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이슈]해외파 프랜차이즈 주목!

 

미국의 커피전문점인 ‘블루보틀’ 성수동 1호점은 커피를 맛보려는 인파가 대거 몰리면서 평균 1시간여를 기다릴 정도로 화제가 되고 있다. 과거 열풍을 일으켰던 ‘쉑쉑버거’의 이슈를 능가할 정도다.

국내 외식사장에서 해외파 프랜차이즈들의 선전이 두드러지고 있다.

 

해외 프랜차이즈, 핫한 한국시장 접수

강한 상품과 선진 시스템을 무기로 국내에 상륙한 해외 프랜차이즈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소비 트렌드를 바꿔 놨다.

 

대표적으로 1999년 서울 신촌에 첫번째 매장을 오픈한 ‘스타벅스’는 한국 커피시장에 그야말로 혁명을 가져왔다. 커피문화는 물론 소비 트렌드까지 바꿔놨다.

‘스타벅스’의 입점전략도 벤치마킹 되었다. 스타벅스는 세계 각 매장의 입지를 정할 때 ‘허브 앤드 스포크’ 전략을 구사한다. 축을 중심으로 바큇살이 뻗은 자전거 바퀴 모양에서 유래한 용어인 허브 앤드 스포크는 유동인구가 많은 특정 지역에 매장을 집중시키는 전략이다.

 

1980년대 한국의 창업시장은 가히 ‘패스트푸드와 외국 브랜드’로 요약할 만큼 외국 프랜차이즈들의 전성기였다. 1980년대 초반 ‘롯데리아’의 성공을 보고 프랜차이즈 사업 가능성에 눈뜬 기업들이 외국 브랜드를 적극 도입했던 것.

 

이어 1984년엔 협진양행이 ‘버거킹’을, 두산식품 전신인 한양식품이 ‘KFC’를 잇따라 들여왔다. ‘맥도널드’는 1989년 3월 서울 압구정동에 1호점을 열며 우리나라에 상륙했다.

이 당시 피자 브랜드들도 대거 들어왔다. 1985년 ‘피자헛’ 1호점이 이태원에 문을 열었고, ‘도미노피자’, ‘시카고피자’ 등이 잇따라 한국에 들어왔고 점포 수도 크게 늘어났다.

 

2019년 현재 도미노 피자, 베스킨라빈스, 던킨도너츠, 서브웨이 등의 해외 프랜차이즈들은 이미 한국 외식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아시아발 프랜차이즈 부상

베트남‧싱가포르‧대만 등 현지 음식‧식당도 눈에 띄어

아시아 음식이 전 세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과거에도 일본, 중국, 인도, 태국 등의 음식은 에스닉 푸드(ethnic food)로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이제 별미로 찾는 에스닉 푸드를 넘어 세계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는 대중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아시아 음식이 인지도 높은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 아시아 식품업체가 글로벌 기업화하면서 세계시장을 누비는 것이다.

한국에 진출한 각국 브랜드만 봐도 그 단면을 읽을 수 있다.

공차(貢茶), 딘타이펑, 비첸향, 타이거슈가, 홍루이젠, 베트남 콩카페 등이 그것이다. 식품 종류와 업태도 전통음식부터 디저트까지 다양하다.

 

 

현지에서 유명한 식당이 직접 한국에 점포를 여는 경우도 늘어났다. 최근 대만에서 연어초밥으로 유명한 ‘삼미식당’과 밀크티 브랜드 ‘타이거 슈가’ 등이 서울에 개점했다.

 

 

아울러 베트남 호이안의 맛집 ‘반미프엉’, 싱가포르의 킹크랩 맛집 ‘점보 시푸드’, 브런치 카페 ‘PS카페’ 등은 매장 오픈을 앞두고 있다.

 

 

‘마라(麻辣)’, ‘훠궈’, ‘분짜’ 등 동남아, 중국 현지음식이 국내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으며 식품·외식업계도 발 빠르게 관련 상품에 주목하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이색적인 맛과 향이 일품인 동남아 및 아시아 현지 음식이 기존의 먹거리와는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며 “해외여행객 증가 등으로 현지 식품이 더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도 인기의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국회서 포항 대표 미식 콘텐츠 홍보 … 포항 미식 팝업홍보관 ‘호응’
포항시는 지난 24일부터 국회 소통관 앞 광장에서 포항 미식 팝업홍보관을 호응 속에 운영하고 25일 마무리했다. 대한민국 국회에서 만나는 포항미식 팝업홍보관 행사는 국회를 찾은 국회의원과 정부·유관기관 관계자, 언론, 일반 시민들에게 포항 10味, 푸드테크, 시그니처 디저트 등 포항을 대표하는 미식 콘텐츠를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홍보관에는 포항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미식 분야) 가입 추진 홍보, 포항시 외식업 특화 거리 홍보, 포항 10味 시식 체험 등 포항 외식산업의 대표 정책과 특화 지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가 구성됐다. 등푸른막회·물회 등 ‘포항 10味’ 시식 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의 큰 관심을 끌며 포항 해양 미식의 특징과 맛을 생생하게 전달했다. 특히 ‘AI x FoodTech Zone’에서는 휴머노이드 조리 로봇이 관람객을 인식해 팝콘을 제공하는 시연이 진행돼 현장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첨단기술 기반의 체험형 콘텐츠는 “포항이 지향하는 미래형 미식도시의 청사진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회 관계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지역 디저트를 가볍게 소개하는 시그니처 디저트 존도 운영됐다. 흥해라 이팝(이바비 그린술빵), 해풍미당(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