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하멜커피 성공 예감…시음회 호평

하멜맥주·불금불파 연계, 새로운 관광 랜드마크 속도

 

 

전남 강진군은 지난 26일 강진 관내 카페 운영자와 군청 직원 3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하멜커피(가칭) 레시피 개발 시음회를 열었다.

 

군은 강진만의 차별화된 커피를 만들어 관광과 연계한다는 목표로, 레시피 개발에 착수했으며 ‘하멜’이라는 콘텐츠를 활용해 상표등록과 디자인 개발 등 본격적인 관광 상품화를 추진 중에 있다.

 

강진군 관내에만 80여 개가 넘는 카페가 운영 중일만큼, 카페 문화는 강진 군민 생활 깊숙이 자리 잡았으며 관광상품으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강릉시가 자판기 커피거리에서 인지도를 쌓기 시작해, 원두커피를 취급하는 카페거리로 거듭나며 많은 관광객이 모이는 대표적 관광지가 됐다는 사례를 참고했다.

 

하멜커피 개발 용역업체가 제시한 레시피는 하멜블렌딩①, ②, ③ 총 3종으로, 커피별 특성 분석은 SCAA(스페셜티커피협회) 관능 평가법을 기초로 했다. SCAA 관능 평가는 커피의 향미와 맛, 촉각 등을 수치로 분류한 방법이다.

 

체리와 같은 향미 특성은 ①이 12.02로 가장 높았고, ②가 10.38, ③이 9.12로 가장 낮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반대로 감귤류와 같은 상큼함은 ③이 가장 높았다.

 

맛 특성으로 신맛은 ③이 12.1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단맛은 ①이 10.96으로 가장 높았다.

 

촉각 특성으로 바디감은 ①이 11.19로 가장 높았고, ②가 9.96, ③이 8.17로 가장 낮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①은 체리같은 향미, 단맛, 바디감 특성이 강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②는 호불호가 크게 없는 중간적인 관능 특성을 가지고 있고 ③은 감귤류, 산미, 후미 특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음회 종료 후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선호도 조사에서 하멜블렌딩①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군은 영업자가 나머지 블렌딩 레시피를 원할 경우 사용을 허용할 방침이다.

 

이날 소개된 드립백은 시음회에 참가한 영업주들의 호응이 컸으며, 상품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상품 개발 후 영업주에게 보급해 주길 바란다는 의견이 많았다.

 

군은 영업주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대화방을 개설해 최종적인 레시피를 결정하고, 이후 커피문화 발전을 위한 영업주 대상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종 커피 레시피가 완성되면 2023년 5월 중 상표등록을 마치고 병영면 하멜기념관 내 카페테리아와 기존 관내 카페 영업장에 보급할 예정이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강진에 커피 문화가 정착되면서 어떻게 하면 영업주들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까 많은 고민이 있었다”며 “하멜커피 개발을 시작으로 하멜맥주, 불금불파의 날, 야시장 운영 등 병영면이 MZ세대를 겨냥한 새로운 관광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국회서 포항 대표 미식 콘텐츠 홍보 … 포항 미식 팝업홍보관 ‘호응’
포항시는 지난 24일부터 국회 소통관 앞 광장에서 포항 미식 팝업홍보관을 호응 속에 운영하고 25일 마무리했다. 대한민국 국회에서 만나는 포항미식 팝업홍보관 행사는 국회를 찾은 국회의원과 정부·유관기관 관계자, 언론, 일반 시민들에게 포항 10味, 푸드테크, 시그니처 디저트 등 포항을 대표하는 미식 콘텐츠를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홍보관에는 포항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미식 분야) 가입 추진 홍보, 포항시 외식업 특화 거리 홍보, 포항 10味 시식 체험 등 포항 외식산업의 대표 정책과 특화 지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가 구성됐다. 등푸른막회·물회 등 ‘포항 10味’ 시식 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의 큰 관심을 끌며 포항 해양 미식의 특징과 맛을 생생하게 전달했다. 특히 ‘AI x FoodTech Zone’에서는 휴머노이드 조리 로봇이 관람객을 인식해 팝콘을 제공하는 시연이 진행돼 현장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첨단기술 기반의 체험형 콘텐츠는 “포항이 지향하는 미래형 미식도시의 청사진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회 관계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지역 디저트를 가볍게 소개하는 시그니처 디저트 존도 운영됐다. 흥해라 이팝(이바비 그린술빵), 해풍미당(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