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동향]중국 치즈시장의 부상, ‘마시는’ 우유에서 ‘먹는’ 우유로

중국인의 1인당 치즈 소비량은 연간 0.1kg으로 매우 소량이다.

네덜란드의 1인당 연간 치즈 소비량인 21.6kg과 미국의 15kg에 비하면 아주 적은 수치이다. 같은 아시아권에 있는 한국과 일본도 1인당 연간 치즈 소비량이 각 2.8kg와 2.4kg를 기록하고 있다.

 

2017년 네덜란드의 데이터를 분석하면 네덜란드의 원유생산량은 총 1400만톤이고 그 중 대부분의 원유는 치즈제조에 사용되며 치즈의 생산량은 88.8만톤이다. 네덜란드에서 치즈 생산에 사용되는 원유는 총 원유의 60%에 가깝다.

 

 

상하이밀크그라운드푸드과기지분유한공사(上海妙可蓝多食品科技股份有限公司)의 부총경리 유종상(刘宗尚)은 “중국인의 유제품 섭취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시는 우유뿐만 아니라 먹는 우유로 유제품의 품목을 다원화시켜야 한다. 치즈는 대표적인 발효제품으로서 빠른 시일 내에 보편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치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소비규모의 확장 및 기능성 치즈제품 개발을 통하여 중국 소비시장에 맞는 치즈시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중국 유제품 공업 협회(中国乳制品工业协会) 이사장 송쿤강(宋昆冈)은 “최근 중국의 치즈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치즈의 수입량이 급증하였다.

 

 

치즈 수입량의 급증은 중국 국민이 치즈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1년 중국 치즈 수입량은 2.86만톤에 불과했지만 2019년의 치즈 수입량은 11.49만 톤으로 8년간 4배정도 성장하였다. 음식습관, 가격, 정책 등 여러가지 요소로 인해 중국 내 치즈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송쿤강(宋昆冈)은 중국 치즈 제조 기준 개선 및 치즈 생산 허가에 관한 세부적인 정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얘기 했다.

또한 고품질 치즈상품 수입 및 중국 내 치즈제품 생산업체의 발전을 위해 정부의 다차원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회적으로 유제품의 구조 개선을 추진하여 치즈의 창의적인 연구개발, 제도개선, 시장발전, 식품안전 등 다양한 면에서 산업성장을 실현시켜야 한다.

 

유종상(刘宗尚)은 치즈의 생산과정은 복잡하지 않지만 품질관리가 비교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각 기업은 품질안전 보장체계를 구성, 직원교육 강화, 합리적인 생산공정, 품질 검증 체계 설립 등을 통해 품질관리를 실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현재 중국인의 입맛에 맞는 치즈 상품 개발이 부족한 상황이다. 중국인의 취향에 맞춘 치즈상품을 연구, 개발한다면 한국의 수출업체에게 새로운 시장의 기회가 될 것이다.

 

 

 

자료 참조 : Kati 농식품수출정보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양시 ‘K-푸드’ 김의 뿌리, 인류 최초 김 양식지 ‘광양김시식지’로 초대합니다
광양시가 인류 최초 김 양식의 현장이자 김 수출 10억 달러 시대를 연 주역인 세계 유일의 ‘광양김시식지’를 꼭 방문해 봐야 할 광양의 역사·문화 명소로 소개했다. 최근 K-콘텐츠와 K-푸드 등 한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의 뿌리를 간직한 역사적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곳은 400년 김 산업의 역사가 시작된 상징적 공간으로,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고안해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한 김여익 공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됐다. 김여익은 병자호란 당시 의병으로 활약했으나,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했다. 그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모습에서 착안해,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의 특징을 활용한 ‘섶꽂이 양식법’을 인류 최초로 창안·보급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의 맛에 감탄한 인조 임금이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을 듣고, 그의 성을 따서 ‘김’이라 부르게 됐다는 흥미로운 유래도 전해진다. 후손들은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제향을 올리며 김여익의 업적을 기리고,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 전통도 300여 년째 이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