빅’이 맞이해 안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거대한 나무와 부엉이들이다. 매장 안 우뚝 솟은 나무 사이로 유유히 날아다니거나 무성한 녹색 가지 위에서 날개를 쉬는 부엉이들의 모습이 펼쳐진다. 또한 나무줄기 위에는 다양한 마법 동물들도 자리하고 있어 방문객들은 마법 세계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다. 한정 굿즈부터 푸드까지 마법 세계를 만끽 하라주쿠 한정 패션 잡화, 문구, 과자를 비롯해 네 기숙사의 세계관을 체험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