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까지만 해도 일본의 배달 음식 시장은 크지 않았다.
외식산업에서 배달 음식 비율은 3%로 한국(10%)이나 중국(8%) 영국(8%) 등에 비해 낮았다. 식당들도 배달 서비스 도입에 적극이지 않았으며, 배달이 가능한 메뉴도 초밥, 피자 등으로 한정적이었다.

하지만 올해 코로나19로 긴급사태 선언이 잇따르며 오프라인 중심의 식당들은 매출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돌파구로 배달을 시작하는 업체들이 늘어났고, 소비자들도 외식을 할 수 없게 되며 배달 음식 시장이 급성장했다. 일본 주요 배달 음식 서비스의 사용자 수는 4월에 긴급사태 선언이 있은 후 550만 명을 넘어섰다.

일본의 사회적 배경도 배달 음식 서비스 이용으로 시장 확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단신 세대(1인 가구)·맞벌이 세대가 증가하며 집에서 요리를 하지 않고 배달, 밀키트 식품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려는 니즈가 높아졌다.
증가 추세에 있으며 노동시간이 늘어 그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요리나 가사의 시간 단축에 대한 니즈가 높아졌다. 또한, 노약자들의 외출이 줄어들며 배달 음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흐름이다.
주로 스마트폰에 익숙한 10~30대의 젊은 세대가 주 이용고객이나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스마트 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넓은 연령층에서 배달 음식 서비스 사용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배달을 도입하려는 외식업체는 많지만 포장용기, 배달 어플리케이션 이용, 마케팅 방법에 대한 지식이 없어 어려움을 겪는다. 일본에는 배달 서비스를 준비 중인 자영업자를 지원하는 협회가 있다.

AFDA(All Japn Food Delivery Association)는 음식 배달에 필요한 전단지, 메뉴 목록 작성, 배달 운영 등의 노하우를 무상으로 외식업체에 제공한다. 카테고리를 식품 위생, 운영 지원, 조리, 경영, 서비스로 나누고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업체에서 사진이나 메뉴 정보를 보내면 AFDA 포맷으로 메뉴표, 전단지 작성을 대행해 준다. 또한, 소규모 식당에서 대량 구매가 부담스러운 배달포장 용기를 소량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배달은 더 이상 외식 시장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바뀌었다. 일본의 외식업체는 4월 7일 긴급사태선언 후 매출액이 전년 대비 60.4%로 감소한 만큼 외식업체들은 배달을 통해 생존 방법을 찾아 나섰다.
자료참초 : Kati 지구촌리포트 10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