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Biz] 미국, 저알코올 강세 속 무알코올 주류 성장 가능성

주류연구기관인 IWSR(International Wine and Spirit Record)에 따르면 무알코올 음료가 성장하는 세계적인 추세와 달리 미국에서는 여전히 저알코올 음료가 강세를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알코올 와인이 시장 점유율의 86.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맥주 등 타 주류 역시 무알코올 종류보다는 저알코올 RTD(Ready to Drink) 음료가 70%의 시장을 점하고 있다.

 

 

하지만 젊음 세대일수록 알코올 제품의 맛을 느끼면서도 술에 취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아 무알코올 제품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저당 또는 저칼로리 옵션의 주류를 찾기 위해서 무알코올 제품을 소비하는 경향도 보였다.

 

이러한 소비트렌드가 확산되며 무알코올 음료 시장은 미국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높다. 시장조사기관 닐슨(Nielsen)은 66%의 밀레니얼 세대가 알코올 소비를 줄이려고 노력 중이며, 이에 따라 무알코올 카테고리 음료의 전망이 밝다고 밝혔다.

 

또한, IWSR는 저알코올 음료의 경우 알코올 도수(alcohol by volume; ABV) 수치에 대해 소비자가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나 무알코올 제품들은 이러한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미국의 수제맥주회사로 유명한 보스턴 비어사(Boston Beer Company)의 창업자 짐 코흐(Jim Koch)는 한때 “무알코올 맥주를 절대 양조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2년여의 제품 개발 과정을 통해 해당 제품을 출시했다.

 

 

올해 3월 공개된 사무엘 아담스 저스트 더 헤이즈(Samuel Adams Just the Haze)는 알코올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전통적인 인디아 페일 에일(IPA)과 같은 맛을 내는 음료이다.

 

 

작년 10월 기네스는 4년간 공을 들여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인기 있는 스타우트의 무알코올 버전을 출시했으나 2주 만에 미생물 오염으로 인해 유통된 전 제품을 리콜 조치하는 사태를 빚었다.

 

 

버드와이저는 첫 무알코올 맥주인 버드와이저 제로(0.0)를 작년 7월 시중에 공개했다. 버드와이저의 모회사인 에이비 인베브(AB InBev)가 2025년까지 전 세계 맥주 판매의 20%를 무알코올 내지는 저알코올 제품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끝으로 IWSR의 이번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는 무알코올 및 저알코올 음료는 알코올 도수가 높은 주류 제품에 비하여 낮은 품질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향후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이러한 인식 개선을 위한 마케팅 전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1월 미국에서 출시된 무알코올 브랜드 뉴 런던 라이트(New London Light)는 식물 기반 식품 소비 증가 추세에 발 맞춰 비건 제품, 알레르기 항원 무포함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을 진행했으며, 월간 정기구독 서비스도 실시하고 있다.

 

자료참조 : Kati 농식품수출정보


푸드&라이프

더보기
‘감성’으로 통한다! 유통家, 인기작가•캐릭터와 손잡고 소비자 공략 나서
최근 유통가에서 인기 작가나 유명 캐릭터와 협업하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감성적인 일러스트 혹은 캐릭터를 통해 소비자의 감성과 소비욕구를 자극하는 동시에,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를 강화하려는 목적이다. 특히, 식음료업계에서는 브랜드 고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구현해 이를 제품 패키지나 특별한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차별화된 소비 경험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감성 일러스트로 브랜드 호감도와 소비욕구 자극 정통 수제 싱글몰트 위스키 발베니는 레스토랑 ‘부토’와 함께하는 스페셜 푸드 페어링 프로모션에 비주얼 아티스트 ‘275C’의 일러스트를 더해 생동감 있는 공간을 완성했다. 275C는 발베니의 장인정신과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일러스트를 선보였으며, 이는 서울 한남동에 위치한 한식 레스토랑 부토의 내∙외부에 전시되어 미식과 감성이 어우러진 경험을 선사한다. 275C는 선명한 색감의 팝아트로 키덜트 감성을 표현하는 비주얼 아티스트로, 키치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로 MZ 세대 사이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번 협업에서 그는 발베니의 로고와 바틀을 재해석하고, 보사노바 리듬과 위스키 향이 어우러진 여유로운 순간을 일러스트로 담아냈다. 275C의 작품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낮에는 예술, 밤에는 낭만 … 8월의 진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진주시는 역사·예술·미식이 어우러진 8월 이색 관광콘텐츠를 준비해 전국에 있는 가족단위 관광객을 초대한다. 진주시가 준비한 이색 관광콘텐츠는 빛으로 물든 진주의 여름밤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와 무더위를 피해 아이들과 시원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는 실내 관광지를 포함한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을 엄선한 것.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은 관광객들이 물과 빛이 흐르는 아름다운5 도시, 진주만의 매력을 느끼면서 황홀경에 빠지고, 낭만적인 여름밤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올여름 가장 빛나는 진주성의 밤,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은 다양한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진주성에 적용해 문화유산 가치를 쉽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 공모사업으로, 진주시는 전국 8개의 미디어아트 사업 수행 지자체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올해는 ‘법고창신, 진주성도’라는 주제로 오는 9월 7일까지 진주성 일원에서 펼쳐진다. ▲공북문의 융복합 미디어 파사드 ▲영남포정사의 소리와 빛으로 교감하는 인터랙티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