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이야기] 비비큐 원년 멤버가 만든 세상에 없는 치킨 ‘꽂따’

㈜바일디컴퍼니 박순신 대표 인터뷰

서울 송파구 8호선 문정역은 법조타운을 중심으로 오피스텔, 지식산업센터가 모여 있는 오피스 상권이다. 문정역 3번 출구(현재 4번 출구 공사로 인해 폐쇄)로 나와 가락시장역 방면으로 조금만 걷다 보면 서양식 펍 느낌의 치킨집 ‘꽂따(ggotdda)’가 눈에 띈다.

 

 

꽂따를 운영하는 박순신 대표는 93년부터 13년간 비비큐(BBQ)에서 근무한 후 다수의 치킨 브랜드 기획 및 런칭에 참여해 온 치킨마스터다. 아직 세상에는 없는 치킨을 선보이겠다는 생각으로 수년간 준비를 거쳐 올해 9월 꽂따 매장을 오픈했다.

 

한국 치킨 시장 성장기 함께 보낸 치킨마스터

88서울올림픽은 세대의 전환점이라 불리며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당시 미식이라는 표현도 생소하던 외식시장 역시 요리사가 유망 직업으로 주목받으며 성장기를 맞게 된다. 88학번으로 대학을 다니던 박 대표는 올림픽이 열리는 기간 동안 기자촌에서 자원봉사를 하며 세계 각국의 음식을 접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요리와 관련된 전공이 별로 없던 시절이라 학습 환경이 좋았던 건 아니다. 좋은 기회로 올림픽에 자원봉사를 나가 다양한 세계 음식을 맛 볼 수 있었고 조리법, 식재료에 대한 호기심이 커졌다. 이후 진로를 외식분야로 확고히 하고 졸업 후 경력을 쌓았다.”

 

 

63빌딩에 위치한 프렌치 레스토랑에 조리사로 입사해 3년간 근무해오다 학교 선배의 요청으로 치킨업계에 입문하게 됐다. 1977년 한국 최초의 후라이드치킨 ‘림스치킨’이 생긴 이후 84년 KFC가 서울에 진출하며 본격적인 후라이드 치킨 시대가 도래하고 있었다.

 

“93년 비비큐를 통해 프랜차이즈 업을 접하며 메뉴 개발이 단순히 맛만 신경 써선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치킨을 이용해 메뉴를 만들려면 우선 트렌드에 맞춘 컨셉 구상이 필요했다. 이후 닭 가공부터 유통까지 전체적인 부분을 고려해야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프랜차이즈 전문 역량을 키우고자 조리외식경영 석·박사 과정을 밟았다.”

 

13년간 비비큐 중앙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하던 박 대표는 이후 다수의 신규 치킨 브랜드 기획 및 런칭에 참여했다. 그리고 20년 넘게 치킨업에 몸담으며 축적한 노하우를 쏟아 부은 것이 바로 치킨브랜드 꽂따이다.

 

아직 세상엔 없는 치킨 ‘꽂따’

꽂따를 상징하는 메뉴는 두툼한 치킨을 나무 꼬치에 끼워 제공하는 시그니처 후라이드다. 정통 클래식 후라이드, 아몬드와 땅콩, 메이플시럽을 뿌려 고소하고 달콤한 맛이 나는 ‘플라리넷’, 대파와 유자를 올린 ‘파샐러’, 3가지 맛 치즈가루를 입힌 ‘맥치즈’, 청양고추를 뿌린 ‘핫청양’ 등 8가지 메뉴가 있다.

 

 

치킨 꼬치와 함께 먹으면 고소한 풍미를 배가 시켜주는 치즈찹쌀누룽지도 추가 주문이 가능하다. 닭육수를 넣은 찹쌀누룽지로 일반 누룽지보다 더 깊은 맛을 낸다. 모든 치킨 메뉴에는 강원도 고랭지 텃밭에서 키운 생감자튀김이 함께 제공된다. 치킨 꼬치 6피스로 구성된 시드니처1 후라이드의 가격은 28,500원이다. 닭 한마리 반이 사용되며 6가지 맛의 치킨과 감자튀김의 푸짐한 양으로 가심비 좋은 메뉴다.

 

 

“치킨과 관련해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오래 준비기간을 거쳤다. 형태만이 아닌 맛에 있어서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해 주고자 꽂따만의 닭 해체 방법을 개발했다. 닭 부위별로 균일하게 익힐 수 있어 육즙을 가득 머금은 만큼 치킨을 씹었을 때 촉촉한 식감이 일품이다”

 

삶의 희노애락 공유하는 식공간에 중점 둬

박 대표가 꽂따를 준비하며 맛과 함께 가장 공을 들인 것이 공간적 의미였다. 식당은 한끼 식사를 하는 장소를 넘어 대중 가지각색 삶의 이야기가 오가는 곳이다. 메인 타깃층인 20~30대가 편하게 찾아와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매장 양옆으로 개방감이 느껴지도록 인테리어를 했다.

 

“꽂따는 나무와 적색 벽돌을 사용해 자연미가 나는 매장이다. 가게를 구상하며 고층 빌딩 숲에 둘려 싸여 고된 하루를 보낸 직장인에게 포근한 휴식처가 되고 싶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원하는 컨셉의 매장을 내고자 상권을 잡는데만 상당한 시간을 소요했다.”

 

 

꽂따의 BI(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글자의 모음을 꼬치처럼 뾰족하게 표현해 브랜드의 정체성을 살리고 직관적인 이해가 빠르다. 치킨 꼬치를 담아 나오는 도마, 음식을 더욱 맛있게 보이게 하는 조도, 가구까지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였다.

 

지속가능한 치킨 브랜드 교육에 뜻 있어

새로운 길을 제시하겠다는 생각으로 꽂따를 기획했듯 박순신 대표는 앞으로 치킨 업계 발전을 위한 교육에도 뜻을 가지고 준비 중이다. 치킨공화국인 대한민국에서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형 치킨 브랜드, 개인 자영업자에 힘이 되어줄 계획이다.

 

박대표는 “오랜 시간 수많은 치킨 브랜드에 참여하며 너무 기초적인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사업구조를 짜는 경우를 많이 봤다. 최근 외식컨설팅회사 알지엠컨설팅과 공동 기획해 치킨사업자를 위한 교육을 준비 중이다. 단일 매장으로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메뉴 개발부터 제조 환경, 운영 인력 최소화 등 치킨사업에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룰 생각이다”고 전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국산 과일의 미래를 한자리에서 조망하다
국산 과일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자리에서 조망하는 ‘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이 11월 27일부터 29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DCC) 제2전시장 1·2홀에서 열린다. 올해 15회를 맞는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과일 산업 박람회다. 행사 기간에는 전국 대표 과일부터 신품종까지 전시가 이뤄지며 관람객은 시식·체험·구매를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 대한민국 대표과일 선발대회 시상식, 사랑의 과일 전달식, 우리과일 요리경연대회 등 무대 프로그램이 이어지고,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우리과일 칵테일쇼’, ‘실감체험’, ‘AI사진관’ 등 참여형 콘텐츠도 운영된다. 어린이 식생활 교육을 겨냥한 ‘어린이 우리과일 탐험대’는 7대 과종과 신품종을 배우고 맛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주최 측은 놀이 기반 학습을 통해 국산 과일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고 일상 소비로 연결되도록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주제별 전시관도 마련됐다. 대표과일 선발대회 수상작을 모은 ‘대표과일관’, 기후적응형 품종을 포함한 ‘신품종소개관’, 정책·유통 정보를 제공하는 ‘과일정책홍보관’에서 품종 특성, 저장·유통, 안전관리 체계를 한눈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고흥몰, 유자축제·서울카페쇼 효과로 누적 회원 5만 명 돌파
고흥군이 운영하는 온라인 농수축특산물 쇼핑몰 ‘고흥몰’이 11월 한 달 동안 2,600명이 넘는 신규회원을 유치하며 누적 회원 5만 명을 공식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고흥몰 개설 이후 월 기준 최고 기록으로, 최근 개최된 고흥유자축제와 2025 서울카페쇼 홍보관 운영 효과가 직접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1월 열린 고흥유자축제는 전국적으로 큰 관심을 받으며, 현장을 찾은 방문객과 온라인 소비자들에게 고흥 유자와 농수산물의 매력을 널리 알린 대표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축제 기간 고흥몰은 온라인에서 진행된 ‘유자애(愛) 빠지다’ 특가전과 함께, 축제장 내 트롤리버스 홍보관을 운영해 현장 예약주문 접수와 다양한 체험·이벤트를 통해 자연스러운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등 소비자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었다. 이어 2025 서울카페쇼에 마련된 고흥군 홍보관은 수도권 소비자에게 고흥 유자·키위·수산물 가공품의 우수성을 집중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됐다. 특히 유자청·과일 농축액·지역 특산 디저트 원물 등 카페 산업과 연계된 제품들이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요리비법 프로젝트 수상작들의 시식 이벤트와 결합하면서 회원가입 전환율도 크게 높아졌다. 이 같은 온오프라인 연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27일(목)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27일(목)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소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