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건강함 추구하는 미국 냉동 디저트 시장

2019년 미국 내 아이스크림과 냉동 디저트 시장은 166억 달러(한화 19조) 규모에 달했다.

 

 

소비자들은 직장에서나 이동 중에 손쉽게 먹을 수 있는 한입 크기의 디저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체중관리와 건강에 신경을 쓰며 저칼로리, 유기농을 전면에 내세운 디저트 종류가 늘어나는 추세다. 또한, 비유제품 아이스크림 시장이 26% 증가하며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건강한 재료 사용하는 냉동 디저트

2019년 초, 땅콩버터 등을 생산하는 미국 회사 'Crazy Richard’s Peanut Butter'는 'Wholly Rollies'라는 새로운 냉동 단백질 간식을 출시했다. 건강한 디저트에 초점을 둔 제품으로 글루텐 프리 인증, Non-GMO 원료 사용, 정제 설탕 또는 소금을 첨가하지 않았다.

 

 

5~6가지 원료만을 사용하고, 유제품을 포함하지 않아 시간이 지나도 상할 우려가 적다. 코코아 땅콩버터, 딸기 땅콩버터, 시나몬 3가지 맛이 있다.

 

 

아이스크림 회사 ‘Ben & Jerrys’는 최근 쿠키알갱이 디저트 시리즈를 새롭게 선보였다. ‘Cookie Dough Chunks’ 제품은 Non-GMO 원료로 만들어졌으며, 설탕·코코아·커피·바나나 등은 공정 무역을 통해 공급 받는다. 신뢰를 줄 수 있는 재료와 사회적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며 젊은 소비자와 자녀를 둔 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좋다. 땅콩버터 초콜릿 쿠키, 초코칩 쿠키, 비건 초콜릿 등 5가지 종류가 있다. 

 

더 작고 가벼워진 아이스크림

하와이에서 시작한 아이스크림 회사 ‘Bubbies Homemade Ice Cream & Desserts’는 작년 아이스크림을 쿠키 반죽에 넣은 신제품을 출시했다. ‘Cookie Dough Ice Cream Bites’ 쿠키 반죽에 달걀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인공성장호르몬(rBST)을 포함하지 않은 우유를 사용해 만들었다.

 

 

또한, 글루텐프리, Non-GMO 원료로 만들어 누구나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아이들이 먹기 편한 작은 사이즈로 한 개당 칼로리는 130 이하이다. 쿠키 반죽으로 감싸 새로운 풍미와 식감을 선사하는 디저트로 초콜릿 칩, 브라우니, 슈가 쿠키 등 4가지 맛이 있다.

 

미국 ‘Yasso Frozen Greek Yogurt’(이하 Yasso)사는 지난해 아이스크림처럼 먹는 냉동 그리스 요거트 ‘Yasso Snack Buddie’를 선보였다. Yasso은 2009년 설립 이래 아이들을 위해 더 좋은 재료와 영양학적 가치를 가진 저칼로리 간식을 추구해왔다. 창업자인 아만다 클라인(Amanda Klane)과 드류 해링턴 (Drew Harrington)은 유치원 친구 사이이기도 하다.

 

 

‘Yasso Snack Buddie’은 하나당 45~50 칼로리로, 일반 요거트보다 설탕 함량은 25% 줄이고 단백질은 10% 더 높였다. 맛은 박하쿠키, 딸기레몬, 젤리, 레인보우 총 4종류이며, 한 상자 당 8개씩 들어있다.

 

 

한편 'Halo top'은 ‘한통을 다 먹어도 부담 없는’ 저칼로리 아이스크림으로 포지셔닝해 신생 업체임에도 빠른 성장을 이뤘다. 2017년에는 미국의 하겐다즈를 제치고 가장 높은 판매를 기록했다. 'Halo top'의 성공요인은 최근 트렌드에 맞춰 저칼로리, 풍부한 단백질, 유기농 원료를 사용해 건강한 디저트임을 강조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는 식물성우유를 사용한 아이스크림 개발이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미국 식물성식품협회(Plant Based Food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8년 미국 내 식물성 우유 매출액은 전년 대비 9% 증가했다. 귀리, 아몬드 우유 등 식물성우유를 사용해서 만드는 냉동 디저트가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고령친화우수식품 네이밍·슬로건 응모하세요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하 식품진흥원)이 오는 11일(금)까지 ‘고령친화우수식품’의 새로운 이름을 발굴하기 위한 대국민 네이밍·슬로건 공모전을 진행한다.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제도는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을 배려하여 물성, 형태, 영양성분 등을 조정하여 제조된 제품을 인증하는 제도로 고령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고령친화식품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고령친화우수식품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소비자들이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이름을 발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공모전은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소통24, 씽굿, 인스타그램(@foodpolis.kr_sfood)을 오는 7월 11일(금)까지 접수할 수 있다. 심사는 관련 전문가들이 진행하며 심사 기준은 적합성(30점), 대중성(30점), 독창성(40점)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공모전 결과는 7월 중 발표될 예정이며 대상 1점, 최우수상 2점, 우수상 2점 등 총 5점의 당선작이 선정된다. 당선작에는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이사장상과 함께 소정의 상금이 수여될 예정이다. 당선작 중 하나는 대국민 투표를 통해 최종 네이밍으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안성,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수강생 모집
안성시는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관광생태계 구축을 위해 '2025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을 개설하고, 오는 7월 11일까지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화과정은 7월 4일에 종료 예정인 입문과정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관광산업에 대한 기초 이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창업기획 및 업종추가를 목표로 하는 실전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시는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체류형 관광 전환, 지역 일자리 창출, 관광업 기반 창업을 유도하는 3단계(입문–심화–창업) 연계 교육모델을 점진적으로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 관광비즈니스 실현을 위한 맞춤형 실무 교육 본 과정은 단순한 강의식 교육을 넘어 ▲지속가능관광 분야 비즈니스모델 설계 ▲고객 분석 ▲시범사업 기획 ▲마케팅 전략 수립 등 관광 기반 사업모델을 구체화하는 실습 중심의 팀별 맞춤형 교육으로 구성된다. 교육은 7월 18일부터 8월 11일까지 약 4주간 팀별 3~5회 실시되며, 일정과 장소는 팀별 인터뷰를 통해 탄력적으로 조율될 예정이다. 안성시는 이번 과정을 통해 산업관광, 웰니스관광 등 새로운 관광 수요에 대응할 창의적 기획력과 실행력을 갖춘 시민 주도의 관광 전문가를 육성함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