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라이프] 이런 맛남|쌀누룩, 이인자 명인×김봉수 셰프

면역력의 시대, 발효의 가치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체내 면역세포는 70%가 장에 살고 있다. 그래서 장이 중요하다.

장을 튼튼하게 하는 식품 중 으뜸은 발효 식품. 유익균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원재료의 풍미와 감칠맛을 향상시킨다. 그 ‘발효 마법’의 중심에는 누룩이 있다.

 

 

그중 특유의 단맛이 인상적인 ‘쌀누룩’을 한식에 접목해 천연 발효 조미료를 만드는 비범한 전문가가 있다. 바로 울산 ‘이인자소금누룩익는마을’의 이인자 명인이다.

 

그의 쌀누룩 조미료를 들고 최근 샐러드 전문점 <그린뉴밀>을 오픈한 김봉수 셰프를 찾았다. 평소 쌀누룩을 다양하게 요리에 활용해온 그가 새로 선보인 요리는 과연 무엇일까? 쌀누룩의 명인과 발효 요리에 일가견 있는 요리사가 ‘맛있는 만남’을 가졌다.

 

Artisan's Story

발효라는 마법의 씨앗, 쌀누룩

 

각종 곡물에 균을 번식시켜 만든 누룩은 발효라는 마법을 일으키는 씨앗이다. 마치 마법의 지팡이처럼 식재료의 세포들을 분해하면서 본연의 맛에 달큰하면서도 짭조름하고 그윽한 풍미를 골고루 덧입힌다. 이렇게 만들어진 묘한 맛을 우리는 ‘감칠맛’이라 부른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 발효 식품이 발달한 동북아시아 문화권에서 누룩은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식재료다. 누룩은 삼국 시대에 술 빚는 방법과 함께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일본의 가장 오래된 역사책 「고사기」에 ‘백제에서 건너온 명인에게 술 빚는 법을 배웠다’고 적힌 기록이 그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이후 온도와 습도 등 자연환경에 따라 두 나라의 누룩은 조금씩 변형되어왔다. 우리 전통 누룩은 각종 곡물을 떡처럼 뭉친 ‘병국餠麴’ 형태가 대부분인 반면, 습도가 높은 일본은 누룩을 두껍게 빚으면 쉽게 썩기 때문에 쌀을 찐 뒤 흩트려 균을 입히는 ‘산국散麴’ 형태로 발전했다.

 

또한 자연 속 각종 미생물로 누룩을 띄우는 우리와 달리 일본은 우수한 균들을 마치 가축 농장처럼 오랜 역사 속에서 키우고 보존해왔다.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우리 전통 방식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개성적인 맛을 내는 반면 결과물이 다소 안정적이지 않고, 일본의 방식은 결과물이 우수하고 안정적이나 발효 특유의 개성은 한국 누룩에 비해 다소 단조롭다는 평이 있다.

 

 

한국에서 누룩은 대부분 양조용으로 사용되어왔지만 최근에는 요리의 맛을 건강하게 끌어올리는 천연 발효제로도 각광받고 있다.

특히 쌀누룩은 갖가지 이로운 효소를 품고 있어 발효 효율이 뛰어나고, 쌀 특유의 단맛이 특징이자 장점이다. 울산에 위치한 ‘이인자소금누룩익는마을’의 이인자 명인은 일본에서 배워온 쌀누룩 발효 기술을 한식에 접목해 우리 입맛에 맞는 발효 조미료와 레시피를 개발하는 ‘쌀누룩 발효 전문가’다.

 

25년간 대학에서 일본어 강의를 하던 그는 뒤늦게 요리연구가의 꿈을 안고 국내에서 식품영양학 석사 과정을 밟으며 한식에 대해 공부한 뒤, 56세의 나이에 ‘매크로바이오틱’을 배우러 일본으로 건너갔다.

 

교육을 수료한 후엔 초청을 받아 매달 한 번씩 구마모토현 미사토조 마을에서 한국 발효음식에 대한 강의를 했다. 한국의 된장, 고추장, 김치를 그곳의 농산품에 접목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급기야 강의에 감동한 수강생이 일본의 쌀누룩을 가르쳐주겠다며 지역의 발효 명장을 연결해주기에 이르렀다. 그렇게 그녀와 쌀누룩의 인연이 시작됐다.

 

 

쌀누룩으로 만든 발효 조미료와 음료는 염도를 효과적으로 낮추면서도 감칠맛은 살려주는 건강식이다.

하지만 일본식 쌀누룩 제품은 우리 입맛엔 너무 달고, 우리 쌀의 수분 양과 당도에 맞춰 누룩을 만들려면 새로운 연구가 필요했다. 한국에 돌아온 그녀는 국내산 쌀을 누룩으로 만들기 위한 최적의 발효 조건을 찾는 연구에 매달렸다.

 

그렇게 2년간의 시행착오 끝에 쌀누룩 생산에 성공, 한국인의 입맛에 맞고, 한식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발효 식품들을 2015년부터 선보이고 있다. 특히 쌀누룩 발효 된장은 기존 재래식 된장보다 염도를 3분의 1이나 낮추면서도 감칠맛이 뛰어나고, 사계절 언제나 담글 수 있는 신개념 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 인기에 힘입어 그녀는 지난해 ㈔한국문화예술명인회로부터 ‘쌀누룩 발효 조미료 및 발효장’ 부문 한국 명인으로 선정됐다.

 

쌀누룩 발효 식품들은 염도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감칠맛까지 더한 꿈의 조미료입니다. 인공 화학조미료 없이도 모든 음식을 맛있게 만들어주지요.  -이인자 쌀누룩 발효 명인

 

Chef’s Story

샐러드, 누룩 과 만나다

 

우드 파이어 레스토랑 <도마>와 해산물 캐주얼 다이닝 <마린>의 메뉴를 총괄하는 김봉수 셰프는 최근 같은 건물 1층에 샐러드 전문점 <그린뉴밀>을 오픈했다.

이전에도 쌀누룩을 요리에 다양하게 활용해온 김 셰프는 ‘연어 아보카도 찹샐러드’에 사용할 연어를 재울 때 직접 만든 소금누룩을 사용했다.

이번엔 명인의 소금누룩에 오렌지, 레몬 껍질을 넣어 간편하게 재우면서 연어에 상큼함과 부드러움을 더했다.

 

 

또 하나의 스페셜 메뉴 ‘섬머 가든’에는 명인의 조미료들을 다양하게 활용했다. 리코타 치즈에는 소금누룩의 짭짤함을 더하고, 저염된장은 버섯과 소고기를 섞어 디핑 소스처럼 만들었으며, 완두콩 퓌레엔 청양고추누룩을 섞어 매콤함을 더했다. 누룩의 감칠맛을 입은 채소들이 접시에 화려하게 피었다.

 

한국적인 감칠맛이 진한 누룩저염된장과 김치 같은 뉘앙스의 청양고추누룩이 인상적이었어요. 청양고추누룩에 완두콩을 넣어 '녹색 고추장 퓌레'를 만들어보았죠.  -김봉수 <그린뉴밀> 총괄 셰프

 

  • 연어 아보카도 찹샐러드(Salmon and Avocado Chopped Salad)

 

먹기 좋게 썬 로메인, 시금치, 적상추 위에 소금누룩에 재운 연어, 아보카도 등을 올리고, 발사믹, 마요네즈, 파르메산 치즈 가루를 섞은 시저 드레싱을 뿌렸다. 신동진 쌀, 와일드 라이스, 보리가 들어 있어 한데 비벼 먹으면 포만감과 함께 신선하면서도 부드러운 연어의 육질과 환상적인 아보카도의 조화를 미각으로 만끽할 수 있다.

 

  • 섬머 가든(Summer Garden)

 

여름 채소 가득한 싱그러운 정원을 표현한 샐러드. 소금누룩 특유의 짭조름함을 더한 리코타 치즈 위에 와일드 라이스 등을 갈아 만든 고소한 식용 흙을 뿌리고, 주키니, 미니 당근, 튀긴 브로콜리, 선드라이드 토마토, 각종 식용 꽃을 섬세하게 꽂았다.

청양고추누룩 완두콩 퓌레, 저염된장 디핑 소스 등을 더해 함께 먹으면 복합적인 맛을 풍성하게 느낄 수 있다.

 

 

※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전북자치도 미래 식품 패러다임 전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본격 육성
전북특별자치도가 초고령화와 개인 건강관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 육성에 착수했다. ‘맞춤형 케어푸드’는 단순한 기능성 식품을 넘어, 개인의 유전정보·건강상태·식습관을 종합 분석해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식품을 의미한다. '맞춤형 케어푸드' 신산업 육성 통해 미래 먹거리 창출 1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국내 케어푸드 시장은 2022년 약 5천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15.3% 성장했으며, 연평균 8%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도 2023년 236억 달러에서 2028년 36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식품분야 미래 먹거리 창출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수명 연장, 사회경제적 부담 완화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계획은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R&D 강화’를 통한 미래농산업 전환’이라는 대통령 공약과도 맞물려 있으며, 관련 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한다는 국가적 목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D·기업지원·지역연계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낮에는 예술, 밤에는 낭만 … 8월의 진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진주시는 역사·예술·미식이 어우러진 8월 이색 관광콘텐츠를 준비해 전국에 있는 가족단위 관광객을 초대한다. 진주시가 준비한 이색 관광콘텐츠는 빛으로 물든 진주의 여름밤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와 무더위를 피해 아이들과 시원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는 실내 관광지를 포함한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을 엄선한 것.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은 관광객들이 물과 빛이 흐르는 아름다운5 도시, 진주만의 매력을 느끼면서 황홀경에 빠지고, 낭만적인 여름밤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올여름 가장 빛나는 진주성의 밤,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은 다양한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진주성에 적용해 문화유산 가치를 쉽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 공모사업으로, 진주시는 전국 8개의 미디어아트 사업 수행 지자체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올해는 ‘법고창신, 진주성도’라는 주제로 오는 9월 7일까지 진주성 일원에서 펼쳐진다. ▲공북문의 융복합 미디어 파사드 ▲영남포정사의 소리와 빛으로 교감하는 인터랙티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