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한돈 페스타 팝업 스토어' 성수서 열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한돈데이'(10월1일)를 기념하는 '2025 SUPER 한돈 페스타 팝업 스토어'를 오는 19일까지 서울 성동구 연무장15길 XYZ 서울에서 개최한다.

 

팝업 스토어는 개막 전부터 높은 관심을 받아 9일 동안의 전 일정 방문 예약이 조기 매진되는 등 한돈에의 소비자 관심을 입증했다.

 

‘한돈데이’는 '돼지 코' 모양(1001)을 모티프로 한 한돈의 대표 기념일이다. 지난 11일 개막식에는 한돈자조금 손세희 위원장을 비롯해 샘표식품 박진선 대표, 소비자 단체 대표, 한돈 명예 홍보대사, 인플루언서, 미디어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팝업은 '한계 없는 능력'을 가진 한돈의 '1001% 슈퍼 에너지'를 체험하고, 다양한 글로벌 한돈 요리를 즐기는 체험 공간으로 꾸며졌다.

우선 한돈 에너지 스토어 ZONE은 미션형 체험공간으로 △단백질 보충 정육점: 한돈 안심 무게 맞히기 △슈퍼푸드 라드유 서점: 올바른 라드유 정보 찾기 △행복 충전 주유소: 트립토판 해머 타격 게임 △한돈 신선 마트: 스텝퍼 체험으로 신선도 비교 등 4개의 체험이 이뤄진다. 미션 성공 시 스탬프를 모아 한돈 굿즈로 교환할 수 있어, 재미와 보상이 결합된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생활 속에서 한돈이 전하는 에너지와 활력을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다.

 

또한 한돈 파트너스 스토어 ZONE은 샘표식품(차오차이), 와인플렉스, 롯데 돼지바 등 여러 브랜드가 함께 참여해 한돈과 어울리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푸드를 제안하는 협업 공간으로 운영된다. 더불어 슈퍼 한돈 라드유 시식존에서는 라드유로 조리한 김치볶음밥을 시식하고 설문에 응모하면 라드유 스틱을 증정한다.

 

한돈 굿즈도 푸짐하게 마련됐다. 경품은 미션 참여 방식에 따라 베이직·플러스·프리미엄, 사전 및 주말 이벤트용으로 구분되며, 리유저블백·텀블러·한돈몰 할인권·장바구니·보냉백·돈블랑(와인) 등 일상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는 ‘슈퍼 한돈 글로벌 야장’이 꾸려진다. 관람객들이 한돈을 활용한 다양한 글로벌 요리를 직접 맛보고 즐길 수 있는 체험형 공간으로, 단순한 시식 행사를 넘어 한돈이 가진 무궁무진한 변주 가능성을 보여주는 무대다. 취식과 휴식을 겸할 수 있는 야외 포차존은 MZ세대를 비롯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장소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SUPER 한돈 페스타 팝업스토어 개막과 함께 전국 단위 소비 촉진 행사도 본격화됐다. 한돈자조금은 오는 24일까지 15일간 전국 한돈인증점에서 한돈데이를 기념한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한돈 공식 온라인 쇼핑몰 한돈몰은 ‘한돈데이 50% 기획전’을 열고 소비자들에게 최대 반값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K-푸드 성지 전남,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개최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가 오는 26일까지 목포문화예술회관 일원에서 개최된다. 이번 박람회는 국내 최초 테마로 정부 인증 국제박람회로, 전라남도와 목포시가 공동 주최한다. ‘맛의 본고장’ 전남의 식문화 자산을 기반으로, 남도미식과 연관 산업의 세계화를 본격 추진한다는 목표다. 세계 38개국이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전시관, 체험관, 산업관은 물론 국제경연, 수출상담회, 컨퍼런스, 글로벌 미식 행사 등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됐다. 박람회장에는 ▲주제관 ▲미식문화관 ▲K-푸드 산업관 등 세 개의 전시관이 마련된다. 주제관에서는 남도 음식의 발효문화와 대표 식재료, 조리도구 등을 미디어아트와 체험 콘텐츠로 구성됐다. 미식문화관에서는 국내외 셰프의 요리 시연과 남도명인과 시군 먹거리 등을 소개한다. K-푸드 산업관은 135개 부스 규모로, 전남 식품기업과 푸드테크 기업 등이 참가해 전남 식품산업을 선보인다. 다양한 글로벌 이벤트도 개최된다. ‘아세안 파빌리온’에서 아세안 10개국의 미식과 전통문화를 한 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다. ‘글로벌 K-푸드 마스터’에는 해외 13개국 셰프들이 참가해 남도 식재료와 전통장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