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OOD 비즈니스]커피를 구독한다,日 구독경제 全 산업으로 확산

경제 불황에 따라 소유, 공유하는 걸 넘어선 서브스크립션 이코노미(Subscription economy), '구독경제 시대'가 도래했다.

 

구독경제는 소비자가 매기간 일정 금액을 내면 정기적으로 물건을 배송받거나 서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과거 우유나 신문 등을 매일 배송받아 소비하던 방식에서 따온 말이다.

달라진 게 있다면 이제는 그 범위가 생필품부터 자동차까지 전 산업으로 번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외식시장을 중심으로 이 정액제 서비스를 도입한 매장이 이슈가 되며 증가하고 있다.

일종의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즉 매월 잡지나 신문을 구독하듯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으로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 모델로 볼 수 있다.

 

오피스가 밀집된 도쿄 니시신주쿠(西新宿)에 자리한 ‘커피마피아(Coffee mafia)’는 한 달에 3천 엔, 우리 돈 약 3만원이면 하루에 몇 잔을 마셔도 좋은 정액제 커피전문점이다.

 

저녁 7시가 되자 인근 샐러리맨들이 하나둘씩 빌딩숲 사이에 위치한 가게로 모여들었다. 매장 직원과 익숙하게 인사하며 회원카드를 내밀자 금세 즐겨마시는 커피가 제공됐다.

 

직원은 “정액제를 이용하는 손님들 대부분이 인근 오피스의 직장인들”이라며 “커피의 경우 출근하면서 한잔, 점심때 식사하며 한잔, 퇴근길에 한잔씩 해서 하루 세 번 방문해 드시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日, 월 정액제 '무제한 음식점'이 뜬다

지난달 1일 혼슈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일본 전국 처음으로 매월 정액제로 아침을 제공하는 'IZUMI-CAFE'가 오픈했다.

 

 

'IZUMI-CAFE'의 정액제는 매월 4,320엔을 지불하면 모닝 세트(오전 7~11시 사이)와 1잔 400엔의 드립 커피를 매일 먹을 수 있다. 모닝 세트는 빵(갓 구운 크로와상, 버터 토스트), 샐러드, 삶은 달걀 세트가 기본이지만, 추가 요금을 지불하면 오구라 버터 토스트 등으로 변경 가능하다.

 

실제로 일본 외식업계에선 구독 모델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을까. 화제가 된 정액제 커피 전문점에 이어 라면 가게, 선술집, 와인 바 등 다양한 업종에서 전개하는 구독 모델을 소개한다.

 

 

coffee mafia

도쿄 신주쿠에 위치한 coffee mafia는 매월 정액제 서비스가 있는 커피 브랜드다. 정액 회원 코스는 두 가지로 나뉜다. 월 3000엔 코스는 Quick Cup(용량 240ml) 커피가 무료이며 스페셜티 커피 등 음료는 240엔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월 6500엔 코스는 스페셜티를 포함해 모든 음료가 매일 무료다. Quick Cup 커피 한잔이 300엔이기 때문에 한 달에 10번만 방문해도 손해를 보지 않는다. 출근길 커피를 즐기는 직장인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라면 나기 타마치점

이곳은 도쿄를 중심으로 라면 가게를 전개하는 회사 나기 스피릿츠가 운영하는 매장이다. 월 정액제인 라이트 패스는 1 개월에 8,000엔, 프리미엄 패스는 3개월간 22,000엔이다. 또한, 타임 패스는 3개월동안 14시 ~ 22시 한정이며 15,000엔이다. 라면 나기는 2004년 신주쿠 가부키쵸 골든 거리에서 4평 8석의 작은 가게로 시작한 라면 브랜드이다. 전국에서 엄선한 20여 종의 멸치를 직접 혼합해 깔끔하며 진한 육수 맛이 특징이다.

 

 

안도모와 주식회사

전국에 술집을 전개하는 안도모와 주식회사 역시 구독 모델을 매장에 도입하고 있다. 작년 2월부터 ‘키타노하나 챠야쵸우점(北の華 茶屋町店)’을 비롯한 일부 점포에서 먼저 시작했다. 생맥주를 포함한 총 250종류의 음료를 무제한으로 마실 수 있다. 단 서비스 이용 시 식사류를 2가지 이상 주문해야 한다. 요금은 1개월 3,000엔, 2개월 5,000엔, 3개월 7,000엔, 6개월 13,000엔이다.

 

 

Provision

롯폰기에 있는 프렌치 와인 바 Provision는 월정액제를 통해 언제든지 친구, 연인과 들러 와인과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월 30,000엔이면 회원 포함 4명까지 제철 식재료를 사용한 요리와 프렌치 와인을 제한 없이 주문할 수 있다. 이미 규정 회원 수를 채워 현재는 모집을 하지 않을 정도로 월정액제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야로우 라멘

캇츠리계(ガッツリ系, 양이 듬뿍) 라면으로 유명한 야로우 라멘은 재작년 11월 일찌감치 구독 모델 ‘1일 1그릇 야로우 라멘 생활’을 도입했다. 월 8,600엔(세금 별도)를 지불하면 하루에 돈코츠 라멘(780엔), 국물없는 라멘(830엔), 된장라멘(880엔)을 중 1종을 선택해 먹을 수 있다. 단, 18~38세로 연령 제한이 있다. 이어 12월에는 월 300엔으로 인기 토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정기권을 추가하기도 했다.

 

일정 금액만 지불하면 걱정 없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갈수록 구독 모델을 찾는 소비자는 늘 전망이다. 일본에선 일부 업종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업태로 구독 모델이 퍼져 나가고 있다. 음식점 독자적으로 실시하는 서비스 외에도 여러 점포가 제휴를 맺은 구독 모델도 등장하는 추세다.

 

구독하는 고객이 늘수록 수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판매량이 예측 가능해 재고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직 국내 외식시장에선 ‘먼슬리 키친’이 공유주방에 구독 모델을 적용한 서비스에 외에는 별다른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 불황의 늪을 빠져나올 해결책으로 일본의 구독 모델을 벤치마킹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가 될 것이다.

 

30년간 한국과 일본에서 외식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는 알지엠컨설팅 강태봉 대표는 “정액제 서비스는 안정적인 수입과 더불어 고객과의 관계성 강화라는 이점을 가져다주지만, 고려해야 할 사항들도 많다. 점포의 입지 조건과 손님이 만족할만한 가격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회원 대상 이벤트를 마련하는 등 회원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전북자치도 미래 식품 패러다임 전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본격 육성
전북특별자치도가 초고령화와 개인 건강관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 육성에 착수했다. ‘맞춤형 케어푸드’는 단순한 기능성 식품을 넘어, 개인의 유전정보·건강상태·식습관을 종합 분석해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식품을 의미한다. '맞춤형 케어푸드' 신산업 육성 통해 미래 먹거리 창출 1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국내 케어푸드 시장은 2022년 약 5천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15.3% 성장했으며, 연평균 8%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도 2023년 236억 달러에서 2028년 36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식품분야 미래 먹거리 창출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수명 연장, 사회경제적 부담 완화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계획은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R&D 강화’를 통한 미래농산업 전환’이라는 대통령 공약과도 맞물려 있으며, 관련 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한다는 국가적 목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D·기업지원·지역연계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낮에는 예술, 밤에는 낭만 … 8월의 진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진주시는 역사·예술·미식이 어우러진 8월 이색 관광콘텐츠를 준비해 전국에 있는 가족단위 관광객을 초대한다. 진주시가 준비한 이색 관광콘텐츠는 빛으로 물든 진주의 여름밤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와 무더위를 피해 아이들과 시원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는 실내 관광지를 포함한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을 엄선한 것.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은 관광객들이 물과 빛이 흐르는 아름다운5 도시, 진주만의 매력을 느끼면서 황홀경에 빠지고, 낭만적인 여름밤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올여름 가장 빛나는 진주성의 밤,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은 다양한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진주성에 적용해 문화유산 가치를 쉽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 공모사업으로, 진주시는 전국 8개의 미디어아트 사업 수행 지자체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올해는 ‘법고창신, 진주성도’라는 주제로 오는 9월 7일까지 진주성 일원에서 펼쳐진다. ▲공북문의 융복합 미디어 파사드 ▲영남포정사의 소리와 빛으로 교감하는 인터랙티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