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8→10%로 소비세율이 올라간 후 일본 전국슈퍼마켓협회 조사결과, 업계의 43%가 소비동향에 대해 ‘예상보다 나쁘다’고 답했다. 앞으로 소비동향에 대해서도 61%가 ‘한동안 회복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에 소비세 인상으로 위축된 소비심리를 살리고자 일본 식품업계에서 재미와 놀이를 더한 제품으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즐거움 주는 ‘가잼비’ 상품
일본 식품회사에 불황 극복방법으로 선택한 것은 소비 활동을 통해 재미를 주는 일명 ‘가잼비’ 상품이다.

일본의 제과회사 가루비(Calbee)는 국민 감자스낵인 쟈가리코에 뜨거운 물을 뜻하는 ‘湯’(유)을 상품명에 넣은 쟈가유리코(じゃが湯りこ)를 지난달 출시했다. 쟈가유리코는 소비자가 직접 감자스낵을 활용해 샐러드를 만드는 제품이다.
기존 제품에 뜨거운 물을 부어 감자샐러드로 만드는 사진, 영상이 SNS에서 화제가 되자 가루비측에서 감자샐러드 전용 스낵을 개발했다. 감자스낵이 들어있는 내열 컵에 뜨거운 물을 붓고 3분 정도 기다리면 볶음 감자 샐러드가 완성된다. 베이컨, 옥수수, 당근, 파슬리, 양파가루가 들어가 그럴싸한 샐러드 맛이 난다.

작년에는 1995년 출시 이후 지금까지 판매한 133가지 쟈가리코를 전시한 박물관을 기간 한정으로 열기도 했다. 과거와 현재의 과자 맛을 비교해서 먹어보거나 아직 출시되지 않은 제품을 시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소비자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줬다.

이 외에도 가루비는 우유를 타지 않고 그대로 먹는 카레 맛 시리얼 등 이색적은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주방에서 사용하는 신기한 문구용품
일본에서 누적 판매 개수 100만개를 넘은 ‘매직 후리카케’ 시리즈가 작년 12월 신제품을 출시했다. 상품을 개발한 Heso Production은 이름처럼(へそ[heso] : 배꼽) 소비자들을 웃게 만드는 것이 목표인 회사다.

‘매직 후리카케’ 신제품은 유명 간판 제작회사인 ‘히사다 공예’와 협업으로 완성했다. 펜을 흔들면 카레, 우메보시(매실 절임), 햄버거 맛의 후리카케(김, 깨, 소금, 말린 채소나 해조류 가루 등을 섞은 것)가 나온다. 외관은 일반 펜과 동일해 착각하기 쉽다.

매직 인 주방(일본의 맛 시리즈) 상품은 다양한 맛의 소금을 유성 매직통에 담았다. 주식회사 우치다 양행의 ‘매직 잉크’ 등록 상표를 사용해 실제 매직과 모습이 동일하다.

매년 꾸준히 새로운 시리즈를 나오며, 2018년에는 각 지역의 맛을 살린 한정 상품을 판매했다. 작년 9월에는 전골, 된장, 다랑어포, 와사비, 낫토 등 일본인에게 익숙한 7가지 맛의 소금 매직을 개발했다.
아이스크림 상자로 만드는 ‘뽑기 놀이’
모라나가유업은 자사 아이스크림 ‘PINO ’종이박스 2개를 이용해 뽑기 상자를 만들 수 있도록 안쪽에 표시선을 인쇄해 넣었다. 단순히 아이스크림을 먹고 상자를 버리는 것이 아닌 소비자가 놀이에 참여하며 브랜드에 노출되는 시간을 늘렸다.

완성된 뽑기 상자에 개별 포장된 아이스크림을 넣어 먹으면 된다. 바닐라·딸기·밀크티 맛 아이스크림 중 어떤 맛이 나올지 기대하게 만든다. ‘PINO GACHA’라 불리는 이 상품을 만드는 영상을 유튜브에 올려 공유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소비 과정에서 재미를 추구하는 ‘펀슈머’ 경향은 더욱 짙어질 것이다. 짧은 문구라도 재미·공감적 요소가 있다면 SNS를 통한 확산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