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동향] 변화하는 미국 빵 소비 트렌드

미국인의 주식인 빵 소비 트렌드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2000년 들어 식생활 패턴이 바뀌고, 건강에 대한 대중의 경각심이 높아지며 고탄수화물 제품인 빵 판매량이 줄어들었다. 주력 상품이 흰 빵에서 통밀 빵으로 이동했으며 프리미엄 빵, 갓 만든 디저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세계 빵 소비 1위 국가 미국

미국은 전 세계에서 빵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이다. IBIS World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세계 빵 시장에서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13.11%, 매출액은 458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5년간 연평균 1.3% 상승한 수치다.

 

미국의 빵 시장은 크게 양산 빵(공장에서 대량 생산하는 제품) 시장과 베이커리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산 빵은 마트 내에 진열돼 대량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말한다. 주요 생산업체로는 그루포 빔보(Grupo Bimbo)와 플라워스 푸드(Flowers Foods Inc)가 있으며, 두 업체가 작년 기준으로 전체 시장의 24.5% 이상을 점유한 상황이다.

 

시장에서 판매량이 높은 제품은 식사 시 섭취하는 일반 식빵류(냉동 제품 포함)를 비롯해 롤, 베이글, 크루와상 등이 전체 판매액의 53.5%를 차지한다. 디저트도 미국 빵 시장의 주요 제품군으로서 냉동 및 상온 보관 상품을 합쳐 30.4%를 점하고 있다.

 

건강 지향 소비, 빵 시장에도 영향

2000년대부터 미국인 1인당 소득 대비 밀가루 소비량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흰 밀가루를 원재료로 한 제품군의 소비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를 지양한 것이 주 요인으로 꼽힌다. 

 

 

밀가루를 사용한 흰 빵 소비는 줄어든 반면 통밀빵 선호도는 크게 증가했다. 스태티스타(Statista) 통계에 따르면 건강한 빵과 견과류 등이 첨가된 마진율이 높은 특화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며 빵 시장 전체 매출도 소폭 상승했다.

 

소비력 증가로 프리미엄 빵 수요 늘어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력이 증가하며 가격 보다는 맛과 영양이 주요 선택 기준이 되며 프리미엄 빵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제품군에서는 흰 밀가루 대신 통밀이 주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2013년을 기점으로 미국 내 제빵에 사용되는 통밀 사용량이 흰 밀가루 사용량을 역전했다. 100% 통밀로만 만들어진 빵 등 다양한 상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천연발효종과 보리새싹을 주원료로 하는 고가의 글루텐 프리(Gluten-Free) 제품과 유기농 제품에 대한 수요도 함께 올랐다. 플라워 푸드사는 유기농 빵 전문 생산업체인 데이브스 킬러 브레드(Dave's Killer Bread)와 알파인 밸리 브레드(Alpine valley bread)를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프리미엄 빵 시장 공략에 나섰다.

 

 

디저트 또한 건강한 상품을 찾는 성향이 반영돼 냉동 제품 소비는 감소하고 갓 만든 디저트(fresh baked)에 대한 수요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밀 케이크, 글루텐 프리 케이크 등 상품이 인기다.

 

 

빵 제조 및 유통 전문업체 사라 리(Sara Lee)사는 케이크, 파이 전문 베이커리 중소업체 Cyrus O’Leary’ Pies를 인수하며 대형업체에서도 소포장한 갓 만든 디저트 판매를 가능케 했다.

 

 

한편 코로나19가 미국 전역을 덮치며 때아닌 빵 사재기 현상이 벌어졌다. 지난 3월 13일 미국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며 대형마트 내 식빵류가 가장 먼저 품절된 것이다. 갑작스런 빵 수요 상승에 빵 반죽에 사용하는 이스트, 밀가루 공급 부족을 겪기도 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슈UP] ‘한글과자’ 세종시 한글날 박람회 첫날 완판… 줄 서는 K-푸드 인기 실감
K-푸드 브랜드 한글과자(Kalphabets)가 한글문화도시 세종시에서 열린 제1회 한글상품박람회 첫날, 개장 3시간 만에 전 재고가 완판되는 품절 대란을 일으켰다. 이번 박람회는 한글날(10월 9일)을 기념해 세종시가 주최한 행사로, 전국의 한글 관련 브랜드와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한글과자는 행사 첫날부터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특히 ‘한글과자 초코맛’ 을 구매하려는 관람객들이 길게 줄을 서며, 현장에서는 “이 과자 어디서 살 수 있나요?”, “선물용으로 여러 박스 사고 싶다”는 문의가 이어졌다. 한글과자 창업자 타일러 라쉬(Tyler Rasch) 와 니디 아그라왈(Nidhi Agrawal) 은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재고가 소진됐다”며 “행사에 이틀이 남아서 판매를 이어가기 위해 긴급히 추가 물량을 확보해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세종시 소비자들의 반응이 이렇게 뜨거울 줄은 몰랐다. 현장에서 느낀 관심과 응원이 큰 힘이 된다”고 덧붙였다. 한글과자는 이번 품절 사태를 계기로 ‘세종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과자’ 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한글과자는 이마트, 컬리, 쿠팡, 교보문고 세종점, 한글상점, DDP디자인스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창원 마산 합성동에서 청춘 한 잔, 맥주 한 잔!
창원특례시는 오는 18일 ‘제3회 마산 합성동 젊음의 거리 맥주축제’를 마산 합성동 합성옛길 및 합성동지하도상가 일원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2025년 전통시장 잔치한마당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시민참여형 지역 상권 축제로, 합성대로상가·합성동상가·합성옛길시장·합성동지하도상가(대현프리몰 창원점) 등 4개 상인회가 주축이 되어 결성한 ‘합성동상권활성화협의회’가 공동 주관하고, 경상남도와 창원시가 예산을 지원해 마련됐다. 18일 오후 2시 제1부 축제의 막이 오르면, 합성동지하도상가인 대현프리몰 창원점에서는 다문화 음식 바자회를 비롯해 무료 맥주 시음 행사, 행운의 경품 룰렛, MC와 함께하는 흥겨운 레크리에이션 타임 등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이어 저녁 6시 30분부터는 제2부 축제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창원시 관계자를 비롯한 내빈이 참석하는 개막식과 건배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맥주 빨리 마시기’, ‘맥주 캔 쌓기’, ‘맥주 안주 즉석 경매’, ‘도전! 즉석 노래방’, ‘랜덤 댄스 플레이’ 등 시민 참여형 이벤트가 축제 열기를 더한다. 또한 무대 공연에는 여성 트로트 가수 ‘민영아’, 리얼 퍼포먼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