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Biz] 中, 세자녀 허용하며 어린이 식품 시장 ‘블루오션’ 부상

중국이 인구 고령화, 출산율 감소를 막고자 그동안 유지해온 ‘1가구 2자녀’ 산아제한 정책을 폐지하고 3자녀를 가질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에 따라 어린이 식품 시장에 새로운 기회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진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수치에 따르면 2020년, 중국 1~14세 인구는 2억 5,412만 명으로 총인구의 16.6%를 차지하며, 중국어린이산업센터는 80% 정도의 가정이 총지출의 30~50%를 자녀를 위해 쓴다고 밝혔다.

 

이는 평균 1.7~2.55만 위안(약 289~434만 원)으로 어린이 소비 시장규모는 약 3.9~5.9조 위안(약 663~1,003조원)에 달한다. 이번 세자녀 정책에 따라 어린이 식품 시장은 규모를 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어린이 식품은 일반 식품보다 영양가치가 높아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의 반응이 좋다. 중국의 임산부·산모·영유아 제품 전문매장에서의 어린이 막대사탕은 9위안(약 1,530원), 어린이 요거트 큐브 한 봉지는 18위안(약 3,060원)으로 일반 유통매장과 비교하면 3~9배가량 비싸다.

 

부모 입장에서는 비싸더라도 건강한 간식을 아이에게 사주려는 심리가 강하다. 간식업계 한 관계자는 이런 부모의 소비심리에 더해 두 자녀에 이어 허용된 세 자녀 정책으로 어린이 간식은 커다란 잠재력을 가진 업계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중국 간식 기업인 바이차오웨이는 유아 간식 브랜드 ‘통안안어린이’의 새로운 시리즈를 작년 출시했다. 3~12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식품으로 영양성분은 더하고 기름, 소금, 섵탕 등 첨가물은 빼는 ‘덧셈, 뺄셈’으로 마케팅을 진행했다. 

 

 

량핀푸즈 역시 지난해 어린이 간식 시장의 규모를 확대하고자 ‘량핀샤오스셴’ 브랜드의 신제품 42개를 선보였다. 제품의 포인트 안전, 건강, 맛, 무조건 반품 서비스 4가지이다. 비스킷, 사탕, 우유 등으로 다양한 간식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의 국민간식이라 불리는 산즈송수도 비슷한 시기에 어린이 간식 브랜드 ‘샤오루란란’을 런칭했다. 전문 자격을 보유한 영양사가 답하는 온라인 상담을 제공해 아이에 맞는 간식 구입을 돕는다. 4 제로를 제품 콘셉트로 ‘향료 0, 방부제 0, 안료 및 감미료 0’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중국 화잉자본은 2023년에 이르면 어린이 간식 시장규모가 1500억 위안(약 25.5조 원)에 달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앞으로 5년의 연평균 성장율은 13.7%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멘지, 스페셜 라멘 소곱창 토핑 ‘카라 모츠나베 파이탄’ 출시
본아이에프의 일본 토리파이탄 라멘 전문 브랜드 ‘멘지(MENJi)’가 가을·겨울 시즌을 맞아 소곱창을 활용한 스페셜 신메뉴 ‘카라 모츠나베 파이탄’을 출시한다. 카라 모츠나베 파이탄은 일본의 대표 겨울 음식인 ‘모츠나베(일본식 곱창 전골)’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된 메뉴다. 멘지의 시그니처 메뉴 ‘토리파이탄’의 고소하고 담백한 닭 육수에 수제 라유와 특제 소스를 더해 깊고 진하며 얼큰한 맛을 구현했다. 한층 진해진 풍미와 매콤함이 어우러져 추운 계절 속까지 든든하고 따뜻하게 풀어줄 메뉴다. 카라 모츠나베 파이탄은 메인 토핑으로 곱이 가득한 소곱창을 직화로 구워 불맛을 살렸다. 직화 조리 방식으로 잡내 없이 깔끔한 풍미를 유지하면서도 쫄깃한 식감과 고소함을 극대화해, 진한 닭 육수와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이번 신메뉴는 11월 6일부터 전국 멘지 매장에서 시즌 한정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가격은 1만 5천 원이다. 2019년 망원동 로컬 라멘 맛집으로 시작한 멘지는 기름기 없이 담백하고 잡내 없는 ‘토리파이탄’ 라멘으로 고객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다. 이번 신메뉴 출시를 통해 멘지는 기존의 깔끔한 맛을 유지하면서도 스페셜한 풍미의 라멘으로 고객들에게 새로운 미식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강릉 제1회 빵축제 '빵굽는 마을, 오죽' 개막
‘바다와 커피의 도시’를 넘어‘빵의 도시’로 나아가는 강릉의 새로운 지역 축제, ‘빵굽는 마을, 오죽’이 11월 7일(금)부터 9일(일)까지 3일간 오죽한옥마을 일원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강릉관광개발공사(사장 강희문)가 주최하는 시민참여형 축제로, 지역 베이커리와 커피 브랜드가 함께 어우러져 강릉의 맛과 향, 그리고 따뜻한 사람의 온기를 전한다. 축제장에는 강릉을 대표하는 베이커리들이 참여해 다양한 빵과 디저트를 선보이며, 강릉 빵장인 교실·빵만들기 체험·다도체험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개막일인 7일 오후에는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대형 케이크 커팅 세리머니가 열리고, 매일 선착순 200명에게는‘오픈런 쿠폰’과 타포린백을 증정하는 특별 이벤트도 진행된다. 또한 버스킹 공연, 제빵 경연대회 등 오감으로 즐기는 콘텐츠가 마련되어 오죽한옥마을 전역이 축제의 열기로 가득 찰 예정이다. 강희문 강릉관광개발공사 사장은 “강릉의 빵을 매개로 지역 소상공인과 시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을 마련했다”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강릉이 빵과 관광,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