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흑당버블티 이어 ‘크림치즈티’ 뜬다

올 상반기 음료 시장을 휩쓴 건 단연 대만에서 건너온 '흑당 버블티'였다.

지난 3월 홍대에 ‘타이거슈가’가 홍대에 입점한 것을 시작으로 독특한 비주얼과 강한 단맛으로 SNS에서 빠르게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30분 이상 줄을 서는 건 물론 흑당 음료가 없던 카페브랜드까지 잇따라 유사한 메뉴를 출시할 정도로 유명세를 탔다.

 

 

흑당버블티 인기를 뒤를 이를 음료는 무엇일까?

홍콩, 대만, 일본에서는 흑당밀크티 붐이 이미 한차례 지나가고 크림치즈티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치즈가 다소 짤 수 있지만 차와 섞인 단맛과 함께 오묘한 맛을 낸다.

흑당버블티는 단맛에 특화된 메뉴라면 치즈티는 어떤 종류의 치즈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맛을 낼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공략할 수 있다.

 

전 세계에서 건너온 치즈를 끼얹는 ‘Cheese Cheers Cafe’

 

 

일본 시부야, 에비스, 쿄토 등에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Cheese Cheers Cafe(CCC)는 다양한 종류의 치즈티를 선보인다. CCC는 세계 각국에서 들여온 치즈를 취급하는 전문점으로 알프스 산장에서 들여온 치즈, 프랑스산 라클렛트 치즈 등 총 5종류 치즈를 음료 위에다 듬뿍 얹는다. 입안에서 녹는 부드러운 치즈와 쫀득쫀득한 타피오카가 섞이며 풍부한 식감을 자랑한다.

 

‘신의 치즈 티’라 불리는 ‘마치마치’

올해 6월 하라주쿠 라포레에 오픈한 마치마치는 ‘신의 치즈 티’라 불리며 화제를 모았다. 한잔 씩 정성스럽게 추출한 대만 차를 짜고 진한 치즈 크림과 섞었다. 대만뿐만 아니라 영국 런던의 중심부인 피카딜리 서커서스에도 출점할 정도로 반응이 좋다.

 

 

자스민 차, 홍차, 사계절 봄차 등 대만 차를 베이스로 약 20종류의 치즈 토핑를 추가할 수 있다. 토핑을 자유롭게 섞어 자신만의 음료를 만들 수 있어 10~20대 젊은 층에 특히 인기를 끈다. 또한, 저당, 보통, 달콤한 맛 3단계로 선택 가능해 자유도가 높은 치즈 티다.

 

중국 10대 명차 ‘철관음’으로 만든 치즈티 ‘Cheese Square’

 

 

도쿄 신주쿠에 위치한 ‘Cheese Square’는 중국 명차인 ‘철관음’으로 만든 치즈티를 선보인다. 철관음은 중국의 푸젠성 안시현에서 생산되는 우롱차의 한 품종이다. 용정차 벽라준, 모봉차, 백호은침, 동정오룡 등과 함께 중국의 10대 명차로 꼽힌다.

 

 

달콤한 과일 향과 은은하며 부드러운 단맛이 특징인 철관음에 치즈를 듬뿍 올렸다. 다른 음료에는 느끼지 못한 풍부한 풍미를 낸다. 토핑으로 쓰는 치즈는 생크림과 소금을 혼합해 엄선한 이탈리아 산 마스카르포네 치즈를 사용한다. 이곳에선 치즈 티와 함께 이탈리안 치즈로 만든 양식 요리를 맛볼 수 있다.

 

 

흑당 버블티의 인기를 주도했던 홍콩, 대만 역시 최근에는 크림치즈티 매장으로 손님이 몰리며 유행으로 바뀌었음을 엿볼 수 있다. 중국차, 과일차를 활용한 크림치즈티를 판매하는 ‘차롱’, 중국에서 티 열풍을 일으키고 지난 7월 연남동에 문은 연 ‘히레티’, 크림치즈티의 원조인 ‘헤이티’ 등이 있다.

 

크림치즈와 우유, 소금으로 만든 치즈크림 거품을 음료 위에 얹어 SNS에 찍어서 올리기에 손색없는 비주얼과 단짠이 어우러진 맛으로 차세대 음료 시장 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대체식품 산업 기반 마련, 미래식품 수요 대응 '대체식품 산업 활성화 전략' 모색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 식량안보 위기 등 국제적 문제가 심화하면서 환경친화적 식품 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6월 30일 서울 엘더블유(LW) 컨벤션센터에서 지속 가능한 대체식품 산업 기반 마련을 위한 ‘대체식품 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미래식품 수요에 대응하는 국내 대체식품 원료 및 소재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산업현장에서 부딪히는 어려움 해결과 대체식품 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한국식품연구원 등 관계기관을 비롯해 풀무원, 농심태경, 수지스링크, 인테이크 등 주요 식품 산업체 관계자가 참석했다. 또한, 고려대·건국대·경희대 등 학계 전문가를 비롯해 농촌진흥청 소속 10개 부서 관계자 등 대체식품 분야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총 30여 명이 자리를 같이했다. 이날 주요 발표로는 ▲국립식량과학원 김민영 연구사의 ‘대체 단백 원료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국산화 방안’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장 최윤상 박사의 ‘지속가능한 대체 단백 소재 개발’이 있었다. 이후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산업 발전 전략과 현장 중심의 실질적 지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