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미식 투어]서울에서 꼭 맛봐야 할 메뉴 1탄

 

떼레노

바스크 식 대구 요리 바깔라오

 

 

스페인어로 ‘땅’, ‘대지’를 뜻하는 상호처럼 자연 그대로의 맛을 추구하는 신승환 셰프의 모던 스패니시 다이닝. 자연주의 퀴진답게 옥상 텃밭에서 직접 재배하는 허브와 채소류로 ‘팜 투 테이블’을 실천하고 있다.

 

메뉴는 셰프가 일하던 스페인 북부 바스크 지역의 퀴진을 베이스로 계절에 어울리는 코스 요리를 선보인다. 소금에 절인 뒤 말린 대구를 물에 불려 조리한 대구 요리 바깔라오는 촉촉한 식감과 생선의 풍미가 살아 있는 대표 메뉴. 이탈리아산 트러플의 향미로 마무리한다.

 

이태리재

장인의 어란을 만난 파스타

 

 

소격동 골목의 작은 한옥을 개조해 만든 이탤리언 비스트로. 전일찬 셰프가 베네치아에서 요리를 배우던 시절 눈여겨보던 현지 전통 한 입 거리 음식 치케티를 비롯해 다양한 파스타류를 맛볼 수 있다.

 

인기 파스타 중 성게어란파스타는 전남 영암에서 공급받는 명장의 어란으로 만들어 더욱 각별하다. 수작업으로 만들어진 깊은 풍미의 어란과 부드러운 성게, 묵직한 보디감의 소스가 다채로운 미각의 레이어를 형성한다. 쫀득한 트러플 크림 뇨키도 인기 메뉴. 공간이 협소하여 예약은 필수다.

 

갈리나 데이지

식감과 풍미를 살린 버섯 요리

 

 

2014년 서촌에 문을 연 박누리 셰프의 이탤리언 다이닝. 낡은 양옥집을 개조해 만든 아늑한 공간으로 3층 루프톱에서 바라보는 북악산과 인왕산 전망은 덤이다. 신선한 재료 본연의 맛이 살아 있는 이탈리아 가정식을 코스와 단품으로 맛볼 수 있으며 코스 구성은 시즌별로 달라진다.

 

전채 요리인 풍기는 짙은 향의 치악산 큰송이버섯에 포항초와 수제 리코타 치즈 등으로 속을 채워 구운 시그너처 메뉴.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데친 시금치를 사용하지만 포항초를 살짝 숨만 죽이고 사용해 아삭한 식감이 잘 드러난다.

 

디어와일드

게리동 서비스로 누리는 소갈비살

 

 

이준 셰프의 클래식한 유러피언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도심 속 산장 콘셉트로, 중후하면서도 모던하게 꾸민 공간은 더플라자호텔에 자리한다. <스와니예>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이며 클래식한 정통 프렌치와 이탤리언 퀴진의 극치를 경험할 수 있는 미식 공간이다. 메인 디시의 경우, 고기는 큰 덩어리째로 요리한 뒤 고객 앞에서 직접 썰어 제공하는 게리동 서비스를 통해 진정한 파인 다이닝 서비스를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향, 오가는 이야기 등이 모두 미식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셰프 스페셜 소갈비살 웰링턴은 하루 동안 수비드한 소갈비살을 볶은 버섯, 햄으로 감싼 뒤 페이스트리를 입혀 구워낸 시그너처 메뉴로, 치미추리 소스, 씨겨자, 올리브 절임, 버섯 스튜 등을 함께 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비프 웰링턴의 밀키트 론칭을 계획 중이라 하니 곧 집에서도 이준 셰프의 메인 요리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다로베

정통 나폴리식 화덕 피자

 

 

<더 키친 살바토레 쿠오모> 출신의 강우석 셰프가 2017년 오픈한 나폴리 피자 전문 피체리아. 이탈리아에서 주문 제작한 흰색 화덕에 구워 내는 정통 나폴리식 피자로 금세 서울숲 핫 플레이스로 등극했다.

 

그중 카프리초사는 이탈리아어로 ‘변덕쟁이’를 뜻하는, 이탈리아의 가장 보편적인 피자. 구운 프로슈토와 양송이, 블랙 올리브, 모차렐라 치즈 등이 올라가는데 산 마르지아노 토마토로 만든 소스와 시칠리아산 소금, 부팔라 모차렐라 치즈만을 사용해 현지의 맛을 살렸다. 반달 모양 칼초네와 프로슈토, 달걀 등이 올라간 시그너처 비스마르크 피자도 대표 메뉴.

 

툭툭누들타이

태국 정취를 전하는 똠얌꿍

 

 

지금처럼 핫한 연남동 상권의 시작에는 이곳이 있었다. 2011년 테이블 4개의 작은 공간으로 시작해 현재 3층 건물 전체를 사용하는 규모로 성장한 곳으로 창의적이고 캐주얼한 태국 음식을 선보이고 있다. 태국인 요리사가 현지의 맛을 재현하고, 공간을 장식하고 있는 각종 소품도 모두 태국에서 공수해온 것들이다.

 

4년 연속 미쉐린 가이드 빕 구르망에 오르고 있으며 코로나19 사태 와중에 태국 현지 요리가 그리운 이들로 문전성시다. 상큼한 라임 향과 달콤한 코코넛밀크가 조화를 이루는 똠얌꿍은 이곳의 대표 메뉴. 최근에는 태국 요리와 어울리는 내추럴 와인 페어링도 평이 좋은 편이다.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바앤다이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barndining


푸드&라이프

더보기
대한항공, 식물성 원료로 만든 신규 기내식 용기 도입한다
대한항공은 12월부터 식물성 원료로 만든 비목재 펄프 소재로 제작된 기내식 용기를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탄소 배출 저감에 적극 동참하고자 마련됐다. 올해 12월 일부 노선 도입을 시작으로 2026년 말까지 신규 용기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변경하는 기내식 용기는 항공기에서 제공되는 주요리를 담는 용도다. 주로 일반석 고객 대상으로 한식·양식 메인 요리 용기로 활용돼 왔다. 신규 기내식 용기는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다양한 식물성 원료로 만든 비목재 펄프 소재로 제작됐다. 이 소재는 나무를 벌목하지 않고도 생산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상적인 친환경 소재로 꼽힌다. 또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된 환경에서도 변형이 적고 견고한 내구성을 자랑해 사용 편의성까지 높였다. 대한항공은 이번 기내식 용기 개편으로 탄소 배출량은 60%가량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한항공은 이번 기내식 용기 개편은 장기적으로 환경 보전과 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라며, 대한항공은 앞으로도 글로벌 항공업계의 탈탄소 동향과 ESG 경영 트렌드에 발맞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고객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