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동향]아시아식품 수요 증가하는 크로아티아

유럽 국가 크로아티아에서 지난 5년간 아시아 식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다.

그 중 아시아식 면류 및 라면 매출은 각각 18.5%, 49.6% 성장했다.  또한, 한국을 찾아 식문화를 경험하는 유럽 관광객 증가, K-POP, K-Beauty 영향으로 한국식 라면, 김치, 김 등을 찾는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크로아티아 식·음료 시장 규모

2018년 크로아티아의 식품 음료시장 규모는 40억 유로 규모로 2010년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44억 유로 규모로 예상된다.

 

 

2018년 기준 유제품, 제과제빵 제품, 육류 및 육가공식품, 컨펙셔너리(단간식류) 순으로 높은 매출을 보이고 있다. 이 중 성장세가 큰 제품군은 유제품, 제과제빵 제품 및 간편식이다.

 

크로아티아 통계청 및 유로스타트(Eurostat)의 조사 결과을 보면 크로아티아는 유럽에서 총 가계지출 중 식료품비 차지 비중 1위 국가로 루마니아와 세르비아가 각각 26%, 22%로 뒤따랐다. 영국은 7.2%로 유럽에서 식료품 지출이 가장 적다.

 

라면 등 아시아 면류에 대한 수요 증가

유로모니터(Euromonitor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19년도 면류 판매는 1450만 쿠나(약 194만 유로)를 기록했고 2014년 이후 매년 3.40% 성장했다.

 

 

이 중 2014~2019년 크로아티아의 아시아식 라면 판매량은 2014년 210만 쿠나(약 28만 유로)에서 2019년 320만 쿠나(약 43만 유로)로 5년 동안 50% 이상 증가, 컵라면과 라면이 전체 매출에서 각각 70%, 30%를 차지했다.

 

요리용 아시아식 면의 판매도 2014년 이후 꾸준히 성장해 2019년 1130만 쿠나(약 151만 유로)의 매출을 올렸다. 라면 품목에서 인기가 많은 브랜드는 Blue Dragon(영국), Indomie(인도네시아), Nissin(일본) 제품이며, Indofood는 낮은 가격을 경쟁력으로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KOTRA 자그레브 무역관에서 조사한 크로아티아 식료품 소매점 1위 브랜드 콘줌(Konzum)의 아시아식 라면·식품 판매 현황에 따르면 식품 코너는 크게 소스류(간장, 테리야키, 고추냉이, 핫소스, 카레 등)와 면류(컵라면, 봉지라면, 소면 등)로 나눌 수 있다.

 

그 외 라이스페이퍼, 식초, 마늘, 김 등도 판매하며,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제품과 서유럽 식품 글로벌 기업인 네슬레(Nestle)의 식품 브랜드인 마기(Maggi)의 제품을 찾아 볼 수 있다.

 

 

크로아티아 수도 자그레브 소재 아시아 식료품점은 Asia Store, Asian Cash&Carry, Beijing Duck, Kim’s Kitchen Korean Mart로 총 4곳이다.  Asia Store는 아시아 식품 전문 벤더로 소매점 외에 크로아티아 내 다수의 중국 음식점 및 쇼핑몰 내 중식 간편 식당을 운영한다.

 

한국 제품에 대한 니즈는 2015년부터 확연하게 늘었으며, 특히 라면과 김치의 수요가 가파르게 성장했다. 이는 급증하는 한국인 관광객(2013년 7만 4001명에서 2018년 40만 8110명으로 증가)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인식 확산이 제품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아직 크로아티아 식품 음료 시장 규모 중 아시아식 면류 시장의 비중은 미미하지만 최근 5년간의 면류 및 라면 시장이 50% 이상 성장했고 향후도 이러한 흐름은 이어질 전망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고령친화우수식품 네이밍·슬로건 응모하세요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하 식품진흥원)이 오는 11일(금)까지 ‘고령친화우수식품’의 새로운 이름을 발굴하기 위한 대국민 네이밍·슬로건 공모전을 진행한다.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제도는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을 배려하여 물성, 형태, 영양성분 등을 조정하여 제조된 제품을 인증하는 제도로 고령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고령친화식품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고령친화우수식품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소비자들이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이름을 발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공모전은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소통24, 씽굿, 인스타그램(@foodpolis.kr_sfood)을 오는 7월 11일(금)까지 접수할 수 있다. 심사는 관련 전문가들이 진행하며 심사 기준은 적합성(30점), 대중성(30점), 독창성(40점)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공모전 결과는 7월 중 발표될 예정이며 대상 1점, 최우수상 2점, 우수상 2점 등 총 5점의 당선작이 선정된다. 당선작에는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이사장상과 함께 소정의 상금이 수여될 예정이다. 당선작 중 하나는 대국민 투표를 통해 최종 네이밍으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