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Biz] 중국, 영양소 균형 찾아주는 식이섬유 음료 성장

  • 등록 2021.05.24 10:11:10
크게보기

소비자들의 식습관 문화가 향상되며 갈수록 음료시장은 기능성을 강조한 제품들이 주를 이룰 전망이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는 최근 중국에서 식이섬유 음료가 ‘왕훙 히트상품’로 인기를 끌며 새로운 음료 트렌드로 급부상했다.

 

중국식품보망 보고에 따르면 30% 이상의 중국 소비자가 식이섬유 제품을 구입하기 시작했다. ‘장도건강(肠道健康)’을 세일즈포인트로 식이섬유 제품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식이섬유가 함유된 신제품 연간 평균 증가율이 21%에 이른다고 밝혔다.

 

 

2019년 전 세계 식이섬유 시장규모는 180.64억 위안(한화 약 3조 700억 원), 생산량은 86.66만 톤에 도달했다. 2026년에는 229.13억 위안(한화 약 3조 9000억 원), 생산량 122.49만 톤 연간 복합 성장률은 3.96%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의 2019년 식이섬유제품 생산액은 23.31억 위안(한화 약 4000억 원), 생산량은 18.85만 톤을 넘어섰다. 2026년에는 생산액 55.27억 위안 (한화 약 9400억 원), 생산량 30.36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돼 황금기를 맞을 전망이다.

 

현재 음료시장에서 사용하는 식이섬유 원재료는 주로 폴리덱스트로스이다. 미국식품 및 약품 관리국, UN농식품 조직, WHO등 조직 및 기관에서 안전 성분으로 인정받았으며, 많은 연구에 따르면 장 기능 개선, 신진대사 및 포만감, 면역력 조절 등에 효과적인 것이 증명됐다.

 

 

코카콜라는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스프라이트+’, ‘제로콜라+’, ‘코카콜라섬유+’등 제품을 출시해 판매 중이다. 2017년 선보인 코카콜라 플러스의 경우 설탕과 칼로리를 낮추며 5g이상의 식이섬유를 추가한 상품을 내놓기까지 10년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했다.

 

 

500ml 음료 병당 사과 약 2개에 포함된 식이섬유(7.5g)를 함유했다. 1병이면 성인이 매일 섭취해야 할 식이섬유의 30%를 충족시킬 수 있다.

 

 

중국의 위안치선린(元气森林)은 ‘란차(燃茶)’ 기능성 차 음료를 출시했다. 고품질 우롱차에 식이섬유를 함유해 무설탕 무칼로리의 탈지방 음료라는 점을 내세운다.

 

 

산눠그룹(三诺集团)은 최근 ‘포도당+식이섬유’의 신개념 음료제품 ‘쿠커우 포도당 에너지 음료’를 출시했다. 이 신제품은 0지방, 색소, 0탄산이고 병당(520ml) 3.12g의 식이섬유를 함유했다.

김하루 기자 lumunehito@foodnews.news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식품외식경영 서울 강남구 학동로 18길 13, 2층(논현동, 청석타운빌) 발행인 : 강태봉 | 편집인 : 강태봉 | 전화번호 : 02-3444-3600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