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 코로나시대, 홀로 색다르게 '술' 즐기는 대만 밀레니얼 세대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대만 밀레니얼 세대의 음주 문화에도 변화가 생겼다.

코로나가 완전히 종식되기 전까지는 이전처럼 마음 편히 음주모임을 갖기는 어려워지며 집에서 혼술을 하는 비중이 늘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로 무알코올, 저알코올 제품 수요가 증가했고 스낵, 캔디 형태의 이색적인 주류 제품도 등장했다.

 

 

무알코올 및 과일향 저알코올 주류 증가

밀레니얼 세대는 가벼운 음주 문화를 선호해 주류기업에서도 이에 맞춰 무알코올·저알코올 주류를 출시했다. 알코올 도수는 낮추고 과일 향을 첨가해 음료수처럼 마실 수 있는 제품이 인기다.

 

 

타이완비어(台灣啤酒)는 2019년 8월 맛과 향이 비슷한 무알코올 맥주를 선보였다. 출시 초기에는 일일 판매량 1만 캔을 달성, 현재까지 10만 상자 이상이 판매됐다. 타이완비어는 무알코올 맥주 제품을 강화하고자 ‘무알코올 맥주 2.0’를 개발 중이며, 2021년 4~5월 출시할 예정이다.

 

무알코올 맥주 트렌드에 맞추어 하이네켄은 2020년 4월 대만에서 무알코올 맥주인 하이네켄 0.0 제로 알코올을 공개했다. 하이네켄 브랜드의 정통 맥주 생산 공정을 통해 맥주를 만들었다. 물, 맥아, 홉, 효모를 넣고 두 번의 발효 후 알코올은 진공 증류로 제거한다.

 

 

이 공정을 거쳐 무알코올 맥주를 만들면 라거 맥주의 풍미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약간의 과일 향이 난다. 언제든지 마실 수 있는 무알코올의 장점을 내세워 출시 3개월 만에 200만 캔 이상의 판매를 기록했다.

 

 

과일 향이 첨가된 저알코올의 주류 역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타이완비어는 2017년부터 과즙이 첨가된 4%미만의 저알코올 맥주 미훈시리즈를 계절마다 새롭게 출시해왔다.

 

 

올해 2월에는 봄을 맞이하여 딸기 맥주, 7월에는 여름을 겨냥한 리치와 레몬즙을 10% 함유한 저알코올 맥주 2종을 출시했다. 9월에는 상큼하고 달콤한 끝맛이 특징인 유자맥주 등을 꾸준히 선보이며 다양한 맛의 제품으로 여성 소비층을 넓히고 있다.

 

마신다는 상식을 깨다! 씹어서 먹는 주류 아이스캔디·스낵

술을 마신다는 상식을 깬 이색적인 제품도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침체된 주류 시장 환경을 바꾸고자 대만 주류업계에서 다양한 혁신적인 시도를 진행 중이다.

 

 

대만의 대표 수제 맥주 브랜드인 ‘타이후 브루잉’은 시원한 술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위해 올해 8월 알코올이 함유된 팝씨클(일명 쭈쭈바류)형태의 아이스캔디 타이완 타이거 9.99(Taiwan Tiger 9.99)를 선보였다.

 

타이후 브루잉은 이전에도 레몬 허니 비어 팝씨클(Lemon Honey Beer Popsicle)이란 아이스 캔디를 출시한 바 있다. 이번 제품은 타이후 브루잉과 세븐일레븐이 협업해 베스트셀러 와인 시리즈를 아이스캔디로 탈바꿈시켰다. 기존 제품보다 알코올 도수를 9.99%에서 3.5%로 낮췄다.

 

 

또한, 타이후브루잉은 딤섬누들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해 자사의 인기 맥주 잉글리쉬 포터, 아메리칸 위트 맛을 살린 스낵을 지난 4월 출시했다. 포터맛 스낵, IPA맛 스낵 2가지 맛으로 대만 세븐일레븐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세븐일레븐은 네덜란드에서 수입한 냉동 칵테일(frozen cocktail) ‘24 ICE’ 시리즈 제품을 독점 판매하고 있다. 출시된 제품의 알코올 도수는 5%이며 모히또, 리몬첼로, 스트로베리 다이퀴리 3종을 대만 매장에서 판매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양시 ‘K-푸드’ 김의 뿌리, 인류 최초 김 양식지 ‘광양김시식지’로 초대합니다
광양시가 인류 최초 김 양식의 현장이자 김 수출 10억 달러 시대를 연 주역인 세계 유일의 ‘광양김시식지’를 꼭 방문해 봐야 할 광양의 역사·문화 명소로 소개했다. 최근 K-콘텐츠와 K-푸드 등 한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의 뿌리를 간직한 역사적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곳은 400년 김 산업의 역사가 시작된 상징적 공간으로,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고안해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한 김여익 공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됐다. 김여익은 병자호란 당시 의병으로 활약했으나,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했다. 그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모습에서 착안해,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의 특징을 활용한 ‘섶꽂이 양식법’을 인류 최초로 창안·보급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의 맛에 감탄한 인조 임금이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을 듣고, 그의 성을 따서 ‘김’이라 부르게 됐다는 흥미로운 유래도 전해진다. 후손들은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제향을 올리며 김여익의 업적을 기리고,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 전통도 300여 년째 이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