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맛] 서울의 술맛이 달라지다, 수제 맥주-1

  • 등록 2021.08.19 12:25:00
크게보기

서울의 도심 속 브루어리들

 

영등포터, 문래 화이트, 익선 IPA, 성수동 페일 에일, 신사 라거, 정동의 여름…. 맥주의 이름 앞에 서울 동네 이름들이 붙기 시작했다.

 

모두 서울 도심 속에 위치한 브루어리들이 제조한 맥주의 이름들이다. 천편일률적인 국내 맥주 시장에서 차별화된 맛을 내세운 수제 맥주 바람이 불기 시작하더니 지난 2014년 주세법 개정에 힘입어 그야말로 수제 맥주 전성 시대가 매년 이어지고 있다.

 

 

처음엔 지역(로컬)성이 강조되었으나 이제는 동네 이름이 대두될 만큼 맥주 콘텐츠는 꽃을 피우고 있다. 서울도 예외가 아니다. 이처럼 촘촘한 서울 땅에 맥주 양조장이 왠 말일까 싶지만 저마다의 스토리를 담아 하이퍼로컬리티를 강조한 수제 맥주들이 서울 곳곳에 생겨나고 있다. 이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돕는 동시에, ‘지역 맥주를 찾아 떠나는 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 다양성을 형성한다는 순기능이 있다.

 

실제로 미국과 영국에선 양조장이 들어선 지역에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상업지구가 형성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 사례를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다. 더욱이 지난해부터 영세 제조업체가 위탁 제조OEM 방식으로 제품을 출시할 수 있게 허용되고 코로나19로 홈술 트렌드가 대두되면서, 수제 맥주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지는 중이다.

 

한국수제 맥주협회에 따르면, 국내 수제 맥주 시장 규모는 2017년 4백33억원에서 2020년 1천1백 80억원 규모까지 성장했으며, 2023년에는 3천7백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트러스한 과일 향이 가득한 페일 에일부터 고소한 커피의 풍미를 담은 포터, 기분 좋은 씁쓸함을 선사하는 IPA, 쨍한 산미로 입맛을 깨워주는 사워까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며 오늘날의 다이내믹한 역사를 써내려가는 도시 ‘서울’답게 맥주 맛들도 다채롭다. 모두 테이크아웃이 가능하니 ‘홈술’로도 즐겨보시길.

 

 

​인도 향신료의 새로운 풍미

자파 브루어리

 

 

<자파 브루어리>는 1970년대 화학 공장이었던 건물을 리뉴얼한 성수동의 한 복합 문화 공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저는 인도 뉴델리 출신입니다. 2012년 인도에서 맥주 양조를 시작했고, 해외시장에 도전하고자 2019년 서울에서 자파 브루어리를 오픈했습니다. 저희는 맛과 향, 식감이 남다른 맥주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향신료와 과일, 몰트, 홉을 사용합니다. 정향, 후추 등 5가지 향신료를 혼합해 ‘마살라 세종’과 같은 연중 맥주와 시즈널 맥주도 만듭니다. 여름엔 시트러스 풍미가 가득한 뉴잉글랜드 IPA ‘다이아몬드 핸즈’와 인도 음료 라씨를 재현한 ‘망고 라씨 사우어’를 추천해요. 브루어리와 함께 운영 중인 인디안 개스트로펍 <인디카>에서 정통 인도 음식과 함께 즐겨보세요.

 

  • JAFA Brewery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14길 14

 

공릉동을 지켜온 동네 브루펍

브로이하우스 바네하임

 

 

<브로이하우스 바네하임>은 2004년 공릉동에 문을 연 브루펍입니다. 막 수제 맥주 붐이 일던 시기에 소규모 양조장 겸 펍을 열어 지금껏 자리를 지켜오고 있어요. 주민들이 오가다 편하게 들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기에 상업 지역이 아닌 주택가에 자리 잡았답니다.

 

맥주는 여러 잔을 연이어 마시는 술이고, 개인적으로도 깔끔한 맛을 선호하기에 음용성을 특히 중시해요. 마시기 좋은 맥주를 만들기 위해 재료 조합을 고심하고, 원심분리기로 효모를 여과함으로써 깔끔하고 안정적인 맛의 맥주를 선보이고 있어요.

시그너처 라인업인 프레아, 노트, 란드 에일이 대표적인 예죠. 쌀 맥주 도담도담, 벚꽃을 첨가한 벚꽃라거, 노원구 맥주로 개발한 넘버원 에일 등을 선보인 것처럼 실험적인 제품 개발과 컬래버레이션을 지속할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

 

 

  • 브로이하우스바네하임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32길 54 고려빌딩

 

정동의 역사와 스토리를 담다

독립맥주공장

 

 

 

서울 중구 정동은 20세기 초, 대한제국 선포와 을사늑약 체결, 최초의 근대식 학교 설립 등 근대사의 아픔과 희망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는 곳입니다.

정동의 유일한 브루어리인 <독립맥주공장>은 이런 지역 문화와 정체성을 맥주에 담으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정동다반사 ’는 정동에서 차를 마시듯, 평안한 일상을 즐겼으면 하는 마음으로 열대 과일과 시트러스 아로마를 담은 헤이지 IPA입니다.

 

그 밖에도 3월에는 3·1절, 8월에는 광복, 10월에는 정동 옥토버페스트, 12월에는 정동의 크리스마스와 같은 스토리도 맥주에 담고 있습니다. 이렇게 맥주 양조는 수백 가지의 재료로 수십 가지의 스타일을 자유롭게 구현하는 과정에서 나만의 철학을 담을 수 있다는 매력이 있지요.

 

  • 정동 독립맥주공장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17 이화정동빌딩 1F 104호

 

1세대 브루어리의 실험

카브루 브루펍

 

 

2000년 설립된 1세대 수제 맥주 브루어리 카브루입니다. 페일 에일을 국내에 처음 소개하는가 하면 수제 맥주의 대중화에 힘써왔어요.

3곳의 전용 브루어리는 경기도 가평에 있지만 실험적인 개발이 가능한 소규모 브루어리의 필요성을 느껴 2019년 청담동에 <카브루 브루펍>을 열었습니다. 이곳에서는 국내 시장에서 만나보기 어려운 스타일의 맥주를 양조하고 다양한 맥아와 홉을 실험하고 있는데요.

 

직원 간 소통이 빠르게 이뤄지고, 소비자 반응을 가까이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에요.

 

카브루의 모든 맥주는 물론 브루펍만의 개성 강한 라인업과 요리를 경험할 수 있는 일종의 플래그십 스토어랍니다. 앞으로도 ‘코리아 어드벤쳐러스 브루어리KOREA ADVENTUROUS BREWERY’라는 이름처럼 모험적인 행보를 이어 나가려 합니다.

 

 

  • 카브루 브루펍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79길 19 레인애비뉴 101호

 

영천시장 안 아르티장 브루어리

브루어리304

 

 

미국 유학 시절 에일 맥주를 처음 맛본 뒤 한국에서도 음미하며 즐길 만한 에일을 만들고 싶다는 윤용집 대표의 생각에서 출발한 브루어리입니다. 2015년 충남 아산에서 문을 열어 2019년 서대문구 영천시장으로 이전했어요.

 

더 많은 사람에게 맥주에 얽힌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기 때문이죠. 고객과 가까이에서 소통하고 양조장이 위치한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게 큰 이점이에요. <브루어리304>는 플루토 블론드 에일, 헬레나 IPA처럼 기본에 충실한 시그너처 맥주와 민트, 라즈베리, 망고 등 독특한 식재료를 활용한 시즈널 맥주를 다양하게 선보여 왔는데요. 아르티장 맥주를 양조한다는 일념 아래 최상의 원재료를 고집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한

 

여과 관리 시스템으로 정수한 깨끗한 물이 대표적이에요. 앞으로도 와인만큼 이야깃거리가 풍부한 맥주의 매력을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싶습니다.

 

 

  • 브루어리304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11길 7

 

맥주를 우주로 쏘아 올리다

더 쎄를라잇 브루잉

 

 

최근 편의점에서 이색 협업으로 화제가 된 ‘유동 골뱅이 맥주 ’와 ‘쥬시후레쉬 맥주 ’를 아시나요? 바로 제가 개발했습니다.

저희는 서울 가산동과 경기 남양주에 양조장을 뒀습니다. 맥주 제조뿐 아니라 미국에서 고품질의 홉, 맥아를 수입해 국내에 공급하는 일도 하고 있지요.

저는 20대 청년 CEO입니다. 미국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뒤, 수제 맥주 회사를 창업하고 싶어 미국 쇼트브루잉 컴퍼니에서 24시간 무급으로 일하며 양조를 배우기도 했죠.

 

최종 목표는 수제 맥주를 기반으로 미래 산업의 최고점인 우주 산업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그 첫 걸음으로 지난해에 ‘우주 IPA ’를 성층권으로 올려 보내기도 했답니다. 우주 IPA는 가산동 탭룸 <우주맥주>에서 맛볼 수 있습니다.[출처] 서울의 술맛이 달라지다 vol.2 수제 맥주 1|작성자 바앤다이닝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관리자 rgmceo@naver.com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식품외식경영 서울 강남구 학동로 18길 13, 2층(논현동, 청석타운빌) 발행인 : 강태봉 | 편집인 : 강태봉 | 전화번호 : 02-3444-3600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