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인사이트] 차세대 주류시장 이끌 3대 키워드는?!

‘무알코올·건강·수제’, 주류시장 핫 키워드

세계 주류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2조 달러(2,432조 원), 총 소비량은 2,711 백만 리터로 추정된다.
건강, 웰빙을 중시하는 소비문화가 퍼지며 주류 시장은 새로운 변화에 직면했다. 향후 재편될 주류 시장의 흐름에 대해서 살펴본다.

 

주류시장서 뜨는 무알콜음료

2019년 세계 주류 품목별 매출액을 보면 맥주 소비량이 664,344백만 달러(약 808조 원)로 다른 주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하지만 2019~2024년 예상 연평균 성장은 3.2%로 와인(6%), 증류수(4.1%)보다 낮다.

 

 

주류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이는 건 아이러니하게도 무알코올 음료이다. 같은 기간 연평균 23.1%의 성장률이 예상돼 주류 업계에서도 관련 제품 개발에 한참이다.

 

밀레니얼 세대가 주 소비세대로 등장하며 과거와 음주 문화가 달라졌고, 건강과 웰빙이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은 것이 주 원인으로 해석된다.

 

 

일본에서는 게코노미쿠스(ゲコノミクス :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 모임)가 주류 시장에 소비층으로 떠오르며 빠르게 성장 중이다. 일본의 무알코올 시장의 가치는 약 3,000억 엔(약 3조 원)으로 평가된다.

 

이에 반해 보드카, 럼주, 주정강화와인(알코올 도수를 18%이상 높인 와인)처럼 도수가 높은 주류는 하락세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친환경 소비하는 주류 시장

술을 보다 더 건강하게 마시려는 추세에 맞춰 과일이나 채소가 들어간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미국의 21Seeds(씨드)는 가장 잘 익은 오이, 오렌지, 자몽 등을 활용해 만든 데킬라를 선보였다. 화학 물질이나 착색제가 일절 포함되지 않았다.

 

 

천연성분 음료로 맛뿐만 아니라 150kcal의 저칼로리 술로 인기를 끈다. 21씨드는 최적의 맛을 내고자 증류소에 맞춤형 냉장 시스템을 구축했다.

 

친환경 소비 방식은 주류 시장에도 영향을 끼쳤다. 주류 제품을 선택할 때도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고려하는 소비자가 갈수록 늘고 있다. 이에 미국의 풀 세일 브루잉(Full Sail Brewing) 기업은 맥주 생산에 사용되는 물 소비량 줄이기에 나섰다.

 

 

맥주 양조장에서 맥주를 만들 때 6~8갤런(22~30리터)의 물을 필요하나 풀 세일 브루잉은 3갤런(11리터)으로 낮췄다. 이를 통해 매년 310만 갤런(1,100만리터)의 물을 절약하고 있다.

 

또한, 매월 풍력 발전기를 정기적으로 도입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하는데 투자한다. 맥주를 만들고 남는 곡물은 지역 농부에게 제공해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양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활짝 열린 수제 맥주 시장

글로벌데이터의 소비자조사(2018년)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 약 35%가 수제 맥주에 대한 구매 의사를 밝혔다. 기성 맥주 소비는 둔화된 반면 소형 양조장마다 독특한 제조법으로 만든 수제 맥주에 대한 관심은 높다.

 

2013년 미국 콜로라도주에 설립한 와일리 루츠 브루잉 컴퍼니(Wiley Roots Brewing Company)는 매해 독특한 수제 맥주를 선보이고 있다.

 

 

메이플&피칸 스튜르델(독일식 패스츄리) 밀맥주는 맥주에 패스츄리 향이 첨가돼 쌉싸름하면서 달콤한 맛이 특징이다. 지난해에는 6주년을 기념해 체리와 라임을 곁들인 체리&라임에이드, 모히토 슬러시, 로제 슬러시 등 수제맥주를 한정 출시했다.

 

 

미국에는 8,000개가 넘는 소규모, 독립 양조장이 있으며, 지역마다 맥주 애호가를 위한 개성 있는 맥주를 찾아볼 수 있다. 매년 그레이트 아메리칸 비어바((Great American Beer Bars)를 주 별로 선정한다.

 

우리나라도 주세법이 종가세에서 종량세로 개편되고,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이 가능해지며 소규모 양조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맛, 향의 차별성이 중요한 만큼 지역 농산물 소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코로나19 이후 집에서 주류소비를 하는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에 소형 양조장들도 와일리 루츠 브루잉 컴퍼니처럼 드라이브 스루 등 비대면 판매 방식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2025년 미추홀 최고 맛집’ 5곳 선정 ‘맛있는 집 발굴 경연대회’를 통해 선정…구청장 표창 수여
인천 미추홀구는 외식산업 활성화와 음식문화 발전을 위해 개최한 ‘2025년 미추홀 맛있는 집 발굴 경연대회’에서 최고의 맛집 5개소를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지역의 우수 외식 업소를 발굴해 주민과 관광객에게 알리고, 건강하고 품격 있는 음식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1차 현지 심사에서는 업소의 위생과 시설 등을 점검해 11개 업소가 통과했으며, 이어 지난 7월 21일부터 4일간 진행된 2차 심사에서는 심사위원단이 직접 업소를 방문해 맛, 영양, 구성과 조화, 모양과 색채, 조리와 위생 5가지 항목을 평가했다. 심사 결과, ‘2025년 미추홀 최고 맛집’으로 ▲만손만두(만두전골), ▲만복생선(갈치조림), ▲한담 수제카레전문점(포크 돈까스 카레 정식), ▲명품관(한정식 매), ▲맑은바다 해물칼국수(해물떡볶이 세트)가 선정돼 구청장 훈격의 상장을 받게 됐다. 선정된 5개 업소는 오는 9월 20일 문학경기장 동문 광장에서 개최 예정인 ‘미추홀 음식문화 어울림 한마당 행사’에 참여해 품평회와 시식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영훈 구청장은 “이번 경연대회를 통해 미추홀구를 대표하는 맛집이 발굴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고, 선정업소에 축하의 말씀을 전한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