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4곳 중 1곳, 코로나에 구조조정…식음료·외식업계 최다

  • 등록 2020.12.06 10:00:03
크게보기

구조조정 방식은 권고사직 가장 많아...휴직 실시, 예정 기업 23.8%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다수 기업들이 경영난에 시달리면서 기업 4곳 중 1곳은 올해 구조조정을 시행했거나 계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휴직을 실시했거나 예정인 기업도 4분의 1에 가까웠다.

 

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437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구조조정 실시 여부’를 조사한 결과, 27.2%가 ‘구조조정을 실시했거나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종별로는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식음료/외식’ 관련 기업의 구조조정 실시율이 57.9%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조선/중공업’이 44.4%, ‘유통/무역’이 33.3%, ‘서비스업’은 32.1%였다.

 

구조조정을 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코로나19로 경영 상황 악화’가 6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가 68.9%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고정비 부담이 증가해서’(37.8%), ‘잉여 인력이 있어서’(16.8%), ‘합병, 사업부 개편 등이 예정돼 있어서`(4.2%), ‘조직에 긴장감을 불어넣기 위해서’(4.2%), ‘신규 채용을 위한 여건 마련을 위해서’(4.2%) 등이 이유로 꼽혔다.

 

기업이 진행한 인력 구조조정 방식(복수응답)은 ‘권고사직’이 72.3%로 가장 많았고, ‘희망퇴직/명예퇴직’이 30.3%, ‘정리해고’가 11.8%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구조조정은 아니지만 휴직을 시행한 기업도 많았다. 전체 응답 기업의 23.8%는 ‘휴직을 했거나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휴직 인력은 전체 인원대비 39.6%로 직원 5명 중 2명가량인 것으로 집계됐다.

 

직원 1인당 평균 휴직 기간은 ‘4주(1개월)’(26%)가 가장 많았고 ‘2주’(16.3%), ‘3개월’(1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개월 이상’의 장기 휴직도 10.6%나 됐다.

 

휴직 유형은 유급휴직이 52.9%로 무급휴직(47.1%)보다 많았다.

 

한편 조사에 참여한 437개사 중 64.1%는 코로나19 사태로 인건비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신규 채용 중단`(복수응답, 42.1%), ‘임금 삭감 또는 동결’(42.1%), ‘초과근무 미실시(수당 미지급)’(20%), ‘성과급 지급 중단’(18.6%), ‘직무 순환 배치’(11.8%) 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 기자 jun4548@foodnews.news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식품외식경영 서울 강남구 학동로 18길 13, 2층(논현동, 청석타운빌) 발행인 : 강태봉 | 편집인 : 강태봉 | 전화번호 : 02-3444-3600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