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사용설명서_ 연재③] 쿠팡이츠의 거센 반항, 왕자의 자리를 탐하다.

  • 등록 2021.05.21 09:00:01
크게보기

그동안 소비자는 배민과 요기요를 통해 주문을 하면 최소 40분에서 최대 60분은 기다려야 음식을 받을 수 있었다. 물론 배달 배정이 적은 시간에는 빨리 배달이 될 수 있겠지만, 피크타임에는 한 라이더가 여러 가지의 음식을 싣고 루트를 돌기 때문에 음식은 식을 수밖에 없고 시간은 배로 걸리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이런 배달시장의 문제를 정확히 짚고 ‘1주문 1라이더 배정’이라는 획기적인 스타트를 한 곳! 다름 아닌 쿠팡이츠이다. 브랜드 런칭과 동시에 전략적인 승부수로 빠르게 규모를 키우게 되었고 2위인 요기요의 자리를 추격하고 있다.

 

 

쿠팡이츠의 단건배달 정책은 업계 1위 배민이 동일한 서비스인 배달1 출시로 이어지는 등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사실이나 높은 수수료 부담으로 외식업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끊이지 않는 것도 분명하다. 자영업 커뮤니티만 살펴봐도 "쿠팡이츠 정산 내역을 보고 회의감이 들었다."는 이야기를 쉽게 볼 수 있다. 

 

수원에서 튀김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 A씨는 "요즘에는 배민보다 쿠팡이츠로 주문이 더 들어온다. 하지만 장사를 할꺼면 배달은 절대 하지 말라고 말할 정도로 수고에 비해 가져가는 것이 없다. 플랫폼 사업자도 일정 수익을 가져가는 것이 맞지만 주객이 전도된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쿠팡이츠의 살인적인 수수료! 정말 살인적인가?

쿠팡이츠는 그동안 배달앱 플랫폼에서 과열되어 있던 광고비를 싹 다 없애고 주문건 당 배달요금을 받으며 결제 방식에도 혁신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주문건당 배달요금이 15%에 배달료는 4000원이라는 높은 금액이 수수료로 붙기에 업주들에겐 큰 부담으로 찾아올 수밖에 없다.

 

 

위 표를 잘 보시고 저번 칼럼인 ‘계륵같은 배달앱, 어떻게 사용할까?’편의 배민 수수료 표를 비교해 본다면 수수료가 그리 다르지 않음을 한눈에 알 수 있을 것이다.

 

어찌 보면 쿠팡이츠의 배달료는 타 배달대행사보다 저렴한 경우도 있고 결제 수수료 또한 비슷한 수치이다. 배달 수수료 측면에서도 배민을 이용할 경우 6.8%의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수 십개의 깃발요금을 신경써야 함을 생각하면 쿠팡이츠의 15%는 비싼 금액은 아니라 생각될 것이다.

 

쿠팡이츠의 장점은?

건당 15%라는 배달수수료를 지불해도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면 감수할 것이라는 사장님들도 물론 계실 것이다. 쿠팡은 이런 사장님들을 위해 두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 번째, 신규 입점 가입 시 쿠팡이츠에서는 1000-2000원 상당의 쿠폰을 발행한다. 신규업장이거나 쿠팡이츠 입점에 도전하는 사업주들에게는 이런 쿠폰은 큰 도움이 되고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두 번째, 신규가입 직후 4일 이내 메뉴사진 촬영을 제공한다.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제공하는 사진도 있겠지만 타 업장과 차별화를 두고 자신의 업장만의 색을 찾을 수 있도록 전문 사진기사를 통해 무료로 촬영이 가능하는 점에서 영세업장이나 아직 체계가 잡히지 않은 업장에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일회성이 짙기 때문에 혜택이라고 보기엔 힘들지만, 사업 초기에 기반이 안잡힌 상태에서 이런 혜택은 큰 도움이 된다.

 

쿠팡이츠는 아직 블루오션이다. 입점한 업장의 수도 배달의 민족보다 적을뿐더러 리뷰 스트레스도 배민에 비해 적은 것이 사실이고 또한 고객 정보가 없기 때문에 좀 더 조리에 집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배달이 빠르기 때문에 중식과 같이 빨리 음식이 배달되야 하는 업종에게는 유리할 수 있다. 높은 수수료 때문에 쿠팡이츠 입점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현재 업종과 지역적 특성, 타 플랫폼과 비교를 한 뒤 결정하시길 바란다.

 

정승휘 칼럼리스트 topshin87@foodnews.news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식품외식경영 서울 강남구 학동로 18길 13, 2층(논현동, 청석타운빌) 발행인 : 강태봉 | 편집인 : 강태봉 | 전화번호 : 02-3444-3600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