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최신트렌드와 신사업 정보를 한눈에! 푸드비지니스 TV
한국과 일본의 최신트렌드와 신사업 정보를 한눈에! 푸드비지니스 TV
일본 정치의 중심지인 나가다 쵸에도 가까워 대형 상권이 자리잡고 있는 아카사카. 이 번화가에 2018 년 6월, 엉뚱한 이름의 건물이 탄생했다. 그 이름은 '도쿄 농촌’(東京農村). ‘농업을 도심에서 확산’이라는 테마로 1층부터 5층까지, 건물 한 채가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유 오피스와 주방, 건물 내 수경재배로 직접 농작물을 키워 신선한 채소를 내놓는 식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업 분야에서 생산에 머물지 않고 가공 제품을 만들거나 유통, 체험 등을 더한 '6차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 또한 ‘농업의 6차산업화’라는 이름으로 농산물 가공, 농장 직판, 관광 등의 경영다각화 바람이 일고 있다. 30년간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외식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는 알지엠컨설팅 강태봉 대표는 “현재 일본은 지방산업의 뿌리인 특산물과 농촌의 근간인 공동체 정신을 살리면서 동시에 생산·유통·관광·체험 등이 결합한 6차산업을 꽃피우고 있다. 도쿄 도심 번화가에 한가운데 들어선 ‘도쿄농촌’ 또한 맥을 같이한다.”며 이어 “우리도 일본처럼 공무원·창작예술가·농협직원·마을주민이 합심해 농업의 6차 산업화를 활성화한다면 우리 농업·농촌이 안고 있는 각
디저트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는 요즘, 일명 ‘기적의 팬케익’으로 불리우는 일본의 수플레 팬케이크 브랜드 플리퍼스(FLPPER’S)가 압구정 갤러리아 백화점에 오픈한다. 최근 가츠산도·타마고산도(돈가스·계란 샌드위치)등 한 끼 식사로도 손색이 없는 일본식 샌드위치나 일본 말차를 넣은 푸딩이나 케이크 등 부드러우면서도 담백한 맛이 특징인 일본 디저트가 젊은 여성에게 인기다. 일본 디저트브랜드가 한국에서 뜨는 이유에 대해 30년간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외식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는 알지엠컨설팅 강태봉 대표는 "식당과 술집에 이어 카페까지 일본풍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경험' 때문이다. 관광지뿐 아니라 일본을 속속들이 경험한 이들이 늘면서 이러한 일상의 문화를 경험한 사람이 늘어난 것.”이라며 일본 디저트 브랜드들의 공통점에 대해 “요란하지 않은 간결한 디자인, 정형화된 공정과 철저한 위생관리, 그리고 메뉴의 품질을 위한 느림의 미학.”을 꼽았다. 전 세계 디저트의 최신 유행이 집결된 일본 동경 시부야. 핫 스팟으로 떠오르고 있는 곳과 최고의 디저트로 정평이 화제 점까지, 일본의 인기 카페 여섯 곳을 엄선하여 소개한다. 1. 시부야 ‘첼시 카페(CHELSE
2018년 일본 외식시장은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였지만, 인력 부족의 심화, 식재료 상승 등의 고질적인 문제가 공존했던 한 해를 보냈다. 30년간 총 83회차에 달하는 일본 외식산업연수를 진행하고 있는 ‘알지엠컨설팅’의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일본 외식시장의 경우 이자카야, 스시전문점의 경우 전년을 밑도는 하락세를 보였고, 일본 내 육류소비열풍으로 야키니쿠업태를 포함 닭, 말고기, 양고기전문점 등이 인기를 끌었다. 무엇보다 소자이(HMR)시장의 급성장이 두드러졌으며, 가볍게 한잔 컨셉의 대중술집, 다베호다이(무한리필업종) 등의 업종이 2017년부터 호조를 보였다. AI, 터치패널, 결재어플 등 IT와 접목된 사업분야 또한 큰 주목을 받았다. 2018년에도 많은 상업시설이 문을 열었다. 그 중에서도 일본에서 가장 큰 화제를 모은 것은 9월에 문을 연 ‘시부야 스트림’이다 「시부야 스트림」은 지하화한 도큐토요코센·시부야역을 재개발한 곳으로 시부야 재개발의 향후방향성을 결정짓는 큰 의미를 가진 상권이다. 곧 시부야는 JR시부야역, 구 토큐 플라자 시부야, 시부야 팔코 재건축, 시부야구청, 공회당 재건축, 미야시타 공원 재정비, 사이버 에이전트 신본사 아베마
최근 KOTRA 일본 나고야무역관은 일본 식품시장의 동향에 대해 저출산·고령화로 시장성장 둔화가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2020년까지 일본 식품 관련 산업 시장규모는 98.9조 엔으로 예상하여 중장기적으로 시장규모 확대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공장 건설 등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일본 식품 대기업들 이처럼 일본 식품시장의 성장둔화가 예상되는 가운데에도 메이지, 아지노모토, 산토리는 각각 제과, 조미료, 음료 시장에서 업계 최고를 자랑하는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국내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기업별 투자 계획으로 메이지는 최근 주력 상품인 ‘메이지 밀크 초콜릿’ 외에, 폴리페놀이 들어간 ‘초콜릿 효과’라고 하는 고단가 상품에 힘을 쏟고 있다. 메이지는 신제품을 생산하는 신공장 건설의 필요성을 피력하며, 사이타마현 사카도시에 초콜릿 생산을 위한 신동 건설을 준비 중이다. 식품기업 2위인 아지노모토 또한 약 400억 엔을 들여 조미료와 가공식품 생산 체제를 재편하여 5개의 생산 거점을 3개 거점으로 집약하고, 자동차 설비나 ICT를 도입한 신공장을 건설해 2019년 하반기부터 순차 이동할 예정이다. 공격적인 투자로 내수·해외
라이프스타일 엑스포 도쿄 전시회 사무국은 일본을 대표하는 라이프스타일 종합 B2B 전시회인 ‘라이프 스타일 엑스포 도쿄 2019(LIFESTYLE EXPO TOKYO 2019 [January])’가 2019년 1월 30일부터 2월 1월까지 일본 치바 마쿠하리 멧세 전시장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 고품질 Made-in-Japan 제품 구매를 위한 최적의 전시회 일본 최대 전시회 주최사 Reed Exhibitions Japan이 주최하는 라이프스타일 엑스포 도쿄가 2019년에도 성공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일본은 물론 전 세계에서 집결된 각종 선물용품, 핸드메이드 제품, 인테리어 용품 등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이 전시회는 전 세계 바이어들에게 큰 호평을 얻어 2018년부터는 연 2회 개최, 라이프스타일 관련 용품들의 구매를 위한 최적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일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인 만큼 특히 고품질의 유니크하고 매력적인 식품에서부터 생활용품, 뷰티까지 Made-in-Japan 제품들을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어, 일본 제품의 구매를 원한다면 반드시 참석해야하는 전시회로 손꼽히고 있다. 세계 시장 진출을 꿈꾸는 다양한 제조업자들의 참가가 매년 늘어
저출산 고령화로 만성적인 일손부족에 시달리는 일본에서 파트타임 및 아르바이트의 시간당 급여가 1만원을 넘어섰다. 일본 구인정보사이트 리쿠르트잡스가발표한 10월 3대 도시권에서 아르바이트직의 평균 시급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1047엔(약 1만원)으로 과거 최고가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3대 도시권이란 일반적으로 도쿄(東京)도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과 아이치(愛知)현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 그리고 남부 오사카(大阪)·교토(京都)부를 중심으로 한 4개 현을 말한다. 아르바이트생과 파트타이머 입장에서 시급 인상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고용주 입장에서는 부담이다. 특히 아르바이트생에 대한 의존율이 높은 외식업 등 소매업 업주들은 인력 확보를 위해서는 임금을 올리고 이들의 처우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 총무성 조사에 따르면 일본 전체 취업자 중 20%가량인 1500만명이 파트타이머와 아르바이트생이다. 2000년께 까지는 이들의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저출산 영향으로 최근 수년간은 증가세가 주춤했다. 이에 아르바이트생의 연령대도 15~24세 청년층은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자가 증가해 각각 2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3대 도시권뿐 아니라
주식회사 TAKAMI 홀딩스(본사 : 쿄토시 시모교구, 대표이사 타카미 시게 미츠)의 정통 이탈리아 남부 요리전문점 ‘나퓨레’(NAPULE)가 서울에 삼성동에 상륙했다. '나퓨레'는 1999년 개업한 일본 미나미 아오야마 본점을 시작으로 ‘남부 이탈리아의 풍경이 보이는 요리’를 컨셉으로 현재는 롯폰기 도쿄미드타운점을 비롯해 이케부쿠로 · 요코하마에도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현지 나폴리에서 개최되는 '피자 선수권 대회'에서 2년 연속 우승한 실적도 가지고 있다. 삼성동에 새롭게 문을 연 나퓨레는 2018 미쉘린가이드 원스타를 획득한 청담동 레스토랑의 총괄 쉐프 제이슨오가 정통 이탈리아 요리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나퓨레는 이탈리아 남부요리의 중심지인 나폴리를 지칭하는 방언으로 정통 이탈리아 요리의 멋과 맛을 보여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나퓨레 레스토랑은 이미 일본에서 5개의 점포가 오픈했으며, 한국에서는 제이슨오 쉐프가 최초로 론칭했다. 나퓨레의 대표 메뉴로는 감자와 햄, 그리고 각종 야채를 함께 넣고 끓인 나폴리 지방의 가정식 파스타와 어린양 정강이구이를 비롯해 다양한 치즈와 치콜리, 바질이 어우러진 리피에노 피자 등 다양한 생선요리가 있다.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