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일본은] 올여름, ‘이열치열’ 매운맛 인기

최근 일본에서 매운 요리를 주 1회 이상 먹는 사람이 15%, 한 달에 한 번 이상 먹는 사람이 55.8%로 과반수가 넘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주식회사 구루나비에서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40대 일본 남성이 55%, 20대 여성이 48.3%로 매운 음식을 즐겨 찾는다고 조사됐다.

선호 이유에 대한 답변은 "식욕이 증가하기 때문"이 가장 많았다. 일본의 경우 좀처럼 집에서 매운 맛을 재현하기 어려워 주로 외식으로 즐기고 있고 답한 사람이 60% 이상을 차지했다.

 

30년간 한국과 일본에서 외식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는 알지엠컨설팅 강태봉 대표는 “일본 또한 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여름을 나야한다. 최근 스트레스 해소 욕구로 매운맛을 찾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경기가 불황이고 삶이 고통스러울수록 매운맛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며 고통을 고통으로 이겨내는 이열치열의 원리인 셈이다.”라며 또한 “예년보다 더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현지서 ‘매운 요리’가 큰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매운맛 트렌드’ 日 식품시장 확대 추세

일본 매체 닛케이트렌디에 따르면 현지에선 '게키카라(激辛: 몹시 매운)' 식품이 인기를 끌며 식품업계에서도 매운맛 바람이 불고 있다.

현지 ‘게키카라면’ 가게는 이 같은 인기를 보여주는 한 예다. 이 라면 가게에선 길게 줄을 늘어 선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2003년 발매된 ‘폭군 하바네로’는 1994년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하바네로를 사용한 포테이토 스낵이다. 발매 첫 해에 약 3000만개를 출하하는 폭발적인 히트 상품이 되었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기존 고춧가루 외 다양성과 새로운 매운맛을 찾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실례로 ‘마라(麻辣), 해리사, 와사비, 산초’ 등 고추 이외의 매운 향신료나 조미료에 대한 관심과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산초를 첨가한 식품은 외식업체 메뉴까지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얼얼한 매운맛의 마파두부 양념을 비롯해 매운 카레, 라멘, 과자까지 출시되었다. 규동(소고기덮밥) 체인점 ‘스키야’에서도 얼얼한 매운맛의 규동을 선보이기도 했다.

 

한국의 매운 맛 확산세

일본에선 ‘한국 음식=매운 음식’이란 인식이 강하다. 일본의 와사비는 코로 강하게 느껴지는 매운맛인데, 한국 음식의 매운맛은 머리에 땀이 나고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중독성 강한 매운맛으로 새로운 경험을 원하는 젊은 일본인들에게 특히나 인기다.

 

핫페퍼구르메 외식종합연구소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일본인이 좋아하는 매운 요리로는 1위 카레에 이어 2위 마파두부, 3위 탄탄면 순으로 나타났다.

 

 

한식 요리인 김치전골(4위), 김치돼지볶음(6위), 순두부찌개(9위)도 TOP 10안에 들었다. ‘언제 매운 음식을 먹고 싶습니까?’라는 질문에는 ‘자극이 필요할 때’, ‘식욕이 없을 때’ ‘기운을 내고 싶을 때’라고 응답했다.

 

매운맛 트렌드가 이어지면서 한국식품, 특히 ‘불닭볶음면’ 등 매운 라면 소비가 일본의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중가하고 있다.

 

 

불닭볶음면 수출이 본격화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삼양라면의 일본 수출은 연평균 138% 성장했다. 주요 수출 품목도 2016년에는 감자라면, 김치라면 등이었지만 2017년부터 불닭볶음면, 치즈불닭볶음면, 까르보불닭볶음면 등 불닭 브랜드 제품으로 확장됐다.

 

삼양 재팬은 유통 현지화를 추진하면서 판매 채널을 편의점, 대형마트 등으로 확대하고 일본 현지 수요를 고려해 용기면의 라인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관계자는 "일본시장에서 매운맛 트렌드가 계속 확대되는 추세"라며 "일본 특성에 맞게 간편 및 편의 상품을 중심으로 새로운 상품을 선보인다면 한국산 매운 맛 제품의 인기가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GS25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 도시락 출시 일주일 만에 15만 개 판매 돌파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지난 13일 선보인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 도시락이 출시 일주일 만에 판매량 15만 개를 돌파했다.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은 2016년 출시돼 큰 인기를 끌었던 ‘명불허전 치킨도시락’을 업그레이드한 제품으로 ‘돌아온 혜자 시리즈’의 네 번째 라인업이다. 최근 런치플레이션 심화로 점심값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GS25는 과거 단종된 인기 도시락을 재출시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검증된 맛과 추억의 메뉴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물가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혜자롭게 돌아온 명불허전’은 치킨 스테이크, 츠쿠네, 토네이도 소시지, 고추장 제육 등 육류 위주의 메인 반찬으로 알찬 구성이 특징이다. 여기에 꿀마늘닭강정, 꼬마매콤돈까스, 어묵볶음, 볶음김치 등의 다양한 밑반찬까지 더해 풍성한 정찬형 도시락으로 가성비를 높였다. 가격은 5800원이다. 한편, GS25는 올해 4월부터 단종된 혜자 도시락을 재해석해 선보이는 ‘돌아온 혜자 시리즈’를 운영하며 △혜자로운 돌아온 등심돈까스(4월) △혜자롭게 돌아온 완전크닭(6월) △혜자로운 돌아온 바싹불고기(7월)를 출시했다. 제일 먼저 출시한 ‘혜자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서울 전통시장에서 미쉐린 셰프와 함께하는 외국인 대상 쿠킹 클래스 열려
서울시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시장의 매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로컬 미식 쿠킹 클래스 프로그램을 9월 중 총 2회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9월 15일과 9월 20일에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총 3시간 동안 진행된다. 이번 쿠킹 클래스는 전통시장에서 직접 식재료를 구매한 뒤, 스타 셰프와 함께 요리를 만드는 체험형 콘텐츠로 마련됐다. 단순한 요리 수업을 넘어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재래시장 문화를 이해하고, 현지 음식 재료를 활용한 한식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체험을 이끌 박주은 셰프와 황진선 셰프는 각각 미쉐린 가이드와 미쉐린 빕 구르망에 선정된 경력을 보유한 스타 셰프들이며, ‘서울미식100선’에도 3년 연속 선정된 레스토랑의 오너 셰프들이다. 특히 황진선 셰프는 인기 요리 예능 프로그램인 ‘흑백요리사’에 백 요리사로 출연한 이력도 있어, 외국인 참가자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각 클래스는 서로 다른 전통시장(경동시장‧망원시장)에서 진행되며, 회차별로 참여하는 셰프가 달라 매번 색다른 미식 경험이 가능하다. 체험은 한 회당 외국인 8~10명 내외의 소규모로 운영된다. 9월 15일에는 박주은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지금 일본은] 일본 최초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 화제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재팬이 8월 14일(목) 일본 최초의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를 도쿄 하라주쿠 오모테산도에 오픈했다고 밝혔다. 트렌드의 발신지 하라주쿠 중심에 해리포터의 새로운 거점 탄생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는 총면적 약 900㎡ 규모의 2층 매장으로, 한정 상품과 마법 세계의 매력이 담긴 다양한 아이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쇼핑 도중에 즐길 수 있는 ‘버터맥주 바’와 작품 속을 연상시키는 포토 스폿도 마련돼 있다. 하라주쿠를 찾는 누구나 부담 없이 방문해 ‘해리포터’ 세계관을 체험하며 작품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금지된 숲’ 테마, 올빼미와 히포그리프 ‘벅빅’이 맞이해 안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거대한 나무와 부엉이들이다. 매장 안 우뚝 솟은 나무 사이로 유유히 날아다니거나 무성한 녹색 가지 위에서 날개를 쉬는 부엉이들의 모습이 펼쳐진다. 또한 나무줄기 위에는 다양한 마법 동물들도 자리하고 있어 방문객들은 마법 세계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다. 한정 굿즈부터 푸드까지 마법 세계를 만끽 하라주쿠 한정 패션 잡화, 문구, 과자를 비롯해 네 기숙사의 세계관을 체험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