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의 전환을 이룬 한식의 뿌리

 

업장명

 

‘술’의 한글 배열을 거꾸로 쌓은 형태이자 ‘뿌리’를 뜻하는 영어 루트 Root에서 착안했다. 익숙한 식문화를 재조명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겠다는 뜻과 식 食의 뿌리를 탐구하겠다는 포부를 담았다.

 

인물

 

 

오현균 셰프는 조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정식당>에서 스타주로 요리를 시작했다. 이후 한식 주점 <익 선반주>에서 리뉴얼 오픈 멤버로 참여했으며, <이다>에서 경력을 쌓았다.

 

계기

 

일상을 감각적으로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늘 꿈꿔온 끝에 ‘일상적 페어링’이라는 테마로 업장을 선보였다.

 

장르

 

모던 한식. 일상의 한식을 다채롭게 변주하고, 한국 술과 페어링할 수 있는 메뉴들을 제안한다. 130여 종에 이르는 한국 술은 모두 잔술로 경험할 수 있고, 개인의 취향과 음식을 고려해 페어링을 추천한다.

 

​대표 메뉴

 

단새우, 전복, 만둣국 등으로 구성한 ‘한입거리’는 잔술과 가볍게 즐기기 좋은 메뉴. 회에 막장을 곁들이는 것에서 영감을 받은 ‘피스타치오 세비체’는 전통 막장의 강한 염도와 향 대신, 피스타치오를 베이스로 한 부드러운 소스와 숙성 회를 조합해 복합적인 풍미를 완성했다.

 

‘항정쌈’은 고사리 삼겹살에서 착안한 요 리로, 튀긴 항정살에 쌍화 글레이즈를 입히고, 고사리 살사와 함께 쌈의 역할을 하는 잎채소를 곁들여 한 국적인 식재료의 새로운 조화를 엿볼 수 있다.
 

 

이곳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한국 술 ‘룻 시그너처 탁주’를 꼭 맛볼 것. 셰프의 조부가 경북 봉화에서 직접 재배한 자두로 만든 청과 레몬딜의 향이 은은하게 섞여 기분 좋은 산미와 시트러스한 향을 선사한다. 자 연 발효 탁주의 부드러운 질감 위로 자두 특유의 새콤한 감칠맛이 매력적이다. 디저트는 물론 가벼운 안주와도 궁합이 좋다.

 

 

인테리어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구조를 완성했다. 통창과 금속 자재를 활용해 한옥의 구조미를 현대적 으로 재해석했다. 한옥의 중정을 경험하도록 업장 가운데를 비워두고, 사랑채를 닮은 룸 공간을 따로 구성해 한옥의 따스한 여백을 군데군데 살려냈다. 전통 책가도에서 착안한 술 전시 공간은 시각적 재미와 함께 한국적 정서를 전달한다.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1길 54-1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거창군 김정오 땅강아지 사과밭 대표, 30년 노하우 담긴 사과 품질향상 기술 특허등록
거창군은 30년 경력 사과 농업인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특허를 획득하며, 지역 과수산업에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땅강아지 사과밭’의 김정오 대표는 1990년부터 사과농사를 시작해 36년째 현장을 지키고 있는 장인 농업인으로, 사과 명인, 사과 마이스터, 사과 신지식인 등 정부에서 수여하는 인증 3개를 모두 취득하며 ‘사과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거창의 대표 장인 농업인이다. 최근에는 사과의 당도와 착색을 향상시키는 시비기술을 개발해 특허등록(특허 제10-2799786호)까지 성공하며, 기술기반 농업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기술은 생육 단계별 수세 진단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시비 체계로, 비료 성분의 시기별 조절을 통해 착색불량과 당도 편차 문제를 해결한 것이 특징이다. 현장 적용 결과 사과 평균 당도는 1.5브릭스 이상 상승하고 착색율은 20% 이상 개선되는 등 뚜렷한 품질향상 효과가 입증됐다. 현재 농장규모는 과거보다 줄었지만, 김 대표는 고품질 소량생산체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후배 농업인들에게 아낌없이 전수하고 있다. 현장실습, 품질 진단 멘토링, 수형 개선 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후진 양성에도 열정을 쏟고 있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