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식품 수입 32조...전년비 2.8% 증가

  • 등록 2020.02.06 17:53:29
크게보기

지난해 우리나라 식품 등 수입액이 총 32조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2019년 수입식품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68개국으로부터 약 73만8000건(전년 대비 1.4% 증가), 1860만톤의 식품이 수입돼 규모가 281억 달러(약 32조8000억원)에 달했다.

 

 

특히 수입금액은 2018년에 비해 농·임산물 및 수산물이 감소한 반면, 축산물과 가공식품 등이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수입 금액은 미국이 67억8616만 달러로 가장 높았고, 중국(47억1690만 달러), 호주(24억6044만 달러), 베트남(12억1088만달러), 러시아(8억7854만 달러) 순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 금액이 전체의 56.9%를 차지했다.

 

수입 중량 역시 미국이 483만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호주(300만톤), 중국(300만톤), 브라질(86만톤), 태국(84만톤) 순이었다. 5개국 수입량이 전체 수입량의 67.5%에 달한다.

 

또 지난 해 약 1825개 품목이 수입됐다. 수입 금액으로는 쇠고기․돼지고기․정제가공용원료가, 수입 중량으로는 정제가공용원료·밀·옥수수가 가장 많았다.

 

1만 톤 이상 수입된 품목 중 2018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냉동청어’로 전년 대비 362.1% 증가했다. 우유(182.0%), 가공치즈(129.5%), 수산물가공품(102.2%), 두류가공품(83.2%)가 뒤를 이었다.

 

한편, 지난 해 수입식품 부적합 비율은 0.18%(73만8090건 중 1296건 부적합)로 2018년(부적합률 0.2%) 대비 0.02%p 감소했다. 전체 수입국 168개국 중 68개국이, 1825개 품목 중 250개 품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405건(부적합률 0.20%)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131건, 0.13%), 베트남(117건, 0.38%), 태국(74건, 0.23%), 인도(57건, 0.92%) 순이었다.

 

부적합 사유로는 기준 및 규격(함량, 산가 등) 위반이 가장 많았으며, 식품첨가물 사용기준(보존료, 색소 등) 위반, 미생물(세균수, 대장균 등) 기준 위반 순으로 나타났다.

 

송성옥 식약처 수입검사관리과장은 “향후 부적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위해우려가 있는 수입식품 등에 대해서는 영업자 스스로가 안전성을 입증토록 하는 검사명령제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부적합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품 위주로 검사를 더욱 강화해 국민이 안심하고 수입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하루 기자 lumunehito@foodnews.news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식품외식경영 서울 강남구 학동로 18길 13, 2층(논현동, 청석타운빌) 발행인 : 강태봉 | 편집인 : 강태봉 | 전화번호 : 02-3444-3600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