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인사이트] 新 푸드테크

매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가전 박람회(CONSUMER ELECTRONICS SHOW)는 그해 펼쳐질 최신 기술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행사다.

 

올해 열린 CES 2022에서도 전 세계 유수의 IT 업체들이 참여했다. 특히 푸드테크 분야에서는 미래 먹거리를 이끌어갈 식품 산업의 신기술을 엿볼 수 있었다.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음식을 스캔하면 자동으로 영양 정보가 분석될 뿐만 아니라, 투입된 식재료의 양을 최적화해 음식물 쓰레기까지 줄여주는 누비랩의 ‘AI 푸드 다이어리’와 친환경 에너지로 길러낸 사과를 수확하고 포장하는 두산 로봇틱스의 ‘스마트팜 협동로봇’ 등이 눈길을 끌었다.

 

그 밖에도 푸드테크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은 신기술들을 모았다.

 

1. FUTURE HOME, 메타버스·AI 집결된 미래의 키친

 

 

“식사 준비는 됐지?”라고 물어보자 냉장고 스크린에 떠오른 아바타가 “다 됐어요”라고 대답한다. 이어 식탁 앞에 있던 ‘로봇 팔 핸디’를 향해 “테이블 세팅해줘”라고 말한다. 메타버스 아바타와 인공지능(AI), 로봇, 미래형 가전이 총집결한 삼성전자 ‘퓨처 홈’의 모습이다.

 

 

2. AI BAR&DINING, 한층 진화한 셰프 로봇과 바텐더

 

국내 기업 비욘드허니컴의 ‘AI 셰프 솔루션’은 AI가 특정 메뉴의 조리 과정을 분자 단위로 학습한 후, 쿠킹로봇으로 균일한 맛과 식감을 재현한다.

 

 

한편, AI 로봇 바텐더도 등장했는데, 이스라엘 GKI 그룹의 ‘세실리아CECILIA.AI’는 아바타가 고객과 대화하고 음료를 1백20잔까지 만든다.

 

3. SUPER TASTE SUPER VEGAN, 발효로 접어든 실험실 식품

 

 

올해는 발효 기술을 더한 대체 단백질 식품을 선보이는 곳이 늘었다. 국내 푸드테크 기업 양유는 식물성 우유를 발효시켜 동물성 치즈와 비슷한 수준의 맛과 영양을 지닌 비건 치즈를 선보여 호응을 얻었다.

 

미국 마이코테크놀로지(MYCHOTECHNOLOGY)는 곰팡이균 발효 기술이 적용된 버섯 우유와 대체육 크럼블을 내놨다.

 

4. SMART FOOD LOCKER, 배달을 위한 뉴 아이디어

 

미국 스타트업 미노우(MINNOW)는 음식 배달을 위한 비접촉식 스마트 사물함 ‘픽업 팟(PICKUP POD)’을 선보였다.

 

 

음식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이 사물함은 내부를 단열하고, UV 항균 조명도 설치해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관해준다.

 

5. MOLECULAR SPIRIT, 생명공학자들의 분자 위스키

 

 

생명공학자들이 증류주, 와인을 만드는 미국 스타트업 엔들리스 웨스트(ENDLESS WEST)는 숙성 없이 실험실에서 만든 최초의 분자 위스키 글리프(GLYPH)를 선보였다. 천연 성분에서 뽑아낸 향미 분자를 조합해 만드는데, 기존 위스키 제조보다 물과 땅을 덜 사용해 친환경적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대한항공, 식물성 원료로 만든 신규 기내식 용기 도입한다
대한항공은 12월부터 식물성 원료로 만든 비목재 펄프 소재로 제작된 기내식 용기를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탄소 배출 저감에 적극 동참하고자 마련됐다. 올해 12월 일부 노선 도입을 시작으로 2026년 말까지 신규 용기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변경하는 기내식 용기는 항공기에서 제공되는 주요리를 담는 용도다. 주로 일반석 고객 대상으로 한식·양식 메인 요리 용기로 활용돼 왔다. 신규 기내식 용기는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다양한 식물성 원료로 만든 비목재 펄프 소재로 제작됐다. 이 소재는 나무를 벌목하지 않고도 생산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상적인 친환경 소재로 꼽힌다. 또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된 환경에서도 변형이 적고 견고한 내구성을 자랑해 사용 편의성까지 높였다. 대한항공은 이번 기내식 용기 개편으로 탄소 배출량은 60%가량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한항공은 이번 기내식 용기 개편은 장기적으로 환경 보전과 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라며, 대한항공은 앞으로도 글로벌 항공업계의 탈탄소 동향과 ESG 경영 트렌드에 발맞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고객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