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인사이트] 돈까스로 청년과 공생 꿈꾸는 ㈜정다함 정석동 대표

2022.04.22 09:54:57

바삭함 살린 테이크아웃 돈까스 개발...현재 푸드트럭 30호 운영

어린 시절 어머니는 돈까스를 사주겠다며 유혹해 병원에 데려가곤 했다. 우스갯소리로 그때 트라우마가 남았다고 하는 친구들도 있으나 그만큼 돈까스는 오랜 시간 대중의 삶에 밀착해 성장한 소울푸드 중 하나다.

 

 

2006년부터 아파트 알뜰장터에서 돈까스 장사를 해온 ㈜정다함의 정석동 대표는 배달, 테이크아웃에 최적화된 돈까스를 개발해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었다. 현재는 정다함돈가스와 속초할매닭강정 2개 브랜드를 보유, 푸드트럭 30대가 수도권 장터를 오가며 영업 중에 있다.

 

 

지금은 인천에 자체 생산 공장을 보유할 정도로 브랜드를 성공시켰으나 정 대표의 첫 시작은 가시밭길 그 자체였다. 해오던 사업이 망하면서 가족과 생계를 꾸리고자 호구지책으로 선택한 것이 음식 장사였다.

 

“주변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서 정말 어렵사리 장사를 시작하게 됐다. 그러던 중 아파트 내 정기적으로 열리는 장터를 알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돈까스 사업에 뛰어들었다. 외식업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는 상태였기에 하나하나 부딪히며 배워야 했다.”

 

 

6개월 넘게 벤치마킹을 위해 돈까스로 유명한 맛집을 돌아다니며 조금씩 레시피를 잡아갔다. 장사를 하는 동안에도 서서히 품질이 올라오면서 하나 둘씩 단골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정 대표는 포장해서 집에 가져가도 맛이 유지되는 돈까스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뒀다.

 

“정다함돈가스에는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맛있는 음식을 주려는 마음이 담겨 있다. 학교 혹은 학원에서 돌아와 어머니가 준비 해둔 돈까스를 맛있게 먹으려면 튀김옷 상태가 중요하다. 오랜시간 바삭한 돈까스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튀김옷, 튀기는 방식을 연구했다.”

 

시간이 지나도 눅눅해지지 않고 바삭한 돈까스라고 입소문이 나면서 장터가 서는 날이면 푸드트럭 앞으로 손님이 길게 줄을 늘어섰다. 장사가 잘되니 주변 상인, 손님들이 가맹점을 하고 싶다며 문의가 연이어 들어왔다.

 

 

정 대표도 어려운 시절을 겪었기에 도움이 필요한 분들은 무상으로 기술을 전수해주기도 했다. 점차 사업 규모가 커지면서 사무실과 제조시설을 갖추고 돈까스를 직접 생산하며 프랜차이즈로서 궤도에 올라섰다. 2년 전에는 흩어진 시설을 하나로 합쳐 인천시 계양구에 본사를 설립했다.

 

푸드트럭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가지고 행사장 위주가 아닌 지역 장터를 중심으로 영업을 하는 것이 정다함 브랜드의 특징이다. 확보된 장터별 매출 데이터를 토대로 식재료를 준비하고, 북적거리는 장터 안에서도 눈에 띄도록 레이아웃, 소품 등을 구성해 정다함돈가스만의 셀링포인트를 만들었다.

 

 

푸드트럭 외식사업에 이어 정다함은 새로운 도전을 앞두고 있다. 부천역 남부지역에 제2의 돈까스 브랜드 매장을 열고자 한참 공사가 진행 중이다. 정다함 브랜드 가치를 살리면서도 고객이 색다른 외식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메뉴 구성, 인테리어 콘셉트를 전문가들과 의논하며 조율하는 단계에 있다. 

 

 

끝으로 정석동 대표는 “한때 정부에서 청년창업으로 푸드트럭을 밀어주며 6만대까지 늘어난 적이 있으나 마땅히 장사할 곳이 없어서 금세 열기가 식어버렸다. 정다함은 푸드트럭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자 ㈜전국장터연합을 설립해 상인들과 상단을 꾸려 아파트 장터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이어 “요즘 경기가 워낙 나쁘다보니 다양한 직업을 갖는 N잡러 청년이 많아지는 추세다. 푸드트럭은 가게에 메여있지 않고 유동적으로 장사 일수를 조절해 영업할 수 있어 N잡러를 꿈꾸는 청년창업가에게도 장점이 크다. 청년들이 정다함과 함께 했을 때 외식사업으로 성공해 돈도 벌고, 미래를 그려나갈 수 있도록 브랜드 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하루 기자 lumunehito@foodnews.news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식품외식경영 서울 강남구 학동로 18길 13, 2층(논현동, 청석타운빌) 발행인 : 강태봉 | 편집인 : 이 준 | 전화번호 : 02-3444-3600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