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리포트]감성편의점 ‘고잉메리’

서울 종로 한복판에 지금껏 보지 못한 독특한 편의점이 문을 열었다. 언뜻 보면 ‘편의점’이지만 내부로 들어가 보면 ‘분식점’이자 ‘술집’이다.

 

 

바로 ‘요괴라면’으로 유명한 식품 스타트업 옥토끼프로젝트가 선보인 감성편의점 ‘고잉메리’가 그 주인공이다.

 

편집숍처럼 깔끔하게 꾸민 내부 공간에는 다양한 맛의 요괴라면과 개념만두, 개념볶음밥 등의 자사 제품부터 전통주, 와인, 맥주 등의 주류, 각종 스낵 등을 판매한다.

 

 

이제껏 본적 없는 공간 만들어

고잉메리는 독특한 공간이다. ‘감성편의점’을 표방, 편의점 내에 분식점을 배치한 ‘숍인숍’ 형태다. 165㎡(50평) 크기의 매장에 편의점과 분식점 공간이 5대 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흥겨운 음악이 흘러나오는 디제잉과 함께 칵테일과 각종 요리들을 자유롭게 즐기는 분위기는 유럽의 어느 펍에 온듯한 느낌을 준다.

 

편의점에는 옥토끼프로젝트의 자체 상품뿐 아니라 와인, 칵테일, 맥주 등 음·주류와 안주가 될만한 주전부리들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프리미엄 분식점 표방, 협업 통한 비스트로 메뉴 판매

‘고잉메리’에서는 간판메뉴인 셰프가 요리한 ‘요괴라면’을 비롯해 개념만두, 개념볶음밥, 요괴밀크, 요괴 떡·달괴(달고나), 결벽요괴(물티슈) 등 옥토끼프로젝트에서 만든 상품을 판매한다.

 

‘고잉메리’의 간판 메뉴인 '요괴라면'은 봉골레맛, 냉초면맛, 국물떡볶이맛, 크림크림맛, 매운볶음맛, 크림카레맛, 간장마요맛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겉면에 적힌 간단한 레시피만 따라해도 기존 라면과는 다른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고.

 

 

특히 봉골레맛과 국물떡볶이맛은 SNS에서 '해장라면'으로 입소문이 났고, 또 다른 메뉴인 ‘개념 볶음밥’은 고소한 우삼겹과 활활 타는 청양고추를 아낌없이 쏟아부은 '활활우삼겹볶음'에 반숙 달걀과 개념 만두를 얹어 매운맛 마니아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무엇보다 '프리미엄 분식점'을 콘셉트로 기존 편의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컵라면이나 삼각김밥 종류 대신 한남동의 스테이크 전문점 <부첼리하우스>와 컬래버레이션한 스테이크와 주물럭 등 비스트로 메뉴도 함께 판매하고 있다.

 

또한 화요 코스모폴리탄(3900원), 서울마티니(3900원) 등 국내 주류를 활용한 칵테일과 잔술 와인(1900원)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해 젊은이들 사이에서 '힙'한 편의점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특히 로맨틱한 과일향과 산뜻한 거품이 매력적인 샴페인 '모엣 샹동 로제 임페리얼'을 4만9천원의 저렴한 가격에 판매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고잉메리 관계자는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들의 진열과 동선을 바꿔 고객들에게 신선함을 주려 노력 중이다. 식품 스타트업 옥토끼프로젝트는 앞으로 종로와 을지로 일대를 중심으로 내년까지 ‘고잉메리’ 매장을 20개로 늘릴 계획이며, 2호점부터는 매장별로 콘셉트나 성격을 또 다르게 해 특화 매장을 선보일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춘천 감자밭, 일본 이세탄서 韓 F&B 브랜드 첫 팝업 성사
농업회사법인 밭이 운영하는 춘천의 감자빵 브랜드 ‘감자밭’이 8월 13일 일본 도쿄의 랜드마크이자 최고급 쇼핑 명소로 꼽히는 이세탄 신주쿠점에서 팝업 스토어를 오픈했다. 감자밭은 지난 4월 일본 1위 백화점 이세탄 요코하마점에 첫 매장을 열고 매일 매출 신기록을 세우며 현지 소비자에게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 팝업 스토어 또한 첫날부터 오픈런 현상이 벌어지는 등 큰 관심을 모았다. 일본 유명 연예인들이 직접 방문해 제품을 구매했고, 현지 언론과 잡지사의 인터뷰 요청이 이어지는 등 브랜드 인지도 또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감자밭의 시그니처 메뉴 감자빵은 국내산 감자를 사용한 독창적인 레시피로 부드러운 식감과 깊은 풍미를 자랑한다. 특히 베이커리에 대한 안목이 높은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에서 온 맛있는 새로운 빵’이라는 입소문이 퍼지며 SNS와 미디어를 통한 자발적 홍보가 확대되고 있다. 감자밭은 일본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해 말부터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진행했다. 일본 내 최고급 백화점과의 협업을 통해 브랜드 신뢰도를 확보하고 농업과 농산물의 가치를 전달하는 마케팅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이번 이세탄 신주쿠점 팝업 운영 종료 후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골목상권 활력 UP! 광주도시철도 스탬프투어!
광주교통공사가 오는 25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2025 광주도시철도 스탬프투어’를 펼치고, 지역 골목 상권 활성화와 대중교통 이용 문화 확산에 나선다. 이번 스탬프투어는 광주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광주의 주요 전통 시장과 인접한 4곳의 역사 중에서 희망하는 2곳을 방문해 미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인원은 4개 역사 중 임의로 선택한 두 개 역을 방문해 각각 스탬프를 획득하면 된다. 이와 함께 두 역사 중 한 곳의 인근 전통시장이나 골목 상점에서 2만 원 이상 구매한 영수증을 역무원에게 제시하고 마지막 스탬프를 받으면 미션은 종료된다. 미션을 완주한 선착순 150명에게는 양우산이 기념품으로 증정되며, 현장에서 만족도 설문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장바구니를 추가 선물로 받아볼 수 있다. 공사는 이번 스탬프투어를 통해 지역민들의 전통 시장 방문을 유도하고 소비 진작을 도모하는 등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겠다는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도시철도와 전통시장을 연계함으로써 골목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지역 사회를 위한 다양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추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춘천 감자밭, 일본 이세탄서 韓 F&B 브랜드 첫 팝업 성사
농업회사법인 밭이 운영하는 춘천의 감자빵 브랜드 ‘감자밭’이 8월 13일 일본 도쿄의 랜드마크이자 최고급 쇼핑 명소로 꼽히는 이세탄 신주쿠점에서 팝업 스토어를 오픈했다. 감자밭은 지난 4월 일본 1위 백화점 이세탄 요코하마점에 첫 매장을 열고 매일 매출 신기록을 세우며 현지 소비자에게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 팝업 스토어 또한 첫날부터 오픈런 현상이 벌어지는 등 큰 관심을 모았다. 일본 유명 연예인들이 직접 방문해 제품을 구매했고, 현지 언론과 잡지사의 인터뷰 요청이 이어지는 등 브랜드 인지도 또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감자밭의 시그니처 메뉴 감자빵은 국내산 감자를 사용한 독창적인 레시피로 부드러운 식감과 깊은 풍미를 자랑한다. 특히 베이커리에 대한 안목이 높은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에서 온 맛있는 새로운 빵’이라는 입소문이 퍼지며 SNS와 미디어를 통한 자발적 홍보가 확대되고 있다. 감자밭은 일본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해 말부터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진행했다. 일본 내 최고급 백화점과의 협업을 통해 브랜드 신뢰도를 확보하고 농업과 농산물의 가치를 전달하는 마케팅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이번 이세탄 신주쿠점 팝업 운영 종료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