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여행] 해방촌 골목ㅣPart 1

 

서울 남산 자락 아래, 해방촌 초입에서부터 이어지는 언덕길을 넘어 걸었다. 골목 사이사이로 국적과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자신만의 감도를 담아내는 다이닝들이 흩어져 있다. 프랑스에서 홍콩으로, 다시 동남아시아로. 해방촌에서 시작되는 세계 미식 여행.


피자와 맥주로 해방촌을 채우다

보니스피자펍

 

'치맥'이라는 클래식한 조합의 아성 속에 ‘피맥’을 외치며 문을 연 <보니스피자펍>.

2012년부터 같 은 자리를 지켜온 해방촌의 오래된 얼굴이다. 해 방촌이 고향인 정은조 대표와 뉴질랜드 출신의 말 콤 루크 대표가 스포츠 중계를 보며 피자와 맥주 를 즐기는 뉴질랜드 문화를 한국에서도 나누고 싶 다는 바람으로 시작했다.

 

 

‘Pizza, Beer, Sports’ 를 모토로, 다양한 맥주와 함께 럭비나 축구 중계 를 즐길 수 있는 캐주얼한 분위기를 갖춘 것이 특 징이다. 해방촌 초입을 거닐어본 사람이라면 <보 니스피자펍> 앞에 길게 늘어선 줄을 한 번쯤은 마 주쳤을 것. 오래도록 사랑받는 이유는 단연 맛에 있다. 페퍼로니, 하와이안 등 클래식한 메뉴 외에 도 비건 피자인 ‘베지 유토피아’, 김치를 활용한 ‘김 치 컬트’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특히 치 즈의 깊은 풍미가 인상적인데, 뉴질랜드를 비롯 한 여러 나라의 치즈를 섞어 사용한다고.

 

‘해방촌 맛집’을 논할 때 필히 언급되는 피자집. 대표부터 직원까지 모두 외국인으로, 이국적인 해방촌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다.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3길 2

오랜 시간 속에 더욱 깊어진 프렌치의 맛

꼼모아

 

해방촌 골목을 따라 오르다 보면 오른편으로 빨간색 차광막이 눈에 띈다.

해방촌이 지금처럼 힙해지기 전, 2014년부터 오래도록 자리를 지켜온 프렌치 비스트로 <꼼모아>다.

 

업장명은 ‘나처럼’이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어 ‘Comme Moi’에 김모아 오너 셰프의 이름을 더해 ‘Comme Moa’로 재치를 더했다. 완벽에 가까운 프랑스 현지의 맛을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이 이곳의 특징. 오랫동안 대표 메뉴로 자리 잡은 ‘비프 웰링턴’은 한 외국인 손님이 그리운 가족과의 추억이 담긴 요리를 만들 어줄 수 있겠느냐는 요청에서 시작되었다.

 

 

최상급 안심을 올리브오일에 시어링해 육즙을 가두 고, 숙성된 머슈룸 뒥셀과 얇게 저민 파르마 햄으 로 감싼 뒤 수제 퍼프 페이스트리를 덧대어 바싹 하게 구워낸다. 한 입 베어 물면 입안 가득 채우는 비프의 풍미가 매력적이다. 작은 프랑스라 불리는 <꼼모아>는 해방촌 다이닝 계의 알아주는 터줏대감이다. 비프 웰링턴을 맛 보기 위해 전국에서 찾아올 정도다.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 56, 1층

아시안 퀴진을 품은 와인 바

사테​

 

호주에서 일하던 시절 인연을 맺은 남영현, 최윤 호 셰프가 2020년 오픈한 모던 아시안 레스토랑이다. 해방촌의 정취와 아시안 풍미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곳으로 특히 동남아시아의 향신료와 허브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요리를 선보인다.

 

 

숯에 구운 골뱅이에 사테 소스를 곁들인 요리, 대만식 닭 튀김, 사천식 콜드 누들 등 접시마다 서로 다른 아 시안 풍미를 살린 조리 방식과 다채로운 향신료 사용으로 입맛을 자극한다. 특히 요리와 어울리는 와인을 세심하게 추천해주는 것으로 소문이 자자하니 약 500-600종에 달하는 방대한 와인 리스트 속에서 헤매기보다는 와인 디렉션을 담당 는 남영현 대표의 추천에 기대보자.

 

공간은 따뜻한 우드 톤으로 마감한 캐주얼한 분위기에 은은한 조명으로 이국적인 무드를 연출했다. 이곳만의 방식으로 풀어낸 아시안 플레이버가 와인을 부르는 해방촌의 미식 공간이다.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 25

스페셜한 하이볼에 레트로한 매력 한 스푼

성광대도

 

2016년 문을 연 <성광대도 星光大道>는 ‘스타의 거리’라는 뜻을 지닌 홍콩식 감성의 요리 주점이다. 오랜 시간 해방촌의 밤을 지켜온 공간으로 붉은 네온 간판이 마치 홍콩의 골목에 도착한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는가 하면, 낮은 조도와 낡은 포스터, 붉은 조명이 포인트인 내부는 언뜻 1980년대 홍콩 누아르 영화 속 장면을 연상케 한다.

 

 

이곳의 시그너처는 단연 하이볼이다. 기본에 충실하 면서도 창의적인 조합으로 구성된 하이볼 리스트가 준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두유 하이볼’과 ‘밀크 티 하이볼’이 인기 메뉴. 요리도 뒤지지 않는데, 대 표 메뉴로는 강한 불에 빠르게 볶아내 불 향을 입 힌 ‘묵은지 볶음밥’이 있다.

 

 

기름기 없이 담백하게 볶은 밥 위로 묵은지의 시큼함과 구수함이 풍미를 더한다. 오래된 듯 낡지 않고, 이국적인 듯 부담스 럽지 않은 분위기의 <성광대도>는 해방촌이 품 고 있는 밤의 무드를 가장 세련되게 해석해낸 공 간일 것.

 

다국적 요리를 내는 하이볼 맛집. 요리가 맛있어 서 술맛이 더 좋다. 혼술할 때면 꼭 생각나는 곳이다.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 63 지층

브런치부터 디너까지, 감각적인 조합

오리

 

브런치 베이커리 <오파토 Opato>와 와인 바 <오 리 Ori>로 함께 운영되는 곳. 2019년 해방촌 골목 어귀에 자리 잡고, ‘An Original Idea’에서 앞 글자를 따와 이름 지었는데, 우연히 오리 Duck를 뜻하는 라틴어 ‘오파토’를 발견하고 반가운 마음에 베이커리의 이름으로 정했다.

 

 

활짝 열린 테라스 풍경에 유럽식 빈티지 인테리어로 아늑하게 채운 이국적인 분위기에 매료되어 공간을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배가 부른 기분. 놓쳐선 안 될 이곳의 대표메뉴는 성게알과 매생이를 활용한 ‘우니 매 생이 크림 파스타’. 한식과 유럽식 사이 어딘가, 익 숙한 감칠맛의 풍미가 생소한 형태로 다가오는 매력이 있다. 꾸덕한 면을 들어 올려 김으로 싸 먹는 것이 포인트. 권지예 대표는 어울리는 와인으로 보디감이 있는 샤르도네 와인을 추천했다.

퇴근 후 가볍게 와인 한잔 걸치기 좋은 곳. 화덕에 서 구운 요리들도 수준급이다.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거창군 김정오 땅강아지 사과밭 대표, 30년 노하우 담긴 사과 품질향상 기술 특허등록
거창군은 30년 경력 사과 농업인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특허를 획득하며, 지역 과수산업에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땅강아지 사과밭’의 김정오 대표는 1990년부터 사과농사를 시작해 36년째 현장을 지키고 있는 장인 농업인으로, 사과 명인, 사과 마이스터, 사과 신지식인 등 정부에서 수여하는 인증 3개를 모두 취득하며 ‘사과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거창의 대표 장인 농업인이다. 최근에는 사과의 당도와 착색을 향상시키는 시비기술을 개발해 특허등록(특허 제10-2799786호)까지 성공하며, 기술기반 농업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기술은 생육 단계별 수세 진단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시비 체계로, 비료 성분의 시기별 조절을 통해 착색불량과 당도 편차 문제를 해결한 것이 특징이다. 현장 적용 결과 사과 평균 당도는 1.5브릭스 이상 상승하고 착색율은 20% 이상 개선되는 등 뚜렷한 품질향상 효과가 입증됐다. 현재 농장규모는 과거보다 줄었지만, 김 대표는 고품질 소량생산체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후배 농업인들에게 아낌없이 전수하고 있다. 현장실습, 품질 진단 멘토링, 수형 개선 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후진 양성에도 열정을 쏟고 있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