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으로 먼저 맛본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음식과 매장에 공을 들인 ‘인스타그래머블’ 한 식당이 인기다.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able)’이란 ‘인스타그램(instagram)’과 ‘할 수 있는(able)’의 합성어다. 화려하고 보기 좋은 메뉴 사진을 찍어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타인에게 알리고 싶어하는 젊은 고객층을 공략한 곳을 말한다. 외식업계는 ‘플레이팅(음식이 담긴 모양)’과 시각효과를 극대화 한 ‘인스타그래머블 매장 콘셉트 개발이 한창이다. 우선 디딤이 운영하는 크래프트비어&와인전문점 ‘레드문’은 고급스러우면서 독특한 인테리어와 분위기로 ‘셀카를 찍고 싶은 매장’으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레드문은 다채롭고 화려한 조명과 달 표면 같은 거친 벽, 빈티지한 소품들과 장식들로 어우러진 인테리어로 감성적인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 메뉴 역시 감성적인 분위기를 높여줄 수 있는 와인과 수제 맥주, 화려한 비주얼의 안주메뉴로 눈과 입을 모두 만족시키며 인천 지역 내 젊은 층 고객들의 방문을 유도, 인지도를 높여나가고 있다. 신세계푸드가 운영하는 ‘푸른밤살롱’도 루프탑에 갖춰진 포토존과 제주 콘셉트의 메뉴들로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제주 밤하늘에
카페+잡화, 호스텔이나 음악 등 카페에만 국한되지 않고 '+α'의 즐거움이 있는 콜라보레이션 카페가 대세다. 이번에 소개하는 곳은 모두 일본 후쿠오카 시내에 있고 오픈한지 1년을 넘지 않은 곳으로 최신 일본 카페트렌드를 담고 있다. 다양한 핸드메이드 체험을 할 수 있는 'Duatelier' 리본과 악세사리 부품 가게와 카페를 콜라보한 가게이다. 원재료를 까다롭게 선택하여 만든 스콘이나 머핀을 즐길 수 있으며, 악세서리 만들기 등의 만들기 체험(예약제)도 가능하다. 위치. [Duatelier(두아틀리에)] 후쿠오카시 츄오구 야쿠인 1-6-16모모다흥산빌딩 2F/092-707-0910/11:00~20:00(라스트오더19:00)/무휴 몸에 좋은 간식과 평소 사용해보고 싶은 잡화를 구입할 수 있는 '밥과 간식, 잡화점 쿠라스코토' 이토시마에도 매장이 있는 카페&숍. 큐슈 근교에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를 이용해서 만든 런치나 수제 간식, 드링크 등이 갖추어져 있다. 가게에서는 부엌용품이나 의류 등, 생활과 관련 있는 잡화가 진열되어 있다. 위치.[밥과 간식, 잡화점 쿠라스코토]후쿠오카시 츄오구 히라오 1-11-21 무라타빌딩2F/092-791-9696/카페 1
자신의 건강 뿐만 아니라 환경과 동물권 등을 생각하는 '밀레니얼 세대(1982~2000년 사이에 태어난 신세대)'를 중심으로 ‘비건(채식)푸드’를 비롯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비거노믹스(비건과 경제를 합친 신조어)’가 국내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일본 또한 밀레니얼 세대 사이에서 ‘유루 베지(ゆるベジ, 느슨한이라는 뜻의 유루와 베지터블의 베지를 합친말)’라는 신조어가 등장, 육류와 채소 사이의 균형 있는 식사를 찾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관련 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실례로 한국채식연합의 조사에 따르면 2018년 채식인구는 약 150만 명으로 10년 전과 비교해서 10배 가량 급격히 성장했다. 특히 대체 육류 시장의 확대가 주목된다. 식물성 대체육류(Plant-Based Meat Alternatives)는 채소, 콩, 견과류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해 고기와 가까운 맛과 식감을 구현한 식품이다. 대체 육류 시장은 18.3% 비중으로 비건 식료품 시장 중 식물성 우유(48.6%) 다음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전체 육류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으로 불과해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식품 유통시장도 ‘대체
미트볼 파스타를 3백엔에? 도쿄 시부야의 한 파스타 전문점이 화제다. 수제 생면으로 요리한 다양한 파스타를 한화로 3천원에 판매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대형마트나 편의점보다 더 저렴한 음식을 판매하는 전문 식당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버블경제가 꺼지면서 나타났던 중요한 현상 중 하나가 가격파괴 업종들의 번성이었다. 하지만 음식의 경우 가격파괴만으로는 오래가지 못한다. 어떤 경우라도 맛과 품질을 지켜야 지속가능한 성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초가성비 외식업소들이다. 일본서 이슈가 되고 있는 300엔 파스타전문점 ‘POTA PASTA(포타 파스타)’가 이에 해당된다. 기존 이탈리안 레스토랑이나 전문점에서 균일화되어 있던 1000엔(한화로 1만원 선) 전후 가격대의 ‘성역’을 무너뜨렸다는 화제성도 있지만, 무엇보다 저렴한 가격에도 품질이 뛰어난 것이 인기 비결이다 새로운 식감의 생 파스타로 이슈 가격도 가격이지만, ‘아사부미(반죽밟기)'와 자체 개발한 특제밀가루와 숙성기법을 통해 전례 없는 쫄깃한 식감의 면을 선보이고 있는 ‘POTA PASTA(포타 파스타)’ 굵고 쫄깃한 식감의 생 파스타는 야키니쿠 전문점과 사누키우동
시대를 거스르는 레트로(RETRO, 복고) 의 열풍이 식을줄 모르고 있다. 2010년말 ‘쎄시봉’의 열풍을 시작으로 2017년 TV예능 프로그램에서의 노래, 패션, 간편먹거리로 진화되었고, 지금은 레트로(RETRO, 복고) 열풍이 프랜차이즈업계의 다채로운 아이템으로 그 영역이 점점 더 거세지고 있다. 치킨업체, 햄버거업체, 떡볶이업체 등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위해 레트로 버전의 신상품들을 이미 출시했거나 새로운 버전의 ‘뉴트로(새로움의 New와 복고의 Retro를 합친 신조어)’ 상품들까지 출시하기 시작했다. 최근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동에는 1980년대 실제 기차를 리모델링하여 심플하면서도 독창적으로 인테리어한 ‘학산역’이라는 퓨전술집도 뉴트로의 대열에 합류했다. 이미 많은 호프집과 커피전문점들이 레트로 또는 뉴트로 디자인을 만들어 앞다퉈 신규오픈하고 있으나, ‘학산역’은 그 차이가 다르다. 신간이역 뉴트로 콘셉트로 프랜차이즈 가맹 영업 개시 ‘학산역’은 정통꼬치구이전문점 간이역(주인프래너스 대표이사 황병훈)과 인테리어전문업체 크레트프제이가 손잡고 새로운 디자인과 운영 콘셉트로 선보이는 ‘신간이역’이라는 퓨전술집 프랜차이즈 브랜드이다. 기존 ‘간이역’은 기차
최근 중국에서 주문에서부터 회계, 요리, 케이터링 서비스까지, ‘Ai·로봇’에 의해 자동운영되는 미래형 레스토랑을 선보였다. 최대 수용 인원은 100명, 현재 요리 40여 가지의 중국 8대 요리를 즐길 수 있으며, 문을 연지 50일이 지난 작년 12월 31일까지 총 방문객이 3만 5천명을 돌파해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주문부터 조리, 서빙까지 전 과정을 로봇이! 외식업계에 지각변동을 가져온 이 주인공은 중국 전자상거래(EC) 대기업인 경동그룹이 작년 11월에 천진 에코시티에 출자한 ‘경동X미래 레스토랑’이란 이름의 레스토랑이다. 천진 에코시티는 중국, 싱가포르 양국 정부가 협력하여 스마트 시티 구축을 목표로 관련 산업의 발전에 힘을 쏟고 있는 곳이다. ‘경동X미래 레스토랑’ 관계자는 “주문에서 재료의 준비, 조리, 상을 차리는 결제까지 모든 업무를 스마트로봇과 인공지능(AI)이 담당한다. 스마트 레스토랑 운영시스템을 구축, 온라인과 오프라인, 물류까지 융합시킨 혁신적인 외식사업 모델로, 빅 데이터를 활용해 최고의 식사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과정은 이렇다. 앉은 자리에서 앱(APP)을 통해 주문을 하면 로봇이 QR코드를 읽고, 조리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생활서비스 전문기업 ‘풀무원푸드앤컬처’에서 운영하는 외식 브랜드 ‘찬장’과 ‘메이하오&자연은 맛있다’에 서빙로봇 서비스를 선보인다. 풀무원푸드앤컬처는 그동안 구축해온 오프라인 푸드 서비스에 우아한형제들의 푸드테크 기술을 도입, 기존 레스토랑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인간 점원 1.5인분 한다는 서빙로봇 ‘딜리’ 주목 선반 형태 몸체에 쟁반 4개를 부착한 서빙 전문 자율주행 로봇 ‘딜리’의 ‘스펙’은 화려하다. 우선 ‘서빙로봇 딜리’는 4개의 적재 트레이를 갖추고 있어 한 번에 4개 테이블의 서빙을 수행할 수 있다. 최대 50kg까지 적재 가능해 무거운 메뉴도 한꺼번에 나를 수 있다. 두 가지의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 장애물 회피와 정확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장애물이 나타나면 로봇 전방 40cm에서 인식하고 멈추거나 알아서 피한다. 또한 ‘cm’단위로 이동이 가능해 고객테이블에 도착 시 정확한 위치에 서빙이 가능하다. 테이블에 부착된 QR코드로 주문과 결제를 하면 '서빙로봇 딜리'가 안전하게 주문 음식을 서빙해주는 스마트오더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쉽고 편한
현재 일본 외식시장에는 다양한 장르의 무한리필 가게, 일명 ‘다베호다이’(食べ放題)라고 하는 시간제 무한리필업종이 성행 중이다. 이전부터 인기가 많았던 ‘샤브샤브 다베호다이’, ‘야키니쿠 다베호다이’ 등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가성비 소비 붐이 일며 일본 외식시장에 유망업태로 확고히 자릴 잡았다. 최근엔 다양한 디저트와 샌드위치, 미니 수제버거를 시간제 무한리필로 즐길 수 있는 곳이 등장에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주목받는 점은 회전초밥처럼 회전레일에 올려 원하는 디저트를 앉은 자리서 골라 먹도록 한 점이다. 지난 2018년 7월 도쿄 하라쥬쿠(原宿)에 문을 연 회전 디저트 카페 ‘메종 에이블 카페 론론(MAISON ABLE Cafe Ron Ron)’가 그 주인공으로 메이지진구마에(明治神宮前)역 하라주쿠 교차로에 위치해 있다. 가심비 공략, 도쿄 여성들의 테마파크로 자리 잡아 카페 ‘론론’에서는 조각케이크, 마카롱, 크레페, 와플 등 총 25종류의 디저트뿐만 아니라, 샌드위치, 아이스크림, 야키소바버거와 같은 식사메뉴들을 38미터의 회전 레일에 올려 제공하는 독특한 운영방식을 갖추고 있다. ‘회전스시 레일에 올려진 디저트’라는 발상의 전환으로 주말의 경우 보통
최근 외식업계의 핵심키워드 중 하나는 ‘고스트 레스토랑’이다. 고스트 레스토랑이란 실제 점포를 가지지 않고 작은 공간에서 음식을 제조해 배달 서비스로만 판매하는 매장을 뜻한다. 1인 가구 증가, 편리한 배달 플랫폼의 등장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일본에서 현재 두각을 보이는 고스트 레스토랑이 있다. ‘The Vegetarian Butcher Derivary’는 식물로 만든 대체 고기(Plant Base Meat)를 사용한 햄버거를 만든다. 도쿄의 이케부쿠로에 위치한 ‘BUTAMAJIN 이케부쿠로점’의 주방을 빌려 조리를 한다. ‘The Vegetarian Butcher Derivary’의 창업자 무라타니 유키히코 대표가 고스트레스토랑을 차린 이유는 무엇일까? 앞으로 떠오를 대체 고기 시장 무라타니 대표는 올해 32살의 젊은 사업가이다. 도쿄에 있는 샤브샤브 식당과 한식당에서 근무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1년 정도 호텔 서비스맨으로 일했다. 일본으로 돌아오고 나서2016년 8월에 고기 전문점인 대장군의 혼다 다이키 대표와 함께 ‘BUTAMAJIN 이케부쿠로점’을 오픈했다. 이어 2017년 8월에는 베지테리언 붓챠 재팬을 창업해 대표로 취임하고, 올해 9월부터
지난달 3일, 도쿄 스이도바시에 '마을의 키친’을 컨셉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선술집 ‘술과 맛있는 밥, 에너지홀’이 문을 열었다. 26세에 고깃집 개업해 외식업 한길만 29년째 ‘술과 맛있는 밥, 에너지홀’의 오카다 야스시 대표는 1932년부터 외식업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오카다 대표는 26살에 회사에서 독립해서 나와 고깃집 ‘고베테이’(神戸亭)를 창업했다. (현재는 고베야(神戸屋)로 상호명 변경) 개업한 뒤 29년동안 음식점을 운영하며 외식 컨설팅을겸해왔다. 현재는 ‘고베야’를 포함해서 닭고기구이 가게 ‘숯불꼬치구이 히요쿠노토리’, 라면집 ‘라멘 미하루’ 2점포와외식 프랜차이즈 ‘쿠시카츠 다나카’ 매장 2개를 동시에 운영하는 외식업 전문가이다. 술집이 아닌 키친, 안주가 아닌 요리 오카다 대표는 ‘술과 맛있는 밥, 에너지홀’을 만들며 기존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로 만들고 싶었다. 술집이지만 활기 넘치는 분위기 속에서 외식을 즐기는 공간으로 꾸몄다. 오카다 대표는 “선술집이라기 보다는 전문점으로, 평범한 안주가 아닌 레스토랑에서 나올법한 고급요리를 제공한다."며 "그렇지만 매장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다가가기 쉬운 ‘마을의 키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