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OOD 비즈니스]선물용 쌀 만들어 판로 개척한 日 농가

일본에서 쌀을 캐주얼하고 세련되게 변신시켜 소득을 올리는 농가가 있다.

혼슈 중심부인 시가현 나가하마시에 위치한 햐쿠타쿠미야(百匠屋)는 쌀을 선물의 개념으로 풀어냈다.

 

지역에서 생산한 쌀을 검은콩, 찹쌀, 팥 등과 섞어 다양한 컨셉을 입히고 파스텔톤 포장지와 노시(熨斗, 축하의 선물에 인사말을 적어 덧붙이는 종이)로 꾸몄다.

 

 

우리나라 역시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라는 말이 옛말이 됐을 정도로 쌀 소비량이 떨어져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1985년 128.1kg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8년 69.5kg까지 감소했다. 작년 9월에는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생산자협회 등 농민단체들이 쌀 목표가격 인상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에 나서기도 했다.

 

똑같은 쌀이지만 새롭게 해석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는 일본 농가의 사례를 소개한다.

 

건강한 쌀을 간단하고 맛있게

햐쿠타쿠미야(百匠屋)에서 판매하는 쌀 상품은 1인분씩 컵 용기에 담아 판매한다. 사용하는 쌀은 시가현 후베이 지역에서 가져온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쌀은 모두 저농약, 최소한의 화학 비료 사용으로 재배해 아이부터 어른까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씻지 않고 바로 밥을 지을 수 있는 제품이라 물양을 맞춰 함께 넣으면 된다. 또한, 쌀과 함께 있는 잡곡을 가압해 팽화 상태로 만들어 두었기 때문에 물에 불려서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 없다. 1인분 씩 나눠서 포장돼 있고 밥을 짓는 법이 간편하기 때문에 선물용은 물론 아침에 집밥을 먹고 출근하려는 1인 직장인의 수요도 늘고 있다.

 

갓 지은 밥은 알파화 상태가 돼 단맛이 나고 찰기가 있어 맛있다. 하지만 식게 되면 베타 상태 녹말로 돌아가 맛이 없어진다. 햐쿠타쿠미야(百匠屋)에서 사용하는 쌀은 고시히카리 중 최고급 품종을 사용해 식은 상태에서도 찰기와 맛을 잘 유지해 도시락용으로도 적합하다.

 

경조사를 위한 쌀 선물세트

쌀 선물 세트는 축하용, 연말용(歳暮, 신세진 사람에게 연말에 선물을 보내는 일본 문화), 조사(弔事)용, 3종류가 있다. 빨강, 파랑, 연두 보라, 노랑 등 포장지를 상황에 맞게 꾸몄다. 축하용에는 하얀색과 빨간색을 사용하고, 조사용 상품은 연두색과 보라색을 쓴다. 쌀 가격은 개수에 따라 1600엔~5500엔 사이이다.

 

 

축하 쌀에는 백미와 찹쌀 특별한 가공 붉은 팥, 붉은 쌀을 넣어 색감을 살렸다. 조사용 쌀은 잡곡을 넣지 않고 고시히카리 품종의 쌀만 넣어 정갈하고 구성했다. 지역 농가 활성화를 위해 시가현에서 새로이 개발한 쌀 품종을 사용한 미즈카가미 상품도 있다. 시가현 중앙부에 있는 일본 최대의 호수인 비와호의 물을 사용해 알맞은 끈기와 부드러운 단맛이 특징이다.

 

 

7종류의 노시(熨斗)는 동백꽃, 소나무, 매화, 금붕어, 국화 등이 그려져 있어 주문 시 용도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한편 일본 아오모리현의 이나카다테 마을은 식생활의 서구화로 쌀 소비량이 줄어들어 위기를 겪자 논에 색깔이 있는 벼를 심어 만화 캐릭터, 미술 작품을 그리기 시작했다.

 

 

‘논 아트’로 유명세를 얻으며 일본인 물론 전 세계적으로 관광객을 모았다. 게다가 논 그림 사진을 찍으면 판매 사이트로 연동되는 QR코드를 개발해 판매 증진을 꾀한 경우도 있다. 경기도 여주시 역시 이를 벤치마킹해 논에 세종대왕 그림을 그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외식오늘] 급더위에 면요리 소비 증가...캐치테이블, 여름 외식 트렌드 발표
더위가 기승을 부리자 여름 면 요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대표적인 여름 음식인 냉면을 비롯해 냉우동, 소바 등 관련 맛집을 찾는 고객이 늘어나며 미식 트렌드가 면 요리로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2030세대를 중심으로는 ‘평양냉면’을 찾는 검색량이 크게 늘면서 미식 트렌드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외식업 통합 솔루션 전문기업 와드가 운영하는 캐치테이블은 최근 조사한 여름 외식 트렌드에서 냉면 관련 키워드 검색량이 상승했다. 냉면 식당 방문 수치 역시 동반 상승하며 온라인 검색이 실제 오프라인 소비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월19일부터 6월15일까지 4주간 캐치테이블 내 검색 및 방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냉면 식당을 찾는 고객 수가 평균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격하게 더워진 초여름 날씨에 시원한 면 요리를 찾는 사람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평양냉면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며 함흥냉면 대비 평양냉면 검색량이 11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중 2030의 비중이 약 8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면 식당을 방문한 20대의 경우 2024년 16.5%에서 올해 22.6%으로 증가하며 전체 연령대 중 차지하는 비중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오는7월 1일~2일,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전수창업] 일본 현지 ‘장어덮밥’(히츠마부시)전문점 기술 전수
일본 나고야 현지 ‘장어덮밥’(히츠마부시)전문점의 기술을 전수받을 수 있는 교육과정이 오는 6월 26일(목), 전문식당 조리비책 교육시설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에서 진행된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장어’요리. 최근 줄서는 맛집 등 유명 방송프로그램에 일본식 장어덮밥 전문점이 소개되면서 고급 스테미너 음식인 ‘히츠마부시’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나고야 3대 명물인 장어타래 레시피 전 과정 공개 서울과 부산 유명 장어덮밥전문점 노하우 전수 “굽기가 첫 번째 관건이다. 또 깊은 풍미와 맛을 결정짓는 장어타래를 입혀내 윤기와 색감이 어우러져야 진정한 히츠마부시가 탄생한다. 쫄깃한 첫입에 이어지는 부드러운 식감을 극대화하는 조리 방법을 전수, 최고에 가까운 장어구이의 맛을 이끌어 낸다.” 이번 ‘장어타래·나고야식 장어덮밥 상품화 기술전수’ 과정은 일선 요리학원에서 만날 수 없는 현장기술 전수 프로그램으로 김종우 원장이 핵심 노하우를 직접 전수, 시연한다. ‘김종우 원장’은 10년간 일본 동경에서 거주하며 한국과 일본의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도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일본의 히츠마부시 유명 맛집을 다녀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