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인사이트]흑당버블티 이어 ‘크림치즈' 에 빠지다

2019년 식음료와 디저트 시장을 휩쓴 건 단연 대만에서 건너온 '흑당 버블티'였다.

‘타이거슈가’를 시작으로독특한 비주얼과 강한 단맛으로 SNS에서 빠르게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30분 이상 줄을 서는 건 물론 흑당 음료가 없던 카페브랜드까지 잇따라 유사한 메뉴를 출시할 정도로 유명세를 탔다.

 

 

홍콩, 대만, 일본에서는 흑당밀크티 붐이 이미 한차례 지나가고 크림치즈티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치즈가 다소 짤 수 있지만 차와 섞인 단맛과 함께 오묘한 맛을 낸다.

흑당버블티는 극적인 ‘단맛’에 특화된 메뉴라면, ‘크림치즈’는 어떤 종류의 치즈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맛을 낼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공략할 수 있다.

 

포스트 흑당버블티로 ‘크림치즈’ 인기

흑당버블티 열풍을 이어갈 디저트는 뭐가 있을까?

일본의 경우 작년 하반기부터 크림치즈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크림치즈와 우유, 소금으로 만든 치즈크림 거품을 음료 위에 얹어 SNS에 찍어서 올리기에 손색없는 비주얼과 단짠이 어우러진 맛으로 차세대 음료 시장 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그중 하라주쿠 라포레에 오픈한 ‘마치마치’라는 디저트카페의 경우 ‘신의 치즈 티’라 불리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약 20종류의 치즈 토핑를 추가할 수 있다. 토핑을 자유롭게 섞어 자신만의 음료를 만들 수 있어 10~20대 젊은 층에 특히 인기다.

현재 대만뿐만 아니라 영국 런던의 중심부인 피카딜리 서커서스에도 출점할 정도로 반응이 좋다.

 

일본 시부야, 에비스, 쿄토 등에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Cheese Cheers Cafe’(CCC)는 또한 다양한 종류의 치즈티를 선보인다. CCC는 세계 각국에서 들여온 치즈를 취급하는 전문점으로 알프스 산장에서 들여온 치즈, 프랑스산 라클렛트 치즈 등 총 5종류 치즈를 음료 위에다 듬뿍 얹는다. 입안에서 녹는 부드러운 치즈와 쫀득쫀득한 타피오카가 섞이며 풍부한 식감을 자랑한다.

 

 

흑당 버블티의 인기를 주도했던 홍콩, 대만 역시 최근에는 크림치즈티 매장으로 손님이 몰리며 유행으로 바뀌었음을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 중국차, 과일차를 활용한 크림치즈티를 판매하는 ‘차롱’, 중국에서 티 열풍을 일으키고 지난 7월 연남동에 문은 연 ‘히레티’, 크림치즈티의 원조인 ‘헤이티’ 등이 있다.

 

식품업계, 2020년 새해 ‘크림치즈’ 메뉴로 소비자 유혹

국내 식품업계 또한 크림치즈 열풍에 주목, 하얀 크림치즈를 활용한 제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글로벌 치킨 브랜드 KFC는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지난 14일, 하얀색이 매력적인 크림치즈볼이 통째로 들어간 신메뉴 ‘폴인크림치즈징거버거’를 출시했다.

 

 

KFC만의 방식으로 튀겨내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통가슴살 필렛과 매콤한 소스에, 달콤하고 부드러운 크림치즈볼이 통째로 들어간 제품으로, 입안 가득 퍼지는 크림치즈의 풍미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중독성 있는 매콤 달콤한 맛으로 출시 이후부터 계속해서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배스킨라빈스’는 최근 프랑스 프리미엄 크림치즈 브랜드 ‘끼리(Kiri)’와 손잡고 이달의 맛 ‘우리끼리’를 출시했다. 1월 이달의 맛 ‘우리끼리’는 부드럽고 진한 끼리 크림치즈 아이스크림에 고소한 풍미를 더해주는 끼리 치즈 케이크 큐브를 더한 제품이다.

 

스타벅스에서 선보인 ‘해피 치즈 화이트 모카’는 치즈와 흰색의 화이트 초콜릿을 활용, 부드러운 풍미와 쫀쫀한 식감이 살아있는 크림치즈 휘핑과 달콤한 화이트 초콜릿이 어우러진 음료다.

 

뚜레쥬르에서는 리얼 브라우니에 위에 크림치즈를 올려 구운 ‘치즈 브라우니’를 선보였다. 기존 진한 초콜릿의 달콤한 맛을 자랑하던 리얼 브라우니에 크림치즈를 듬뿍 올린 단짠 조합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빵과 국수로 만나는 새롭고 맛있는 성북
성북문화재단(대표 서노원)은 로컬 브랜드 ‘성북밀로’의 매력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주민 참여를 확산하기 위해 5월부터 두 가지 특별한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디자인 감각을 더하는 ‘성북밀로 디자인학교’와 생활 속 취향을 나누는 ‘성북밀로 라이프클럽’이 그것이다. ‘성북밀로(城北蜜路)’는 국수, 빵, 파스타 등 밀을 주제로 한 성북의 식문화 브랜드다. 2024년부터 성북구 2030 문화비전 정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이며, 온·오프라인 캠페인과 주민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성북만의 문화적 감각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만들어가고 있다. 빵과 국수, 그리고 취향이 만나는 이번 성북밀로 프로그램을 통해 성북동 골목이 더욱 특별해지는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성북동은 한양도성과 간송미술관, 최순우 옛집 등 풍부한 역사문화 자원과 함께, 나폴레옹제과 같은 오래된 제과점과 1960년대부터 이어온 국시집이 공존하는 동네다. 최근엔 감각적인 베이커리와 디저트 가게들이 속속 생겨나며, ‘밀 음식’이 성북의 로컬 매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성북동길 상권은 서울시 2025 로컬브랜드 육성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기도 했다. 성북밀로 디자인학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2025 임실N펫스타, 더 특별한 프로그램‧더 풍성한 먹거리로의 초대
3일부터 5일부터 열릴 반려동물 문화축제인 2025 임실N펫스타가 더 특별한 즐길거리와 풍성한 먹거리로 1500만 반려인들을 기다린다. 2025 임실방문의 해와 만나는 두 번째 축제인 제40회 의견문화제와 함께하는 임실N펫스타는 반려동물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치즈와 한우 등 풍성한 먹거리가 마련된다. 3일간 오수의견공원에서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지난해보다 한층 확대되고 차별화된 특별함을 선사한다. 먼저 지난해보다 많은 전국의 12개 반려동물 관련 학과 대학생들이 참여하여 행사장을 찾는다. 특히 전국의 반려동물과 가족들에게 영화제를 연상시키며 멋과 개성을 뽐낼 수 있는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반려동물 패션쇼, 반려동물 토크쇼, 이‧미용 체험과 의료센터, 한방센터 등 특별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펼쳐질 예정이다. 반려동물의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인기 프로그램인 반려동물 토크쇼도 진행된다. 일명 개통령으로 잘 알려진 강형욱 대표와 이웅종 교수, 설채현 수의사와 함께 김샛별 방송 리포터가 진행하는 의학 상담 토크쇼도 마련됐다. 축제 때마다 인기를 끌고 있는 이 토크쇼는 반려동물 가족들의 궁금증 해소와 반려동물과 행복한 시간을 선사해 줄 것으로 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