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 2020년, 두 자릿수 성장 올린 미국 식물성 식품 시장

미국의 식물기반식품협회(PBFA)와 굿푸드인스티튜트(GFI)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미국의 식물 기반 소매 매출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70억 달러를 기록했다. 위 조사에는 식물성 육류, 유제품, 달걀 등 동물성 제품을 대체하는 식물 기반 제품의 판매만을 반영했다.

 

 

식물성 식품의 매출 성장은 미국 전역에서 일관되게 일어났으며, 미국 소매 식품 시장의 성장률과 비교했을 때 약 두 배에 달한다.

 

코로나19 확산되며 빨라진 식습관 전환

지난 1년 동안은 코로나19 감염증이 전 세계를 덮치며 식품외식 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이번 미국 내 식물성 제품의 판매 데이터를 보면 식품 소비의 근본적인 전환이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 점점 더 많은 소비자가 식물성 식품, 특히 건강지향 요소를 가진 식품을 구매 시 주요 선택 기준으로 둘 것으로 보인다. 대체육 기업 ‘비욘드미트’의 소매 유통채널은 전년대비 68% 증가하며, 소비자 접점을 넓혀나갔다. 작년 미국의 전체 식물성 제품의 가구 보급률은 57%를 기록했다.

 

 

식물성 육류 제품의 매출은 2019 년 9억 2600만 달러에서 45% 증가한 14억 달러 기록, 기존 육류의 두 배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식물성 해산물 제품 카테고리의 매출은 23% 증가했다.

 

 

이외에도 식물성 우유인 귀리 우유의 지난해 판매량은 219.3% 증가하며 두유를 넘어 식물성 우유 카테고리 상위 2위에 올랐다. 식물성 요구르트 역시 기존 요구르트와 비교했을 때 20.2%로 약 7배 성장했다. 식물성 원료로 발효한 요거트는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수요가 높은 식품이다.

 

이러한 식물성 제품 시장의 비약적인 성장에 육가공 기업, 식품기업 등은 대체단백질 기업과 적극적으로 제휴를 펼치고 있다. 비욘드 미트는 글로벌 패스트푸드 기업 맥도날드, 얌 그룹(KFC/Taco Bell/Pizza Hut)과 협력을 발표했고, 펩시와는 식물성 단백질을 사용한 스낵 및 음료 개발 계약을 맺었다.

 

 

타이슨푸즈(TysonFoods), 스미스필드(Smithfield), 호멜(Hormel), 카길(Cargill) 등 육류 가공기업도 식물성 대체육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네슬레는 말레이시아에 연간 8,000톤의 식물성 식품을 생산할 수 있는 비건 공장을 건립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성북구-카카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
서울 성북구가 7월 3일 성북구청에서 ㈜카카오,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승로 성북구청장, 권대열 ㈜카카오 CA 협의체 ESG 위원장, 김용덕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이사장, 이정욱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지역본부장, 장위전통시장과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상인회장 등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들은 전통시장과 골목형상점가의 디지털 활성화와 지역상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은 ㈜카카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등이 공동으로 2025년부터 추진하는 신규 지역상생형 사업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에서는 성북구가 유일하게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본 사업의 대상지는 장위전통시장,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점포이며, 2025년 7월부터 하반기 내 운영될 예정이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